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01:06:58

제3회 취저우 란커배 세계 바둑 오픈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취저우 란커배 세계 바둑 오픈전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취저우 란커배 세계 바둑 오픈전
제2회 취저우 란커배 세계 바둑 오픈전
제3회 취저우 란커배 세계 바둑 오픈전
제4회 취저우 란커배 세계 바둑 오픈전
우승
신진서 당이페이 -

1. 개요2. 본선 출전 선수 명단
2.1. 48강전2.2. 32강전2.3. 16강전2.4. 8강전2.5. 4강전2.6. 결승전

1. 개요

2025년 중국에서 열리는 취저우 란커배 세계 바둑 오픈전의 세 번째 대회. 이번 대회는 통합 예선으로 열린다.

==# 통합 예선 #==
통합 예선은 6월 25일부터 29일까지 중국 취저우시에서 열리며 예선 통과자 31명(일반조 26명, 여자조 3명, 시니어조 2명)을 선발한다. 통합예선 대진표(한자) 매 라운드 주요 대국들은 바둑TVK바둑, 단독 수순 중계를 통해 생중계된다. 통합예선 최종 결과(대진표)
날짜 중계 경기 대진 결과
6/25 바둑TV(문도원, 송태곤)
K바둑(장혜연, 안형준)
여자 2조
1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지 154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천천
일반 2조
1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98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리둥팡
수순 일반 6조
1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민종 315수
흑 3집반승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일반 6조
1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주영 216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장웨이제
일반 7조
1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영락 259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마톈팡
일반 21조
1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병우 218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예창신
여자 3조
1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유진 326수
백 반집승[1]
파일:중국 국기.svg 탕자원
시니어 1조
1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종진 206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
일반 8조
1회전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린쥔옌 235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탕웨이싱
6/26 바둑TV(문도원, 송태곤)
K바둑(장혜연, 백홍석)
여자 2조
2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지 134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추커얼
시니어 1조
2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창혁 265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루이나이웨이
수순 일반 1조
2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285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투지캉
일반 10조
2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하민 148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
여자 2조
2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유진 168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천만치
일반 25조
2회전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292수
흑 1집반승
파일:중국 국기.svg 황징위안
일반 11조
2회전
파일:일본 국기.svg 이다 아쓰시 234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궈원차오
일반 4조
2회전
파일:중국 국기.svg 양카이원 155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이링타오
6/27 바둑TV(문도원, 박정상
K바둑(김규리, 안형준)
여자 2조
3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지 286수
흑 5집반승
파일:중국 국기.svg 차이비한
여자 3조
3회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채영 278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왕솽
수순 시니어 2조
4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목진석 204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돤룽
일반 11조
4강
파일:일본 국기.svg 이다 아쓰시 17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쉬자양
여자 3조
3회전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루위화 204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왕위보
일반 8조
4강
파일:중국 국기.svg 탕웨이싱 154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스웨
일반 26조
4강
파일:중국 국기.svg 후야오위 215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롄샤오

6/28 바둑TV(최유진, 박정상
K바둑(김규리, 백홍석)
타이젬바둑(조혜연, 최원진)
여자 2조
4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유진 185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지
여자 3조
4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채영 279수
백 반집승
파일:중국 국기.svg 왕위보
수순 여자 1조
4강
파일:중국 국기.svg 가오싱 305수
백 1집반승
파일:중국 국기.svg 옌시무
여자 1조
4강
파일:중국 국기.svg 뤄추웨 256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쉬하이저
여자 2조
4강
파일:중국 국기.svg 우이밍 240수
백 반집승
파일:중국 국기.svg 저우훙위
여자 3조
4강
파일:중국 국기.svg 탕자원 246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덩요우자

===# 통합예선 결승 #===
예선 결승 (2025년 6월 2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일반 1조 타오신란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일반 2조 판팅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장웨이 일반 3조 천쯔젠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지훈 일반 4조 이링타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형석A 일반 5조 자오천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잉이타오 일반 6조 션페이란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승구 일반 7조 양딩신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상진 일반 8조 스웨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일반 9조 퉁멍청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민혁A[2] 일반 10조 미위팅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지현 일반 11조 쉬자양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왕위안쥔 일반 12조 판인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위안허 일반 13조 장쯔량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펑리야오 일반 14조 리하오퉁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구링이 일반 15조 황윈쑹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민형 일반 16조 톈무무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나 현 일반 17조 장타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천셴 일반 18조 류자오저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천하오 일반 19조 리신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쉬이디 일반 20조 리저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주옌천 일반 21조 추위란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현 일반 22조 한모양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왕저쉬안 일반 23조 왕스이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일반 24조 지샹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왕춘후이 일반 25조 리웨이칭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예즈첸 일반 26조 후야오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가오싱 여자 1조 쉬하이저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지 여자 2조 우이밍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채영 여자 3조 탕자원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조영 시니어 1조 유창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목진석 시니어 2조 쑤야오궈 파일:일본 국기.svg

2. 본선 출전 선수 명단

국가 구분 출전 선수 (굵은 글씨는 32강부터 출전하는 선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0명)
국가시드
(3명)
신진서(전기 우승), 변상일(국제대회 우승자) 시드, 안성준(국가대표 상비군 시드)
통합예선 통과
(7명)
강동윤, 신민준, 송지훈, 박상진, 원성진, 나현(일반조)
유창혁(시니어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31명)
국가시드
(6명)
구쯔하오(전기 준우승), 왕싱하오, 딩하오, 당이페이, 리쉬안하오, 리친청
통합예선 통과
(23명)
장웨이, 자오천위, 션페이란, 양딩신, 미위팅, 쉬자양, 판인, 랴오위안허, 리하오퉁, 구링이, 톈무무, 천셴, 천하오, 리저, 주옌천, 한모양, 왕스이, 셰얼하오, 리웨이칭, 후야오위(일반조)
가오싱, 우이밍, 탕자원(여자조)
와일드카드
(2명)
투샤오위, 퉈자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명)
국가시드
(2명)
위정치, 오타케 유
통합예선 통과
(1명)
쑤야오궈(시니어조)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1명)
국가시드
(1명)
쉬징언
기타 국가
(3명)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안드리 크라베츠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장밍주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창푸캉

2.1. 48강전

48강 (2025년 7월 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266수 백 불계승 한모양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지훈 178수 백 불계승 자오천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나 현 180수 백 불계승 쉬자양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상진 221수 흑 불계승 퉈자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창혁 203수 흑 불계승 미위팅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쑤야오궈 224수 백 불계승 톈무무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위안허 165수 흑 불계승 주옌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후야오위 294수 백 불계승 구링이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탕자원 264수 백 반집승 션페이란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우이밍 247수 흑 불계승 셰얼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천하오 307수 흑 4집반승 장웨이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리하오퉁 256수 백 불계승 리저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가오싱 229수 흑 불계승 왕스이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투샤오위 186수 백 불계승 장밍주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판인 127수 흑 불계승 안드리 크라베츠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천셴 196수 백 불계승 창푸캉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2. 32강전

32강 (2025년 7월 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179수 흑 불계승 천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194수 백 불계승 구쯔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52수 백 불계승 당이페이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361수 흑 1집반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성준 306수 백 2집반승 미위팅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241수 흑 불계승 투샤오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지훈 187수 흑 불계승 왕스이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위정치 177수 흑 불계승 리친청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오타케 유 215수 흑 불계승 탕자원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징언 223수 흑 불계승 리쉬안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130수 백 불계승 판인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천셴 302수 흑 1집반승 왕싱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226수 백 불계승 퉈자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리웨이칭 172수 백 불계승 리하오퉁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후야오위 153수 흑 불계승 쉬자양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위안허 141수 흑 불계승 톈무무 파일:중국 국기.svg

2.3. 16강전

16강 (2025년 10월 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72수 백 불계승 랴오위안허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275수 흑 반집승[6] 왕스이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당이페이 213수 흑 불계승 리쉬안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리웨이칭 229수 흑 불계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 216수 백 불계승 쉬자양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 239수 흑 불계승 판인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리친청 187수 흑 불계승 탕자원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퉈자시 279수 흑 불계승 천셴 파일:중국 국기.svg

2.4. 8강전

8강 (2025년 10월 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85수 흑 반집승 퉈자시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판인 175수 흑 불계승 왕스이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리친청 320수 백 반집승 딩하오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쉬자양 171수 흑 불계승 당이페이 파일:중국 국기.svg

2.5. 4강전

4강 (2025년 10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176수 백 불계승 판인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당이페이 291수 백 반집승 리친청 파일:중국 국기.svg

2.6. 결승전

제3회 취저우 란커배 세계 바둑 오픈전 결승 3번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1 2 당이페이 파일:중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대국 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2025년 10월 12일 당이페이 신진서 187수 흑 불계승
2국 2025년 10월 14일 신진서 당이페이 291수 흑 2집반승
3국 2025년 10월 15일 당이페이 신진서 195수 흑 불계승
우승 파일:중국 국기.svg 당이페이 九단 (통산 두 번째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 }}}

제3회 란커배 결승3번기는 디펜딩 챔피언 신진서와 (2025년 10월 기준) 중국랭킹 5위 당이페이[9]가 만나게 됐다. 신진서는 2회 란커배 우승을 포함해 란커배 3연속 결승 진출을 이루며 자신의 첫 단일 메이저 세계대회 연패에도 도전함과 동시에 2025년 난양배쏘팔배 세계대회 우승 이후 올해 세계대회 3관왕이자 통산 10번째[10] 우승에 도전한다. 당이페이는 작년에 세계대회에서 준우승만 두 차례(몽백합배, 삼성화재배) 기록했고, 이번에 다시 한 번 세계대회 결승에 오르며 2017년 LG배 우승 이후 오랜만의 자신의 두 번째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에 재도전한다. 상대전적은 신진서가 최근 4연승을 포함해 9승 5패로 앞서고 있다.

[1] 중국룰을 이용한 패 버티기를 당하며 아쉬운 반집패를 당하고 말았다.[2] 송민혁은 아마추어 신분으로 이 대회에 참가했으나 이번 통합예선에서 포인트 입단 점수를 채워 프로 입단에 성공했다.[3] 한국랭킹 2위(2025년 6월 기준) 박정환은 이번 대회에 불참했다.[4] 당시 우상귀는 양패로 백이 살아있는 형태기 때문에 굳이 가일수를 할 이유가 없었다. 설령 중국 바둑 규칙에서 양패를 해소하고 계가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고 쳐도 공배를 다 메운 다음 해소하면 손해 없이 해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배와 잔끝내기가 남아있는 당시 상황에서 백이 먼저 양패를 해소할 이유가 전혀 없었다.[5] 여담으로 탕자원은 32강전 대진추첨에서 자신이 뽑을 수 있는 상대로 신진서와 일본의 오타케 유 단 두명만 남자 기도(?)를 하며 현장의 모두를 빵 터지게 하는 귀여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6] 바둑TV에서는 0.5집 승으로 나왔지만 정확히 따지면 중국식 규칙은 흑 0.5집 승이 불가능해서 1.5집 승이 맞다. 0.5집 승은 일본식으로 계산한 결과.[M] 마이너 세계대회 우승은 존재한다.[M] [9] 당이페이는 백홍석과 대결했던 2012년 BC카드배 결승 이후 13년 만에 한국 선수와 번기승부를 벌인다.[10] 제1회 쏘팔코사놀 세계 최고 기사 결정전 우승을 메이저로 볼 경우[11] K바둑에서 이 바둑을 해설한 백홍석 九단도 "신진서 선수가 가끔씩 빠르게 두다가 큰 실수가 나올 때가 있다. 이 바둑도 시간도 많았는데 신중하지 못하고 너무 손이 빨리 나왔다"고 지적했다.[12] 이 때 해설진들도 일감으로 상변 백 대마를 압박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고, 인공지능도 그것이 최선이라고 했다. 심지어 백 대마를 압박하지 않더라도 중앙 말고 좌변을 두었으면 차이는 약간 줄어도 여전히 신진서가 여유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신진서는 상변도 좌변도 아닌 중앙 백 5점을 잡는 걸 선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