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102a3><tablebgcolor=#1102a3> | DRX 2025 시즌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colbgcolor=#1102a3><colcolor=#fff> 감독 | [[편선호|편선호 termi ]] | |
코치 | [[권순우(e스포츠)|권순우 Argency ]]|[[김민수(e스포츠)|김민수 glow ]] | ||
로스터 | |||
ACTIVE | free1ng ]] | MaKo ]] | |
Estrella ]] | Flashback ]] | ||
HYUNMIN ]] | BeYN ]] | ||
Flicker ]] | |||
VCT Pacific 참가팀 로스터 | }}}}}}}}} |
| |
<colbgcolor=#1102a3><colcolor=#ffffff> DRX Flashback | |
조민혁 (Cho Min-Hyuk) | |
출생 | 2005년 11월 15일 ([age(2005-11-15)]세) |
국적 | |
최종 학력 | 중졸 |
ID | ashtray #0313 # |
경력 상금 | $31,486.65 USD (₩42,083,009.76)[1] |
소속 | DRX[2][3][4] (2023.07.27 ~) |
|
1. 개요
대한민국의 DRX 소속 발로란트 프로게이머.2. 플레이 스타일
데뷔 당시에는 전략가를 맡았으나, 2024 시즌에는 감시자로 포변해 활동했으며 2025 시즌 퍼시픽 킥오프와 마스터스 방콕까지 감시자를 맡았지만, 스테이지 1부터 DRX가 투엔트리 조합을 중용하면서 네온, 요루 등 타격대를 플레이하기도 했다.DRX가 리빌딩 과정에서 에임이 좋은 신인 위주의 로스터를 꾸리며 팀의 중심축이 되었는데, 이후 1부 리그 경험이 없던 프링과 현민이 리그에 빠르게 적응하면서 2025 퍼시픽 킥오프 우승을 차지했다.
데뷔 시즌에는 신인답지 않은 뛰어난 왼손 무빙을 보여주며 에이스를 기록하는 등 잠재력을 보여주며 스택스와 버즈의 이탈을 어느 정도 커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어린 선수다운 빠른 반응속도와 신인답지 않은 노련한 왼손 무빙이 큰 장점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Flashback 본인은 오히려 큰 기복이 발목을 잡아 다소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감시자는 특히나 선수 개인의 뇌지컬에 따라 극단적으로 갈리는 포지션인데 무력 위주의 Flashkback에게 다소 애매한 지점이 있었고 2025 시즌 스테이지 1에서 2선 엔트리로 자리를 옮기고 공석이 된 감시자를 MaKo가 바이퍼를 플레이하거나, 프링이 사이퍼를 플레이하는 등의 방식으로 대체하였다. 엔트리를 잡은 후에는 감시자보다는 저점이 확실히 높아진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좀처럼 고점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 스테이지1 진행 중 DRX가 갑작스럽게 Flashback을 빼고 BeYN을 기용하게 되었는데, 놀랍게도 선수 본인이 경기 이틀 전에 갑작스럽게 요청했다고 한다.[5] 선수를 탓하는 언행을 좀처럼 하지 않는 편선호 감독이 인터뷰에서 이런 상황에 대한 불쾌감을 숨기지 않았을 정도로 Flashback의 워크에식에 대한 문제가 만천하에 공개되었고, 결국 4월 24일 2군으로 센드다운 되었다.
이후 경기에 한 번도 출전하지 않았고 그렇게 잊혀지는 선수가 되나 싶었지만...7월 7일, 2군 동료 Flicker와 함께 1군으로 콜업되었다. 이러한 결정을 내린 이유에 대해 DRX는 Flashback이 오랜 시간동안 정신 건강 문제를 앓고 있었고, 결국 스테이지 1 BOOM Esports전을 앞두고 독단적으로 이탈하는 사태가 벌어졌다고 한다. 처음엔 구단도 Flashback의 행동에 실망감을 드러냈으나 사정을 알고난 후 Flashback의 복귀에 대해 지원을 나섰고 5월부터 심리상담사를 통해 치료를 받고 6월에 1군 선수단과 감코진들의 면담을 통해 Flashkback 본인의 책임 인식과 사과가 이루어졌고 결국 구성원 전원이 Flashback의 복귀에 동의하며 콜업이 결정되었다고 한다. 단, 같이 콜업되어 EWC에 출전한 플리커와 달리 스테이지 2부터 로스터에 합류할 예정이다. # 이후 복귀 후 스테이지2부터는 그동안의 공백에 대해 사과라도 하듯 킥오프와 스테이지1때보다 훨씬 나아진 모습을 보여주며 캐리를 해 팀의 승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3. 장비 및 세팅
<rowcolor=#ffffff> 마우스 설정 (Mouse Settings) | |||||
<rowcolor=#ffffff> 마우스 | eDPI | DPI | 폴링레이트 | 감도 | 조준감도1 |
Razer Viper V3 Pro[T] | 160 | 1600[7] | 4000 Hz | 0.1[8] | 1 |
<rowcolor=#ffffff> 최종 업데이트 '[dday(2025-08-28)]일 지남.[A] |
<rowcolor=#ffffff> 장비 (Hardware) | ||
<rowcolor=#ffffff> 마우스 | 마우스패드 | |
Razer Viper V3 Pro[T] | LGG Saturn PRO XSoft[11] | |
<rowcolor=#ffffff> 모니터 | 주사율 | 인게임 해상도 |
ZOWIE XL2566K[12] | 360hz | 1920x1080 |
<rowcolor=#ffffff> 키보드 | 이어폰 | |
Wooting 80HE[13] | Shure SE215 | |
<rowcolor=#ffffff> 최종 업데이트 [dday(2025-08-28)]일 지남.[A] |
4. 주요 경력
우승 경력 | ||||
2025 VCT Pacific Kickoff 우승 | ||||
Gen.G | → | DRX | → | Rex Regum Qeon |
준우승 경력 | ||||
TEN 2023 발로란트 글로벌 인비테이셔널 준우승 | ||||
대회 출범 | → | DRX | → | Talon Esports |
2024 VCT Pacific Stage 2 준우승 | ||||
Gen.G | → | DRX | → | T1 |
5. 별명
- 조먀먁: 본인의 이름인 조민혁을 꼬아서 부르는 별명. 특히나 여성팬들이 자주 불러준다.
6. 여담
- 발로란트 경쟁전 아시아 서버 1등을 찍은 적이 있다.
- 팬들과 소통하는 것을 부끄러워 한다.
- 게임을 할 때 의자의 팔걸이를 사용하며 손목만 걸치고 게임하고 아빠다리를 한다고 한다.
- 어머니가 중국인이다.[16]
- 금발을 상당히 자주한다.
- 하와이안 피자를 좋아한다.
- 레몬에이드를 자주 마신다고 한다.
- 2025년 8월 30일 퍼시픽 스테이지 2 플레이오프 결승 진출전에서 RRQ가 탈론을 상대로 리버스 스윕을 달성하며 DRX의 챔피언스 파리 진출이 확정되었었는데, 경기가 끝난 직후 X 프로필 사진을 RRQ 로고로 바꾸는 광기를 선보였다. #
7. 둘러보기
조민혁 관련 틀 | |||||||||||||||||||||||||||||||||||||||||||||||||||||||||||||||||||||||||||||||||||||||||||||||||||||||||||||||||||||||||||||||||||||||||||||||||||||||||||||||||||||||||||||||||||||||||||||
|
[1] Flashback 경력 상금.[2] DRX Prospect
(2023.07.27 ~ 2023.12.12)[3] 비활성화: 2024.04.04 ~ 2024.05.30[4] DRX Academy
(2025.04.23 ~ 2025.07.06)[5] 문제는 다음 경기인 BOOM Esports와의 경기는 조 1위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경기였다. 하지만 Flashback의 이탈로 인해 DRX는 기존에 준비하던 전략이 모두 물거품이 되고 말았으며, 결국 BeYN을 긴급투입하고 선수들의 포지션을 임시방편으로 변경하였으나 결국 1대2로 패배하고 말았다. 심지어 선수들이 새 전략을 준비하고 다시 적응해야 했기에 그동안은 폼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결국 RRQ, PRX에게 패배해 마스터스 토론토 진출마저 좌절되어 경기 후 MaKo가 눈물을 보이는 등 큰 나비효과와 민폐를 끼쳤다.[T] 이전에는 Viper V2 PRO를 사용했다.[7] DPI는 400을 자주 쓰나 가끔씩 800도 쓴다.[8] 감도를 정말 자주 바꾼다. 보통 eDPI 120 ~ 200 사이에서 변경한다.[A] prosettings.net 기준.[T] [11] 패드 또한 자주 바꾸는 편이다. 이전에는 Artisan Hayate Otsu XSoft XL Wine Red를 오래 사용했다.[12] 모니터 설정은 정해놓은 것 없이 아무렇게나 쓴다고 한다.[13] 입력지점 1.0, 떼는지점 0.2 (래피드 트리거 기능은 WASD, Ctrl에만 적용). 이전에는 Razer Huntsman V3 Pro Mini를 사용했다.[A] prosettings.net 기준.[15] 그래서 한동안 시키모리 미야코가 프사였다.[16] 본인은 중국어를 잘 못한다고 한다.
(2023.07.27 ~ 2023.12.12)[3] 비활성화: 2024.04.04 ~ 2024.05.30[4] DRX Academy
(2025.04.23 ~ 2025.07.06)[5] 문제는 다음 경기인 BOOM Esports와의 경기는 조 1위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경기였다. 하지만 Flashback의 이탈로 인해 DRX는 기존에 준비하던 전략이 모두 물거품이 되고 말았으며, 결국 BeYN을 긴급투입하고 선수들의 포지션을 임시방편으로 변경하였으나 결국 1대2로 패배하고 말았다. 심지어 선수들이 새 전략을 준비하고 다시 적응해야 했기에 그동안은 폼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결국 RRQ, PRX에게 패배해 마스터스 토론토 진출마저 좌절되어 경기 후 MaKo가 눈물을 보이는 등 큰 나비효과와 민폐를 끼쳤다.[T] 이전에는 Viper V2 PRO를 사용했다.[7] DPI는 400을 자주 쓰나 가끔씩 800도 쓴다.[8] 감도를 정말 자주 바꾼다. 보통 eDPI 120 ~ 200 사이에서 변경한다.[A] prosettings.net 기준.[T] [11] 패드 또한 자주 바꾸는 편이다. 이전에는 Artisan Hayate Otsu XSoft XL Wine Red를 오래 사용했다.[12] 모니터 설정은 정해놓은 것 없이 아무렇게나 쓴다고 한다.[13] 입력지점 1.0, 떼는지점 0.2 (래피드 트리거 기능은 WASD, Ctrl에만 적용). 이전에는 Razer Huntsman V3 Pro Mini를 사용했다.[A] prosettings.net 기준.[15] 그래서 한동안 시키모리 미야코가 프사였다.[16] 본인은 중국어를 잘 못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