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08:19:15

존 내시

존 내쉬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69 1970 1971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랑나르 프리슈 얀 틴베르헌 폴 새뮤얼슨 사이먼 쿠즈네츠
<rowcolor=#cd9f51> 1972 1973 1974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존 힉스 케네스 애로우 바실리 레온티예프 군나르 뮈르달
<rowcolor=#cd9f51> 1974 1975 197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찰링 코프만스 레오니트 칸토로비치 밀턴 프리드먼
<rowcolor=#cd9f51> 1977 1978 1979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베르틸 올린 제임스 미드 허버트 사이먼 시어도어 슐츠
<rowcolor=#cd9f51> 1979 1980 1981 1982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서 루이스 로런스 클라인 제임스 토빈 조지 스티글러
<rowcolor=#cd9f51> 1983 1984 1985 1986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제라르 드브뢰 리처드 스톤 프랑코 모딜리아니 제임스 뷰캐넌
<rowcolor=#cd9f51> 1987 1988 1989 199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솔로우 모리스 알레 트뤼그베 호벨모 해리 마코위츠
<rowcolor=#cd9f51> 1990 1991 199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머턴 밀러 윌리엄 샤프 로널드 코즈 게리 베커
<rowcolor=#cd9f51> 199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포겔 더글러스 노스 존 하사니 존 내시
<rowcolor=#cd9f51> 1994 1995 199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라인하르트 젤텐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 제임스 멀리스 윌리엄 비크리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로버트 머튼 마이런 숄즈 아마르티야 센 로버트 먼델
<rowcolor=#cd9f51> 200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제임스 헤크먼 대니얼 맥패든
}}}
}}}}}}}}}
[ 21세기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장피에르 세르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이클 아티야
파일:영국 국기.svg
이자도어 싱어
파일:미국 국기.svg
럭스 페테르
파일:헝가리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렌나르트 칼레손
파일:스웨덴 국기.svg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스리니바사 바라단
파일:인도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존 그릭스 톰슨
파일:미국 국기.svg
자크 티츠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하일 그로모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존 테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존 밀너
파일:미국 국기.svg
세메레디 엔드레
파일:헝가리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피에르 들리뉴
파일:벨기에 국기.svg
야코프 그리고리예비치 시나이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존 내시
파일:미국 국기.svg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루이스 니런버그
파일:캐나다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앤드루 와일스
파일:영국 국기.svg
이브 메이에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버트 랭글랜즈
파일:캐나다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카렌 울렌벡
파일:미국 국기.svg
2020년 2021년 2022년
힐렐 퓌르스텐베르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라즐로 로바즈
파일:헝가리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아비 위그더슨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데니스 파넬 설리번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루이스 카파렐리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미셸 탈라그랑
파일:프랑스 국기.svg
}}}}}}}}}}}} ||

<colbgcolor=#000><colcolor=#fff> 존 포브스 내시 주니어
John Forbes Nash Jr.
파일:Cassidy-The-Triumph-of-John-Nash-Game-Theory-1200.jpg
출생 1928년 6월 13일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주 블루필드
사망 2015년 5월 23일 (향년 86세)
미국 뉴저지 주 먼로 타운쉽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수학자, 교수
신체 185cm
학력 블루필드 고등학교 (졸업, 1941~45)
카네기 공과대학 (수학 / B.S. · M.S.) (1948년)
프린스턴 대학교 (수학 / Ph.D.) (1950년)[1]
지도교수 리처드 더핀 (Richard James Duffin)[2]
앨버트 터커 (Albert William Tucker)[3]
수상 존 폰 노이만 이론상 (1978)
노벨경제학상 (1994)
NAS 회원 (1996)
아벨상 (2015)
배우자 앨리샤 라지
(1957~63년, 이혼; 2001년 재결합)
자녀 2명[4]

1. 개요2. 업적
2.1. 정신병원 입원2.2. 아벨상 수상과 사망
3. 기타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수학자이자 경제학자. 게임 이론의 초안을 낸 인물로, 1994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내시균형에서 말하는 내시가 바로 존 내시이다.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인 리만 가설을 강연하다가 정신병을 앓게 된 일화가 유명하다. 이를 토대로 만든 전기 영화러셀 크로우가 주연을 맡은 뷰티풀 마인드(A Beautiful Mind, 2001)가 있다.

2015년 5월 23일 아벨상을 받은 후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2. 업적

박사과정 1~2년차에 그의 가장 대표적인 이론인 게임 이론의 논문을 작성했다.[5] 워낙 유명한 이론인지라 비전공자들도 게임 이론에서 내시균형이 있다는 사실 정도는 들어봤을 것이다.

그런데 내시균형은 비협조적 게임에서의 개념이고, 협조적 게임에서 협상이 이뤄질 때에 대한 내시협상해[6]라는 개념을 제시한 업적도 있다. 참고로 뷰티풀 마인드에서 러셀 크로우가 그리는, 제 1사분면에서 위로 볼록한 그래프를 보고 게임이론에서의 내시균형을 나타낸 것이라고 말하는 영화평론가나 블로그, 책 등이 꽤나 있는데, 이는 내시협상해와 관련된 그래프이다.

이런저런 이론으로 경제학에 크게 기여를 했지만, 이와는 별개로 리만 가설에 대해 연구했었다고 한다. 수학자 본연의 정수론적 떡밥인 소수의 성질과 관련한 문제였기에, 내시는 이를 지나칠 수가 없었다.

2.1. 정신병원 입원

그런데 콜롬비아 대학 학회에서 리만 가설 관련 강연을 하던 내시는 말을 더듬고 횡설수설하는 등 정상이 아닌 모습을 보였고 결국 강연이 취소되는 일이 일어났다. 사실 원래부터 내시의 정신상태는 상당히 심각해지고 있었고, 끝내 조현병 판정을 받고 매사추세츠 주맥린 정신병원에서 입원 생활을 하기에 이른다.

그의 초기 증세는 다분히 망상적이었으며, 붉은 넥타이를 한 사람들이 자신을 감시하는 소련공산주의 스파이라는 망상에 시달렸다. 그는 이후 워싱턴 D.C.에 이러한 주장을 담은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이후 내시는 정신병원에서 9년 간을 보내며 약물 치료와 인슐린 요법 등을 받았다. 병원을 나온 이후 간혹 처방된 약을 먹었으나, 내시는 약의 효능이 과장되었으며 부작용에 대해 과소평가되었다고 주장했다.[7]

조현병 발병으로 인해 내시는 학계에서 은퇴했었으나, 이후에 병에서 회복하여 활동을 재개하여 추가적인 업적까지 쌓는 천재적 능력을 보였다. 사실 퇴원 이후에도 내시는 환청을 포함한 조현병 증상을 간혹 겪었지만, 망상증이 자신의 인정받고 싶은 욕구와 자신이 특별하다는 자의식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기에 점차 이러한 망상적 생각(비이성적인 생각, 정치적 동기를 가진 생각)들을 이성적인 사고와 분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2.2. 아벨상 수상과 사망

2015년 5월 19일, 노르웨이에서 하랄 5세에게 아벨상을 수여받게 되었다. 연구업적은 편미분방정식을 통한 다양체 연구에 대한 업적이 인정받아 수상하게 되었다. 수상 인터뷰에서 노벨상과 아벨상 중 어느 것이 더 가치 있게 느껴지냐는 질문에 2분의 13분의 1보다 더 낫지 않겠냐는 재치있는 답변을 내놓았다고 한다.[8]

그런데, 5월 23일 미국으로 돌아와 공항에서 귀가를 위해 부인과 함께 택시를 탔는데 교통사고로 부인과 함께 사망했다. 사고 경위는 택시기사가 앞에 있던 차를 추월하기 위해 차선을 넘던 중(가변도로의 중앙차로였다) 그만 가드레일에 충돌한 것이라고 현지 경찰이 밝혔다. 안전벨트를 매지 않고 있던 내시 내외는 그만 차 밖으로 튕겨져 나가 안타깝게도 사망했다. 기사

3. 기타

파일:john_nash_mathematical_genius.png
존 내쉬는 카네기 공과대학교를 올해 6월 졸업한 19살 학생입니다. 이 학생은 수학 천재입니다.
존 내쉬의 지도교수를 맡은 리처드 더핀의 추천서 전문.

4. 관련 문서



[1] 박사 학위 논문 : Non-Cooperative Games = 비협력적인 게임들(1950).[2] 카네기 멜런 대학교 지도교수[3] 프린스턴 대학교 지도교수[4] 둘다 아들이며 어머니는 각자 다르다.[5] 이 논문으로 내시는 박사과정을 2년만에 졸업했다. 물론 박사과정 입학 당시 이미 석사학위를 가지고 있었고, 당시에는 박사과정이 그렇게까지 길지 않긴 했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충분히 빠르다. 참고로 박사 과정 지도교수는 쿤-터커 정리로 알려진 알버트 터커.[6] 좀 더 첨언을 하자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분배방식에 대한 특성들 중 파레토효율성, 대칭성, 무관한 선택대안으로부터의 독립(IIA) 그리고 선형변형에 대한 불변성이라는 4가지 공리를 동시에 만족하는 협상해가 유일하게 내시협상해로 결정됨을 증명하였다.[7] 전기 영화 뷰티풀 마인드에서는 내시의 이러한 주장이 정신질환자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해 해당 내용을 다소 각색했다. 1세대 항정신병제들이 부작용이 심각했던 건 사실이지만 요즘에는 부작용이 많이 줄어든 2세대 치료제들도 많이 나왔으며, 1세대 치료제들도 부작용이 견딜만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고 한다. 존 내시도 말년에 나온 2세대 신약 리스페리돈은 잘 맞아 증상이 상당히 호전되었다고 한다.[8] 아벨상은 최대 2인까지, 노벨상은 최대 3인까지 공동수상이 가능하다.[9] 당시 명칭은 카네기 공과대학교(Carnegie Institute of Technology), 줄여서 카네기텍(Carnegie Tech).[10] 40세 이하만 수상 가능.[11] 말년에 가서 증상이 완화된 이유는 당시 신약이던 '리스페리돈'이 매우 잘 맞았기 때문이란 말이 있다. 그렇다면 그 전까지 약에 대해 부정적이었던 이유도 자신에게 잘 맞는 약을 찾지 못해서였을 수 있다.[12] 실제로 암이 그렇듯이 유전적인 요소도 조현병의 유발 원인 중 하나다. 즉 내시(Nash)가문에게 있어 조현병은 가족력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