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6 15:42:04

주대환

주대환
周大煥
파일:주대환.jpg
<colbgcolor=#808080><colcolor=#fff> 출생 1954년 6월 1일 ([age(1954-06-01)]세)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화천리[1]
학력 성호초등학교 (졸업)
마산중학교 (졸업 / 19회)
마산고등학교 (졸업 / 32회)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종교학 73 / 학사)
소속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경력 한국노동당 창당준비위원장
개혁신당 창원을 지구당 위원장
민주노동당 권영길 창원을 국회의원후보 선거대책본부장
민주노동당 정책위의장
청년연합 36.5 자문위원
사회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
바른미래당 당무감사위원회 위원장
플랫폼 자유와 공화 공동의장
외부 링크 페이스북
블로그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4. 소속 정당5. 저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정치인이다.

2. 생애

1954년 6월 1일 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화천리에서 고등학교 교사였던 아버지의 1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아버지의 잦은 근무지 이동으로 칠북초등학교, 함안 가야초등학교, 마산 회원초등학교 등 3곳의 학교를 전전했으며, 초등학교 4학년 때 성호초등학교에 전학하여 그곳에서 졸업했다.

마산중학교(19회), 마산고등학교(32회), 1985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철학과 종교학 전공[2](73학번)를 졸업하였다. 대학 입학 이후 학생운동과 민주화운동에 참여하여 1974년 민청학련 사건, 1979년 부마민주항쟁으로 구속되었다.[3]

노회찬 등과 함께 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 활동을 했다. 이 과정에서 1991년 9월 29일 '회사의 노동자 정당 건설 전략에 재고를 요청함'(통칭 '신노선')이라는 문건을 발표했는데, 이 문건은 인민노련이 지하조직운동을 청산하고 합법적 노동자계급 정당 건설로 방향을 전환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쳤다.

1992년 노회찬 등과 함께 가칭 한국사회주의노동자당(약칭 한국노동당) 창당을 추진하면서 창당준비위원장을 맡았다.[4] 한국노동당 창준위는 김문수, 이우재가 주도하던 민중당에 합류하여 통합민중당이 되었으나 1992년 총선에서 참패하면서 자동해산되었다.

1995년 노회찬과 함께 개혁신당에 입당, 창원 을 지역위원장을 맡았다.

1997년 국민승리21 마산창원지부장을 맡았다. 2000년 민주노동당 창당에 참여하였고 마산갑 지역위원장을 맡았다.

2002년 5월 사회당 최혁 부대표와 비밀리에 통합 협상을 진행했다. 이 협상안은 민주노동당 중앙에 보고되었으나 상부로부터 묵살당했다고 한다. 기사

2002년 8월 김호일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인하여 치러진 2002년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노동당 후보로 경상남도 마산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김정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4월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노동당 후보로 경상남도 마산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김정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6월 민주노동당 전당대회에서 정책위원회 의장으로 출마, 당선되었다. 정책위의장 선거 토론회 도중, 경기동부 계열 이용대 후보에게 북한에 대한 입장 표명을 요구하여 당내에서 논쟁이 일어났다. 관련 기사 2006년에는 민주노동당 당대표 후보로 출마했으나 문성현 후보에게 밀려 낙선했다.[5]

2008년 3월 민주노동당 분당 사태가 벌어지자 탈당 대열에 합류했다.[6] 다른 평등파들과는 달리 진보신당에는 합류하지 않은 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남도 마산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이주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2년 1월 27일 민주통합당에 전격 입당했다.[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창원시 성산구에 공천을 신청했으나 경선에서 탈락했다.[8] 민주통합당 제18대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 당시에는 손학규 캠프에서 경제민주화 정책위원장으로 활동했다. 당시 '경제민주화'가 화두로 떠오르자 손학규 캠프에서는 주대환을 비롯한 민주노총, 민주노동당 출신 인사들을 대거 영입하여 대단히 진보적인 정책공약을 만들었는데, 지금도 회자되는 '저녁이 있는 삶'이란 구호도 이들이 만든 것이다.

이후 사회민주당 공동창당준비위원장을 맡기도 했으나 국민의당에 입당했고 바른정당과의 합당 후 바른미래당 당무감사위원장 등을 맡았다. 2019년 6월 28일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에 의하여 혁신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14일 만인 7월 11일 전격 사퇴하였다.#

2021년 검찰총장 직을 사퇴하고 정치에 뛰어든 윤석열을 만났다.# 2024년에는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으로 거론되기도 했다.#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02 상반기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경남 마산 갑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3,141 (6.92%) 낙선 (4위)
200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9,773 (10.66%) 낙선 (3위)
2008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정치)|
무소속
]]
8,436 (12.81%) 낙선 (2위)

4.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파일:민중의당.png
1988 창당
정계 입문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88 - 1990 정당 해산

파일:한국노동당.pn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1 - 1992 창당준비위원회


파일:민중당 1990년 글자.svg
1992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2 - 1995 정당 해산


파일:개혁신당(1995년) 흰색 로고타입.svg
1995 창당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995 - 1997 합당[9]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7 탈당[10]


[[건설국민승리21|
파일:건설국민승리21 글자.svg
]]
1997 - 1999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9 - 2000 정당 해산[11]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 - 2008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08 - 2012 탈당[12]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2 - 2013 입당


[[민주당(2013년)|
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3 - 2014 당명 변경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014 - 2015 합당[13]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5 탈당[14]


[[사회민주당(2015년)|
파일:사회민주당(2015년) 흰색 로고타입.svg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5 - 2016 창당준비위원회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6 탈당[15]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6 - 2018 창당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8 - 2020 합당[16]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20 - 현재 탈당[17]

5. 저서


[1] #[2]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3] 출처 미디어스 기사[4] 출처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68912.[5] 문성현은 원래 심상정과 함께 활동하던 PD(정파) 출신이지만, 이 선거에서는 마땅한 당대표 후보가 없던 NL계열의 몰표를 받고 당선되었다. 이후 사실상 바지사장으로 전락한다.[6] 출처 http://www.redian.org/archive/20243[7] 출처 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70253[8] 경선 승자는 변철호라는 사람이었는데, 본선에서는 통합진보당과의 야권연대로 중도 사퇴했으며, 나중에는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새누리당으로 옮겨갔다.# 이후 다시 민주당으로 복당하여 부대변인을 맡았다.[9] 민주당과 신설 합당.[10] 국민승리21 창당을 위한 탈당.[11] 민주노동당 창당 목적.[12]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3]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14] 사회민주당 창당을 위한 탈당.[15] 국민의당 창당을 위한 탈당.[16] 바른정당과 신설 합당.[17]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