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17:31:11

찍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사 '찍다'에 대한 내용은 찍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태권도의 발차기 기술에 대한 내용은 내려차기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용도3. 찍는 방식
3.1. 수능 찍기 방법3.2. 그럴싸한 것 사이에서 찍기
4. 찍었다가 고치기5. 특이한 문제6. 오답감점제7. 기타8. 관련 문서

1. 개요

객관식 시험에서 문제를 풀지 않고 임의로 답을 고르는 행위이다.

2. 용도

모르는 문제가 나왔을 때 답을 쓰지 않고 그냥 넘어가면 오답 처리가 되지만, 찍기를 하면 확률에 맡기는 것이므로 정답이 될 수도 있다. 중간고사, 기말고사, 모의고사, 심지어는 자격증 필기시험, 대학수학능력시험, TOEIC이나 공무원 시험에서까지 통용된다. 심지어 수능 수학 영역 주관식(단답형)조차도 0~999 사이의 번호를 하나 고르는 시스템이라 엄밀히 말하면 1000지선다형 객관식이기 때문에 운이 매우 좋으면(0.1% 확률) 찍어서 맞추는 게 가능하다. 수능 수학 주관식의 경우 정답이 999 이하의 자연수로 나오지 않으면 마지막에 곱셈을 넣거나 나눗셈을 넣거나 하여 자연수로 무조건 떨어지게 만들기 때문.[1]

공무원 시험에서도 찍기 스킬로 시험에 합격하는 경우가 가끔씩 있다. 물론 공무원 시험은 과락이라는 것이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과목에서 다 찍기 스킬로 시험을 보면 99.99% 불합격이거니와, 다른 과목은 모두 90점 이상을 맞아 합격선 안에 들었다고 해도 단 한 과목이라도 40점 미만을 맞아 과락이 되면 무조건 불합격이기 때문에 정말 시간이 급박하지 않는 이상 찍기 스킬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2]

중고등학교에서는 대부분의 시험이 객관식이라 효용성이 꽤 높았으나 2010년대 후반 이후로 많은 학교들이 전 과목 시험에 서술형 주관식을 도입한 이후로 찍기의 효용성은 점차 떨어지는 추세이다.

레이튼 시리즈와 같은 퀴즈 게임에서도 여러 개의 버튼 중 하나를 고르는 문제는 그냥 찍을 수 있다. 다만 선택지가 적은 퀴즈의 경우 틀릴 때마다 정답 확률이 극도로 높아지기 때문에 맞췄을 때 얻는 반짝캐럿이 그것에 반비례하여 격감한다.

3. 찍는 방식

파일:1000092091.jpg

찍을 때 일부는 OMR 카드에 찍기 아트를 선보인다. OMR 카드에 일자, 지그재그, 동그라미, 세모, 네모, 하트는 기본이고, 글자를 만든다든지, 창문을 그린다든지, 집을 그린다든지 하는 등 LED를 방불케 하는 각종 그림 창작 활동의 터전이 되기도 한다. 서술형 칸에는 '선생님 사랑해요', '점수 올려 주세요' 등의 편지를 쓰기도 한다.[3]

54321로 번개를 표현한 찍기도 있다.

수포자 등과 같이 특정 과목에 한해 성적이 매우 낮아 시험 문제를 풀지 못하거나, 아예 공부에 손을 놓은 학생들의 경우 모든 문항을 한 가지 번호로만 마킹하는 방법이 찍기 중에서 가장 편하고 시간도 적게 걸리므로 가장 보편적이다. 이를 한줄밀기, 한줄찍기, 일자찍기, 일자진, 기둥세우기, 줄타기 등으로 칭하며 중요한 시험은 특정 번호가 지나치게 많이 또는 적게 나와 당황하거나[4] 찍기로 고득점을 맞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특정 번호에 정답이 집중되지 않도록 고르게 분배하는 편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안정적인 점수는 보장되는 찍기 방법이다.[5] 단 일일이 마킹하는 것이 귀찮다는 이유로 번호를 따라 자를 대고 선을 쭉 긋는 것과 같이 마킹을 할 경우 마킹란을 벗어나는 부분이 많아 무효 처리가 되어서 0점이 될 수도 있다.

물론 상술한 한 번호로 쭉 마킹하는 것 말고 무작위로 아무렇게나 찍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해도 얻을 수 있는 점수의 기댓값은 한 번호로 쭉 미는 것과 마찬가지이며, 운이 좋으면 한 번호로 찍는 것보다 점수가 높게 나오지만 운이 나쁘면 낮게 나오므로 안정성이 떨어진다. 심지어는 다 마킹하고도 0점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아무리 공부와 담 쌓은 학생일지라도 머리를 굴리면 상식선에서 답이 나오는 것이 몇 개 있는 중학교에서는 거의 없는 편이지만, 아예 개념을 모르면 손을 못 대는 고등학교의 시험에서는 이따끔씩 나타난다. 특히 문제 수도 타 과목에 비해 적게 내는 편이며 개념이 어려운 수학에서 그런 경우가 많다.예시 1 예시 2

3.1. 수능 찍기 방법

한 때, 오르비에서 한 회원이 제시한 찍기 방법으로 수능 수학영역에 최적화된 방법이다. ㄱ, ㄴ, ㄷ 유형 문제에 대한 뛰어난 적중률로 화제가 되었었다.[6] 단순한 찍기 방법이 아니라 통계적이고 근거가 있는 찍기 방법이지만, 대중들에게는 덜 알려진 방법이다.

3.2. 그럴싸한 것 사이에서 찍기

사실 정말 아무거나 고르는 것이 진짜 '찍는' 것이지만 어느 정도 그럴싸해보이는 것 사이에서 임의로 고르는 것도 포함된다.

기본적인 개념은 어느 정도 알고 있기 때문에 소거법으로 확실히 아닌 답을 골라내면 보통 긴가민가하는 문제의 경우 보기 2개가 남아서 사람 머리를 골 때리게 만든다. 이럴 땐 주로 확률공학(?)[7]이라는 이름으로 나름대로 체계적인 찍기력을 선보이기도 한다.

쉬운 문제만 풀고 어려운 문제는 찍고 보는(특히 영어, 애매한 문제가 많다.) 중상위권 학생들은 일부 문제를 찍었는데 운이 좋아서 1등급이 나온다던가 하는 우연도 빈번한 편이다.

4. 찍었다가 고치기

'고친다/안 고친다', '원래의 답이 맞았다/틀렸다', '고치거나 고치려고 했던 답이 틀렸다/맞았다'라는 변수가 있다. 2*2*2=8가지에서 원래 답이 맞았을 경우 고치려던 답이 맞는 경우가 없으므로 두 경우가 빠져서 여섯 가지가 된다. 정답의 가능성이 완전히 20%씩 분포되어있다고 쳤을 때 확률은 대략 아래와 같다.

답을 바꾸는 걸 망설이는 이유는 처음 선지를 찍은 상태를 기본값으로 생각하고, 답을 바꿨다 틀리는 것을 일종의 추가적 손실로 인지하기 때문이다.

몬티 홀 문제도 참조하면 좋다.

5. 특이한 문제

파일:miVtWPz.jpg
어느 학교에서 실제로 출제된 수학 문제를 발췌한 것이다. 사실 수학 문제에서는 정의가 명확해야 하므로 '찍다'라는 말보다는 "임의의 선택지를 하나 골랐을 때"라고 표현하는 것이 좋다.

문제 속에 문제가 있어 다소 혼란스러운 면이 있다. 가령 "이 문제를 찍었을 때"라는 것은 일종의 자기 호출인 데다 시작부터 두 가지 다른 종류의 선택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문제를 찍었을 때"는 '임의 선택'이나, "이 문제를 찍었을 때 맞출 확률을 골라라"는 "오지선다 문제에서 답을 임의로 선택했을 때 맞출 확률을 계산해서 골라라"로 '판단에 입각한 선택'으로 '임의 선택'이 아니다. 말하자면 "이 문제를 찍었을 때 맞출 확률은?"이라고 이 문제를 찍어서 풀라는 뜻은 아니라는 것이다.

문제 내의 조건도 잘 갖추어지지 않았다. 일단 "이 문제"에서 '오지선다'라는 형식은 명확하나, 1개 답만 인정하는지 중복 답을 인정하는지는 제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혼란을 피하기 위해 엄밀히는 "오지선다 문제에서 임의의 1개 선택지를 선택했을 때 맞출 확률은?"이라고 '문제 내의 조건'(임의 선택)과 '문제를 푸는 조건'(판단에 입각한 선택)을 분리하고, '오지선다 문제에서 임의의 1개 선택지를 선택했을 때'로 문제 내의 조건을 확실시하겠다.

자기 호출 문제와 조건을 일단 처리하고 넘어간다면 "오지선다에서 1개 답을 임의로 선택해 맞출 확률은 (경우의 수가 5가지이며 각 경우의 확률이 동일하므로) 20%이다"라는 문제 풀이를 하게 된다.[8] 그러면 (1)과 (4)가 20%라는 숫자를 가리키고 있으므로 이를 답으로 고르면 된다.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문제 내의 조건'은 "오지선다 문제에서 한 선택지를 임의로 선택했을 때"로 전제하기는 했으나, 푸는 사람은 그 조건을 따를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문제 내의 조건이지, 문제를 푸는 조건이 아니기 때문이다. 문제 내의 조건을 문제 푸는 조건으로 생각한다면 이 문제도 "오지선다에서 1개 답을 임의로 골라 맞을 확률은 20%이다"와 같은 확률 계산 없이 임의로 선택해야 할 것이다.

(1)과 (4)를 마킹해서 푼다면 맞을 확률은 100%이다. 한편 "1개만 고른다"라는 문제 내의 조건을 문제를 풀 때도 적용한다면 50%가 된다. 그러나 100%이든(2개 마킹 허용) 50%이든(1개 마킹만 허용) 이는 푸는 과정이 포함되므로 순수하게 "임의로 선택해서 맞출 확률"이라고는 볼 수 없다. 그리고 이미 "이 문제"는 "오지선다 문제에서 1개 선택지를 임의로 선택하기"인 것으로 전제했는데 이 단계에서까지 "이 문제"라는 조건을 적용하면 "'오지선다 문제에서 1개 선택지를 임의로 선택하여 정답을 맞출 확률'을 계산해서 선택하려는데, 이 단계에서 선택지를 임의로 선택하여 맞출 확률"로 전제가 전혀 달라진다. 문제 내에서 자기 호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처럼 전제가 두 단계에 걸쳐 이루어지는 혼란이 발생한다.

간혹 "오지선다에서 1개를 임의로 선택해 맞출 확률은 20%이다"라는 결론을 낸 후, 5개 선택지 중 20%를 가리키는 것이 2개이므로 임의로 선택해서 맞출 확률이 40%라고 오해하기도 한다. 이 역시 "이 문제"라는 표현 때문에 문제 내의 조건과 문제를 푸는 조건이 섞여버린 것이다. 20%라는 답은 어디까지나 "오지선다에서 정답인 선택지는 1개이고 5개 중 한 선택지를 임의로 선택했을 때"라는 '문제 내의 조건'에서 도출된 수치이다. 이 수치는 가상의 문제(오지선다형 1개 선택 문제)로부터 도출된 것이지, 지금 풀고 있는 바로 이 문제에서 도출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바로 이 문제에서 '20%'를 가리키는 선택지가 1개이든 2개이든 "오지선다에서 1개를 임의로 선택해 맞출 확률은 20%이다"라는 결론은 변하지 않는 것이다. 제대로 된 문제라면 이 두 개념이 섞여서는 안 된다. 그러나 "이 문제를 찍었을 때"라고 표현했기 때문에, 여기서 답이 20%임을 계산한 뒤 "답이 20%일 때 임의 선택으로 맞출 확률"을 또 계산하면 '문제 내의 조건'을 통해 나온 확률을 '문제를 푸는 조건'에 대입한다고 해도 문제의 표현을 잘못 해석했다고 할 수는 없다('문제' 자체의 정의가 빈약하므로). 다만 '40%가 답이다'라고 할 순 없을 것이다. "이 문제를 임의 선택으로 맞출 확률"이 40%로 변동했으므로, "이 문제의 답이 40%일 때 임의 선택으로 맞출 확률"을 또 계산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선택지에 '40%'는 없으므로 임의 선택으로 맞출 확률은 0%가 된다. 이 문제의 경우 '0%'를 가리키는 선택지가 없고, 결국에 언젠가는 선택지에 없는 확률을 가리킬 가능성이 높으므로 대개는 "선택지 내에 답이 없다"라는 결론에 이르게 될 가능성이 제일 높다.[9] 결국에 이런 식의 풀이는 확률이 끊임없이 변화하게 되어 푸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답이 20%이고 20%를 가리키는 선택지가 5개 중 1개뿐인 경우 "이 문제를 임의 선택해서 맞출 확률"을 끊임없이 호출해도 20%인 선택지로 유지되는 특징이 있기에 별 문제를 느끼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문제 내의 조건이 아니라 문제를 푸는 조건도 "임의로 선택해서 맞춰라"로 지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문제를 내려면 "출제자가 생각한 숫자 n이 무엇인지 맞춰라", "출제자가 생각한 선택지 (n)이 무엇인지 맞춰라"로 내야 한다. 전자의 경우 (1)과 (4)는 같은 숫자를 가리키고 있으므로 복수 정답으로 처리될 것이고 선택지는 4개인 것이나 마찬가지이니 임의로 선택해서 맞출 확률은 25%가 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1)과 (4)는 써진 숫자가 같든 말든 상관 없는 선택지이므로 20%이다. 이렇게 된다면 답은 "출제자가 생각한 숫자(혹은 선택지)"가 되므로, 이 자리에서 각 선택지의 확률은 알 수 있을지언정 정답인 선택지가 무엇인지는 알 수 없으며, 각 선택지의 확률도 정답인 선택지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6. 오답감점제

고른 답이 오답이라면 점수를 깎아버려서 해당 문제를 0점보다 더 낮은 마이너스 점수로 처리하는 오답감점제를 적용하는 객관식 시험이라면[10] 찍는 것도 신중히 해야 할 것이다. 외국의 여러 선발용 시험에서 이 제도를 택하는 경우가 많으며, 국내에서는 삼성그룹의 직무적성검사인 GSAT가 대표적이다. 이 외에도 대학교 시험에서도 적용하기도 한다.

7. 기타

5지선다 20문제라 가정할 경우 모두 틀릴 확률은 약 1.15%다. 5지선다형 한 문제를 틀릴 확률은 5개 선지 중에서 맞는 선지 하나를 뺀 나머지 4개를 고를 확률, 즉 [math(\displaystyle\frac{4}{5})]이다. 그리고 20개 모두 틀릴 확률은, 독립시행의 확률에 의해 [math(\displaystyle \binom{20}{20} \times \left( \frac{4}{5} \right)^{20})], 즉 약 1.15%가 된다.

8. 관련 문서



[1] 심지어 서로소 조건을 이용한 주관식 찍기 스킬도 있다![2] 물론 최상위권 수험생들도 찍기 스킬을 쓰기도 한다. 다만 막 찍기 보다 오답 선지를 다 걷어내고 2지선다로 좁혀 찍는다.[3] 다만, 실제로 제출하는 답안지에 이와 같은 행동을 할 경우 시험이 장난이냐며 혼내는 교사들도 있다.[4] 실제로 수능에서도 국어 영역 1~7번 문제의 정답 분배가 4444544가 나오고 2번은 20번 문제에서야 처음 등장하여 수많은 수험생들이 혼란을 겪은 사례가 있다.[5] 더욱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중고등학교의 내신 시험에서 객관식의 경우 대개 5지 선다로 출제하는 것이 일반적이기에 모든 문항을 찍으면 평균적으로 20점 정도를 얻을 수 있다는 뜻이 된다. 단, 이런 식으로 높은 점수를 얻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에서 특정 번호에 정답을 거의 또는 전혀 넣지 않거나, OMR카드에는 5번까지 있지만 실제 문제에 적용되는 선지는 그보다 적게 만든다거나 하는 등 이런 행위에 대해 대책을 세우는 교사들도 일부 있다.[6] https://orbi.kr/0004713903[7] 객관식 선지 정답 비율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가장 적게 나온 번호 순으로 검토하거나 찍는 행위. 물론, 일정량 이상 문제를 풀었고 그 문제가 거의 다 정답이라는 조건 하에 적중함.[8] 개수 제한 없이 중복 답안이 가능하다면 경우의 수는 32가지가 되며, 1~2개 답까지 가능하다면 5C2 + 5C1로 15가지의 경우의 수가 있다.[9] 만약 '20%'인 선택지가 2개 있고, '40%'인 게 0개 있고, '0%'인 게 1개 있다면 답이 '20%'>'40%'>'0%'로 순환하게 된다.[10] 당연히 주관식이나 서술형, 논술형의 경우 오답감점제가 존재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