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1 22:39:01

콘티넨탈 하키 리그

컨티넨탈 하키 리그에서 넘어옴
Континентальная хоккейная лига
Kontinental Hockey League
콘티넨탈 하키 리그
파일:KHL 로고.svg
<colbgcolor=#000><colcolor=#fff> 명칭 러시아어: Континентальная хоккейная лига
벨라루스어: Кантынентальная хакейная ліга
카자흐스탄어: Құрлықтық хоккей лигасы
중문: 大陸冰球聯賽
영문: Kontinental Hockey League
국문: 콘티넨탈 하키 리그
종목 아이스하키
설립 2008년 ([age(2008-01-01)]주년)
리그 창설 2008-09 시즌
국가
[[러시아|]][[틀:국기|]][[틀:국기|]] (20개 구단) |
[[벨라루스|]][[틀:국기|]][[틀:국기|]] (1개 구단) |
[[카자흐스탄|]][[틀:국기|]][[틀:국기|]] (1개 구단) |
[[중국|]][[틀:국기|]][[틀:국기|]] (1개 구단)
회장 알렉세이 모로조프 (2020~ )
최근 우승 구단 메탈루르크 마그니토고르스크 (2023-24)
최다 우승 구단 HC CSKA 모스크바 (3회)
아크 바르스 카잔 (3회)
메탈루르크 마그니토고르스크 (3회)
링크 파일:KHL 로고.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경기 방식 및 구성3. 우승 기록 (가가린 컵)4. 소속 구단
4.1. 참가 구단 및 소속 지구 변경
4.1.1. 2014-15 시즌4.1.2. 2015-16 시즌4.1.3. 2016-17 시즌4.1.4. 2017-18 시즌4.1.5. 2018-19 시즌4.1.6. 2019-20 시즌4.1.7. 2020-21 시즌4.1.8. 2021-22 시즌4.1.9. 2022-23 시즌4.1.10. 2023-24 시즌

[clearfix]

1. 개요

콘티넨탈 하키 리그러시아아이스하키 리그이다. 유라시아(동유럽, 러시아, 북아시아)의 최상위 프로 아이스하키 리그로서 러시아는 물론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중국에서도 하나의 구단씩 참여하고 있다.

세계 스포츠 리그 수익 30위를 기록하고 있으며,[1] 러시아의 국민 스포츠답게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원래 NHL의 문을 두드리던 유럽 출신 아이스하키 선수들도 KHL이 세워지고 발전되면서 러시아에서도 프로 선수 생활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과거 NHL이 2012-13 시즌을 단축시즌으로 치르게 되어 곤란한 상황을 맞이하는 동안 KHL 구단들의 현질로 선수들을 많이 영입했었다. 당시 가즈프롬이 메인스폰서를 맡고 있는 SKA 상트페테르부르크뉴저지 데블스 소속의 일리야 코발추크를 영입했던 사건은 NHL에서도 꽤나 충공깽한 사건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2] NHL에 이은 세계 제2의 아이스하키 리그이기 때문에 세계 각국의 선수들이 소속되어 있다. 하지만 러시아전쟁을 일으키자 2021-22 시즌 플레이오프를 기점으로 적지 않은 외국인 선수들이 빠져나갔다.

2014년부터 핀란드의 아이스하키 리그인 SM Liga 소속의 요케리트 헬싱키(Jokerit Helsingki)가 KHL로 소속을 변경하여 2022년까지 참가했다. 그리고 다음 시즌부터 아시아 연고의 KHL 팀을 만든다는 소문이 나왔고 출처, 2016-17 시즌부터 중국 베이징에 연고를 둔 쿤룬 레드스타가 정식으로 리그 일정을 소화 중이다. 신생팀임에도 불구하고 첫 시즌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이후로는 컨퍼런스 내에서 하위권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꾸준히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소속의 사할린 팀의, 이 리그 참가 루머가 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에 참가한 리그 중 최상위 리그이며, 해당 기간 동안 KHL 선수들 자신의 이름과 얼굴을 각인시켰다.

2. 경기 방식 및 구성

KHL은 2개 컨퍼런스(동부, 서부)로 나뉘어있으며, 각 컨퍼런스에 2개 지구(동부 체르니쇼프, 하를라모프 / 서부 타라소프, 보브로프)로 구성되어 있다.

참가팀 수가 바뀌는 경우가 많아 경기 수도 자주 바뀌며, 2024-25 시즌에는 팀당 정규 리그 68경기를 치른다. 플레이오프 진출 자격은 각 컨퍼런스 상위 8개 팀에게 주어지며, 플레이오프 우승팀은 가가린 컵을 우승 트로피로 받게 된다.

외국인 선수 규정은 러시아 연고팀이라면 5명의 외국인을 보유할 수 있다. 단, 골리는 1명까지만 보유할 수 있다.

리그 개막전인 오프닝 컵(Opening Cup)[3]이 있고, 정규리그에서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팀에게는 콘티넨탈 컵(Continental Cup)이 주어진다. 나데즈다 컵(Nadezhda Cup)이 개최된 적도 있었지만, 앞서 언급된 가가린 컵이 실질적인 챔피언결정전 역할을 하고 있다.

3. 우승 기록 (가가린 컵)

2008-09 아크 바르스 카잔
2009-10 아크 바르스 카잔
2010-11 살라바트 율라예프 우파
2011-12 디나모 모스크바
2012-13 디나모 모스크바
2013-14 메탈루르크 마그니토고르스크
2014-15 SKA 상트페테르부르크
2015-16 메탈루르크 마그니토고르스크
2016-17 SKA 상트페테르부르크
2017-18 아크 바르스 카잔
2018-19 CSKA 모스크바
2019-20 없음[4]
2020-21 아반가르트 옴스크
2021-22 CSKA 모스크바
2022-23 CSKA 모스크바
2023-24 메탈루르크 마그니토고르스크

4. 소속 구단

콘티넨탈 하키 리그/소속 구단 항목 참고.

4.1. 참가 구단 및 소속 지구 변경

아직 리그 초창기일 뿐만 아니라 워낙 다양한 국가가 참여하는 특성상 참여구단이 자주 바뀌는 편이다. 또한 기존 구단들의 소속지구 변동도 자주 있다.

4.1.1. 2014-15 시즌

4.1.2. 2015-16 시즌

4.1.3. 2016-17 시즌

4.1.4. 2017-18 시즌

4.1.5. 2018-19 시즌

4.1.6. 2019-20 시즌

4.1.7. 2020-21 시즌

4.1.8. 2021-22 시즌

4.1.9. 2022-23 시즌

4.1.10. 2023-24 시즌


[1] 한국프로야구보다 높다.[2] 다만 해당선수는 5년동안 러시아에서 활약하다 다시 NHL로 복귀했다가 2년간 활약 후 다시 자국리그인 KHL로 복귀후 2시즌간 활동한 후 2021년도에 은퇴했다. 하지만 2023-2024 시즌 도중에 은퇴를 번복하고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에서 뛰었다.[3] 전 시즌 가가린 컵 결승전에 진출한 두 팀이 맞붙는 경우가 많다.[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영향으로 인해 PO 1라운드만 하고 취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