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13:56:00

쿠니모토 타카히로

쿠니모토에서 넘어옴
파일:쿠니모토 랴오닝.png
<colbgcolor=#ad0002><colcolor=#fff> 랴오닝 톄런 No. 10
쿠니모토 타카히로
[ruby(邦本 宜裕, ruby=くにもと たかひろ)] | Takahiro Kunimoto
K리그 등록명 쿠니모토
출생 1997년 10월 8일 ([age(1997-10-08)]세)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와카마츠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4cm / 체중 70kg
포지션 윙어, 공격형 미드필더
주발 왼발(양발)
소속 <colbgcolor=#ad0002><colcolor=#fff> 유스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13~2014)
선수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13~2014)
아비스파 후쿠오카 (2015~2017)
J리그 U-22 선발 (2015 / 임대)
경남 FC (2018~2019)
전북 현대 모터스 (2020~2022)
카사 피아 AC (2022~2023)
조호르 다룰 탁짐 FC (2023)
랴오닝 톄런 (2024~ )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d0002><colcolor=#fff> 역대 등번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38번
아비스파 후쿠오카 - 27번
경남 FC - 22번
전북 현대 모터스 - 17번
카사 피아 AC - 14번
조호르 다룰 탁짐 FC - 88번
랴오닝 톄런 - 10번, 22번
후원사 나이키
가족 배우자, 슬하 2녀
학력 사이타마시립오오하라중학교 (졸업)
통신제고등학교 (졸업)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대회 기록6. 사건 사고
6.1. 음주 운전 적발6.2. 건강보험료 체납
7. 여담8.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 국적의 랴오닝 톄런 소속 축구 선수. 실력은 있지만 몇몇 사건 사고로 구단을 옮겨다니며 아쉬움을 남긴 선수다.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쿠니모토 타카히로/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쿠니모토 타카히로/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쿠니모토 타카히로/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파일:kunimoto_nationalteam_jfa.jpg

2014년 8월, SBS컵 국제 유스 팀 대회에 출전하는 U-19 대표팀에 소집됐다. 이 대회에서 일본 대표팀은 2무 1패로 3위를 기록했다.[1]

2016년 3월, 바레인컵에 참가하는 U-19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팀 사정으로 인해 참가하지 못했다.

2017년 3월, FIFA U-20 월드컵 대표팀 훈련에 소집되었으나 최종 명단에는 들지 못했다.

2020 도쿄 올림픽에 출전 가능한 연령대인 만큼 올림픽을 대비해 와일드 카드 없이 참가한 2018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도 출전이 가능했으나, 새로 부임한 모리야스 하지메 감독은 공격진에 하타테 레오, 우에다 아야세와 같은 대학생 선수들을 기용하면서 아시안게임 참가는 결국 불발되었다.

K리그에서 좋은 성과를 보이면서 일본에서도 도쿄 올림픽 대표팀 승선을 전망하는 여론이 생겨났지만 비슷한 연령대와 포지션에 도안 리츠, 미요시 코지, 쿠보 타케후사 등 특급 유망주가 많아서 스쿼드가 18명으로 매우 한정적인 올림픽 대표팀에 소집되지 않았다.

4. 플레이 스타일



전형적인 일본의 테크니션 스타일로 고전적인 1980년대 10번 스타일, 플레이메이커의 기질을 갖췄다. 또 단단한 피지컬을 바탕으로 몸싸움을 즐기며 저돌적인 플레이를 구사하는 2010년대 공격형 미드필더의 미덕 또한 갖추고 있다. 드리블과 개인기가 좋아 측면 공략에 능하며, 날카롭고 정확한 킥 능력을 보유했으며, 공간을 활용하고 템포를 조절하는 등의 경기 운영 역시 장점이다. 반대 전환 패스와 짧은 패스가 뛰어나며 가끔 엄청난 패스를 해 득점을 도왔다. 좋은 활동량을 바탕으로 수비 가담도 활발하지만 거친 태클 때문에 카드를 수집하기도 한다. 수비는 조금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쿠니모토의 패스 창의성 만큼은 아시아 탑이다.

경남 시절, 특히 첫 시즌에 좋은 드리블 능력과 정확한 크로스를 바탕으로 주로 측면 미드필더로 뛰며 좋은 활약을 보여줬지만 본인은 측면보다는 중앙에서 뛰는 것을 좋아한다고 한다.

김종부 감독은 “경기를 보는 눈이 다른 선수들보다 한 단계 위에 있는 선수”라고 평가했다. 재정 문제로 모든 포지션에 좋은 선수를 영입할 수 없는 시민 구단에서 입단 1년 차 선수에게 팀 전술의 핵심 역할을 맡겼다는 것으로 이 선수의 재능을 말해 준다.

단점은 가끔 패스 실수를 한다. 어이없는 패스로 상대에게 소유권을 내줄 때가 많다.

5. 대회 기록

6. 사건 사고

6.1. 음주 운전 적발

2022년 7월 8일, 음주운전으로 적발되었다는 기사가 나왔다. 기사 7일 밤 술을 마신 뒤 자택으로 직접 차를 몰고 자택으로 귀가하다가 차가 비틀거리면서 가고 있다는 시민의 제보를 받은 경찰의 음주단속에 적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확인한 전북 현대 축구단 측에서는 인스타 공식 계정으로 사과문을 올렸다. 쿠니모토는 대리기사를 불러 숙소까지 간 뒤 추가로 짧은 거리를 직접 운전했다가 경찰에 적발됐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과거 임재현의 '조금 취했어'를 열창했던 모습이 발굴되며 재평가되고 있다. #

연맹은 하루 뒤인 7월 9일에 K리그 공식 경기 60일 출장 정지 임시 징계를 내렸다.# 후에 상벌위원회를 개최하여 정식 징계를 내렸다.

본국인 일본 네티즌들 반응 또한 쿠니모토가 사고를 친 전적이 많다며 전북의 대응이 당연하다는 평가가 대다수였다. 음주운전 법규가 한국보다 엄한 일본 내에서는 당연하게도 여론이 매우 안 좋으며 잘못된 행동으로 인해 팀에서 3번이나 짤렸다는 게 레전드라는 반응이다.[2]

6.2. 건강보험료 체납

기사 참조

7. 여담

8. 관련 문서


[1] 참고로 김민재, 황희찬 등 나름 좋은 스쿼드였던 한국 대표팀은 1무 2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2] 단 일본은 가석방률이 높기에 실질적으로는 한국이 더 엄하다.[3] 여담으로 쿠니모토(國本/邦本)란 성은 뜻풀이 때문에 일제강점기 당시 전주 이씨들이 창씨개명할 때 선택했던 성씨 중 하나였다. 물론 이 쿠니모토인지는 알 수 없다.[4] 이것은 오프더레코드로 기자와 대화 도중에 튀어나온 것이라는 추정이 있으며 기자가 이를 어기고 기사로 실었고 쿠니모토 측에서 항의해서 지울 수밖에 없었다는 설이 있다. 사실 일본에서 재일교포 혹은 한국계 일본인이 알게 모르게 받는 차별 문제를 생각하면, 사실이든 아니든 기사화되는 것 자체가 넷 우익의 악플 등 개인에 따라선 민감한 사안이 될 수도 있다. 특히나 그는 일본 국가대표까지 승선 가능한 재목이었음에도 온갖 물의를 일으켜 선수 생명을 갉아먹었던 것을 생각하면 더욱 그러하다.[5] 일본 커뮤니티에서는 저 놈 메디컬 테스트는 신체가 아니라 검사를 해야 한다는 댓글이 베플로 올라가 있다.[6] 울산에서의 적응 문제로 반년간 뛰었던 예전 도요다 요헤이의 인터뷰에서도 느껴지는 것이 한국은 유소년 선수나 젊은 선수의 생활에 대해서 일본보다는 꽤 관대한 것으로 여겨진다.[7] 경남 FC은 아시아 쿼터가 도입된 첫 해부터 2002 한일 월드컵 대표팀 출신인 토다 카즈유키를 야심차게 영입했으나, 토다는 잦은 부상으로 6경기 출장에 그치면서 실패한 영입이 되었고, 이때의 충격이 컸는지 이듬해에는 아시아 쿼터를 활용하지 않았다. 그래도 1년간 휴식기를 거친 뒤 영입한 루크 드베어가 잘해주긴 했지만 루크가 떠난 후에는 쿠니모토를 영입하기 전까지 아시아 쿼터를 일절 활용하지 않았다.[8] 김영권, 김승규도 포함되어 있다.[9] 위 에이전트의 말에 따르면, 일본인들이 쿠니모토를 보면 “쿠니모토가 아직도 축구를 하고 있어?”, "어디 공장에서 일하고 있는 거 아니었나?” 같은 반응이 나올 것이라고 한다. 그래도 K리그로 온 후 갱생하면서 ACL 무대까지 진출한 쿠니모토를 보고 인식이 바뀌기는 했을 듯하다.[10] 이전에 한국 내셔널리그 팀들 들릴 때도 이런 식으로 쳐들어가서 테스트를 요구했다가 죄다 퇴짜를 맞았다고 한다.[11] 경남 FC의 클럽 하우스는 아직 개발이 덜 된 함안군에 있는 데다, 읍내에서 많이 떨어져 있다. 주변에 있는 거라곤 종합 경기장, 인조 잔디 구장, 소방서, 논, 고속도로, 공원이 전부라 말 그대로 허허벌판이다.[12] 해운대구는 부산 내에서는 물론, 전국적으로도 순위권에 들어가는 부촌 지역이다. 게다가 부산에서도 핵심 신도시인 센텀시티라면 같은 해운대구일지라도 평균 집값이 더 비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