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13:38:26

탄자니아-튀르키예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아메리카 · 아프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키프로스 5+1 회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튀르키예·이란·아랍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서아시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유럽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아프리카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다자관계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케냐·탄자니아·우간다
}}}}}}}}}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튀르키예 탄자니아

1. 개요2. 역사
2.1. 20세기2.2. 21세기
3. 경제4. 교통5. 관련 문서

1. 개요

오스만 제국시절 당시 탄자니아의 일부인 잔지바르와 교류가 있었다. 현재에도 교류와 협력이 활발하며 문화적으로도 일부는 튀르키예의 영향도 받았다.

2. 역사

2.1. 20세기

줄리어스 니에레레 초창기 시절의 탄자니아와 튀르키예의 관계는 우호적이였다. 특히 튀르키예는 식민주의와 아파르트헤이트를 반대하기 때문에 탄자니아와 협력을 했었다. 그러나 콩고 내전 문제로 양국간에 갈등도 있었지만 줄리어스 니에레레의 퇴임 이후 다시 관계가 개선었다.

2.2. 21세기

현재도 양국 간의 교류가 활발하며, 특히 오만과의 관계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갈등이 적다. 여담으로 현재 잔지바르 주 정부인 후세인 음위니(Hussein Mwinyi)는 튀르키예[1]에서 유학경험이 있었다. 이 외에도 튀르키예의 고등교육 장학금도 일부는 탄자니아 학생들에게도 해당이 된다.

3. 경제

탄자니아와 튀르키예 간의 무역 규모는 2016년 기준으로 약 1억 2200만 달러로 기록이 되었다. 튀르키예는 탄자니아 수출에서 가장 중요한 품목이 기계 및 중공업 제품들이다. 반면 수입에서 가장 중요한 품목은 담배, 과일, 수산물 제품들이다. 이 외에도 탄자니아에 있는 튀르키예 기업인의 투자 금액은 약 4천만 달러로 추정된다.

4. 교통

이스탄불 - 다르에스살람간의 직항노선이 존재한다.

5. 관련 문서



[1] 마르마라 대학교, 참고로 에르도안 대통령도 이 대학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