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중화권 | 몽골 | 인도 |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아프가니스탄 | 위구르 | 우즈베키스탄 | ||||
투르크메니스탄 | 타지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
유럽 | ||||||||
러시아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몰도바 | 조지아 |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가가우지아 | 독일 | 오스트리아 | ||||
폴란드 | 헝가리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알바니아 | ||||
그리스 | 키프로스 | 북키프로스 | 코소보 | 스웨덴 | ||||
리투아니아 | 핀란드 | 이탈리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란 | 팔레스타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이라크 | ||||
쿠웨이트 | 바레인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예멘 | ||||
이스라엘 | 레바논 | 쿠르드 | 이집트 | 튀니지 | ||||
리비아 | 알제리 | 요르단 | 수단 공화국 | |||||
아메리카 · 아프리카 | ||||||||
미국 | 베네수엘라 | 브라질 | 소말리아 | 탄자니아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
다자관계 | ||||||||
키프로스 5+1 회담 |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 튀르키예·이란·아랍권 | 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 유럽연합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대만 | 중국 | |
내몽골 | 티베트 | 만주 | 아프가니스탄 | 카자흐스탄 | |
유럽 · 아메리카 |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아제르바이잔 | 튀르키예 | 미국 | |
다자관계 | |||||
러시아·몽골·중국 | |||||
과거의 대외관계 | |||||
여몽 관계 | 여요관계 | 청나라 | 소련 |
튀르키예 | 몽골 |
1. 개요
튀르키예와 몽골의 관계에 대해 다루는 문서2. 역사적 관계
2.1. 중세
고대 이래 몽골고원의 여러 민족들은 좀 더 나은 생활 환경을 찾아 남쪽으로는 중국, 그리고 서쪽으로는 중앙아시아와 동유럽으로 팽창하는 경향이 있었다. 오늘날 여러 튀르크어족 민족들의 직계 기원으로 여겨지는 돌궐 제국은 오늘날 몽골 고원 일대에서 발흥하였다. 몽골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부족들은 고대에는 실위와 연계된 만주 지방 일대에 살던 민족 집단이었으나[1] 위구르 제국이 멸망하는 과정에서 공백지가 된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몽골고원의 주인이 되었다.돌궐 제국의 멸망 이후 오르혼 혹은 바이칼호 일대의 튀르크 부족들의 일부가 시르다리야 강 상류 지역으로 이동하고 나서 다시 호라산 지역으로 이주하여 셀주크 제국을 세운다. 셀주크 제국은 서진하며 압바스 칼리프조를 예속화하고 서아시아의 패권을 차지하였으며 동로마 제국과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후 아나톨리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아나톨리아로 진군한 튀르크계 군벌 집단들은 현지에 여러 술탄국들을 세웠는데 이들이 세운 여러 소왕국들을 룸 술탄국이라고 부른다.
서기 13세기 몽골 제국이 유라시아 전역으로 확장하면서 호라즘 제국 등 튀르크계 국가들을 정복 및 복속시켰다. 몽골 제국의 군대는 튀르크계 국가들을 정복하고 약탈하고 복속시키는 한편 튀르크계 유목민 전사들을 군대에 적극적으로 편입하였고 이들에 힘입어 유라시아를 아우르는 대제국을 건설할 수 있었다.
2.2. 20세기
20세기에 오스만 제국이 멸망하고 신생 튀르키예 공화국이 생겨났다. 당시 튀르키예 공화국과 몽골 인민공화국은 정치체제의 차이로 인해 교류가 전혀 없었다. 게다가 중앙아시아 5개국도 소련의 공화국에 속하는 등 외교관계가 수립되지 않았다. 80년대 말에 들어서면서 몽골이 민주화되고 90년대초에 공산 정권이 몰락했다. 공산 정권이 몰락한 후의 민주 정권은 튀르키예와 외교관계를 수립했다.2.3. 21세기
현대에 튀르키예와 몽골은 교류가 많아지고 있다. 몽골인 유학생들이 튀르키예로 가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튀르키예는 몽골의 돌궐 유적지 보존 사업에도 참여 및 지원하고 있다.양국의 국민 감정은
3. 문화 교류
튀르키예는 튀르크어족인 튀르키예인들이 주축이 된 국가이고, 몽골은 몽골어족인 몽골인들이 주축이 된 국가다. 그러나 고대에서 중세에 튀르크어족 민족들과 몽골어족 민족들은 서로 매우 가까운 관계였고 여러 교류가 많았다.[2] 그러다 보니깐 예전에는 알타이어족이란 가상의 어족으로 분류된 적도 있었다.[3]양국간의 문화교류가 활발한 편인데 언어, 문화에서 공통점이 있다보니 문화교류도 자주 이루어지는 편이다. 튀르키예 드라마가 몽골에서도 인기가 많은 편이다.
4. 교통 교류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튀르키예와 몽골은 이스탄불 공항과 울란바토르 국제공항을 통해 교류하고 있다.5. 관련 문서
- 튀르키예/외교
- 몽골/외교
- 튀르키예/역사
- 몽골/역사
- 튀르키예/문화
- 몽골/문화
- 튀르키예/경제
- 몽골/경제
- 튀르키예인 / 몽골인
- 튀르키예어 / 몽골어 / 티베트 불교 / 이슬람교 / 순니파
- 튀르키예 요리 / 몽골 요리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