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맥카시 · 2 뢰르슬레우 · 3 매닝 · 4 다운스 · 5 [[잭 스티븐스|스티븐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d1a3b; font-size: .8em"]] · 6 하우드벨리스 · 7 아리보 9 암스트롱 · 10 아자즈 · 11 스튜어트 · 12 에드워즈 · 13 시엔자 · 15 우드 · 17 콰시 18 펠로우즈 · 19 아처 · 20 얀더 · 23 에도지 · 24 찰스 · 25 롱 · 26 프레이저 · 27 쿠류 31 바주누 · 34 웰링통 · 38 엘러르트 · 42 다운스 · 46 로빈슨 · 47 세사이 · 58 무디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colbgcolor=#ed1a3b><colcolor=#ffffff> 사우스햄튼 FC No. 6 | |||
테일러 하우드벨리스 Taylor Harwood-Bellis | |||
본명 | 테일러 제이 하우드벨러스[1] Taylor Jay Harwood-Bellis | ||
출생 | 2002년 1월 30일 ([age(2002-01-30)]세) | ||
잉글랜드 그레이터맨체스터 주 스톡포트[2] | |||
국적 |
(
) | ||
신체 | 키 188cm[3] / 체중 82kg | ||
포지션 | 센터백 | ||
주발 | 오른발 | ||
소속 | <colbgcolor=#ed1a3b><colcolor=#ffffff> 유스 | 맨체스터 시티 FC (2008~2019) | |
선수 | 맨체스터 시티 FC (2019~2024) → 블랙번 로버스 FC (2021 / 임대) → RSC 안데를레흐트 (2021 / 임대) → 스토크 시티 FC (2022 / 임대) → 번리 FC (2022~2023 / 임대) → 사우스햄튼 FC (2023~2024 / 임대) 사우스햄튼 FC (2024~ ) | ||
국가대표 | 1경기 1골[4] (잉글랜드 / 2024~ ) |
1. 개요
잉글랜드 국적의 사우스햄튼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2. 클럽 경력
2.1. 맨체스터 시티 FC
6살 때 부터 맨시티 유스로 뛰며 센터백 유망주로 주목 받아왔고, 2019 FA 유스컵 결승에서는 에릭 가르시아와 함께 호흡을 맞추었으나 리버풀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5]2.1.1. 2019-20 시즌
프레스턴 노스 엔드와의 카라바오 컵 32강 경기에서 선발로 프로에 데뷔했다. 경기는 3대0으로 승리.FA컵 64강전에서 데뷔골을 기록했으며, 이 골로 마이카 리차즈의 맨시티 최연소 1군 데뷔골 기록을 경신하게 되었다.
2.1.2. 2020-21 시즌
리그컵 본머스전에서 에릭 가르시아와 센터백으로 출전했다. 경기는 2대1 승리.현지 시간 12월 7일, 재계약에 성공했다. 계약기간은 2024년까지이다.
FA컵 64강인 3라운드 버밍엄전에 교체 출전했다. 이미 3대0으로 기울어진 후 출전해서 센터백으로서 활약할 만한 시간은 많지 않았다.
FA컵 32강 첼트넘전 오른쪽 풀백과 센터백을 오가는 역할로 출장했으나 1대0으로 지고 있는 스코어를 뒤집기 위해 68분 같이 선발로 나온 토미 도일과 함께 교체아웃 되었다.
2.1.3. 블랙번 로버스 FC (임대)
2021년 2월 1일, 하우드벨리스는 EFL 챔피언십의 블랙번 로버스 FC로 잔여 시즌 동안 임대를 떠났다. 5일 뒤 퀸즈 파크 레인저스를 상대로 리그 데뷔전을 치렀고 시즌이 끝날 때까지 주전 센터백으로 출전했다.2.1.4. RSC 안데를레흐트 (임대)
2021년 6월 27일, 블랙번에서의 임대를 마치고 돌아온 그는 곧바로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의 RSC 안데를레흐트로 1년 임대를 떠났다.리그 16경기 1도움을 기록한 뒤, 스토크 시티 FC 임대건으로 인해 조기 복귀했다. 2022년 1월 10일 존 퍼시 기자의 트윗을 통해 확인된 내용으로, 24시간 내에 계약이 성사 될 것이며, 메디컬 테스트도 오늘 진행할 예정이라고.
2.1.5. 스토크 시티 FC (임대)
2022년 1월 12일, 스토크 시티 임대 오피셜이 발표 되었다. 등번호는 24번.리그 최종전 빼고[6] 모든 경기 풀타임 소화했다. 24경기 1어시스트.
2.1.6. 번리 FC (임대)
2022년 7월 1일, 번리 FC로 한 시즌간 임대되었다. 이로서 지난 시즌 전반기 안더를레흐트 임대 시기에 이어 두 시즌 연속으로 뱅상 콤파니 감독의 지도를 받게 되었다. 아마 팀을 떠난 제임스 타코우스키의 대체자가 될듯하다.2022-23 시즌 우승 경쟁을 하면서 승승장구하는 번리에서 꾸준히 주전으로 출전하고 있으며, 콤파니 감독도 하우드벨리스를 신임해서 팀에서 유일하게 전반기 리그 21경기 전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번리 팬들의 평가도 좋고, 원 소속팀인 맨시티의 팬들도 복귀 이후 활약할 가능성에 대해 기대감을 품고 있다.
후반기 들어서는 결장하는 경기가 많아졌고 결국 임대가 종료되며 시즌 총 35경기 1골 2도움으로 번리에서 떠나게 되었다.
2.2. 사우스햄튼 FC
2.2.1. 2023-24 시즌 (임대)
2023년 9월 1일, 사우스햄튼 FC로 임대 이적했다.# 사우스햄튼이 승격할 경우 완전 이적한다고 한다.시즌 내내 붙박이 주전 센터백으로서 든든하게 후방을 지키며 팀이 플레이오프 결승 끝에 프리미어 리그 승격을 이루어내는데 크게 기여했다.
2.2.2. 2024-25 시즌
2024년 7월 1일, 팀이 프리미어 리그 승격에 성공하면서 조항에 따라 완전 이적에 성공했다. 이적료는 £20M이며 계약 기간은 2028년까지.2024년 10월 1일, AFC 본머스와의 경기에서 추격하는 골을 터뜨려 본인의 PL 데뷔골에 성공했다.
지난 시즌 완벽히 팀에 녹아들었던 모습과는 달리 프리미어리그에선 그저 그런 수비 실력과 강도 높은 압박에 실수가 잦아졌다. 사우스햄튼 입장에선 꽤 거금으로 하우드벨리스를 영입한 것이므로, 반드시 시즌 내에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21R 맨유전 후반 90+4분 치명적인 터치 미스로 아마드 디알로에게 해트트릭을 달성하게 되는 3번째 골을 내주고 말았다.
3. 국가대표 경력
2017년 4월 25일, 잉글랜드 U-15 대표팀에 처음 데뷔했으며 20경기를 뛰었다. U-17 대표팀에서는 주장을 맡았으며, U-21에서도 계속해서 주장을 맡으며 2023년 U-21 유로에서 잉글랜드 팀을 이끌고 우승에 공헌했으며, 대회 베스트 팀에도 선정됐다.2024년 11월 8일, UEFA 네이션스 리그 2연전을 앞두고 A대표팀 명단에 처음으로 발탁되었다.
그리고 11월 17일, UNL 아일랜드전에서 62분에 교체 출전해 데뷔전을 치렀으며 79분에 주드 벨링엄의 크로스를 헤더로 마무리해 데뷔골까지 기록했다.
4. 플레이 스타일
하우드벨리스는 맨체스터 시티 유스 출신의 센터백으로, 수비형 미드필더 자리를 소화할 만큼 부드러운 발밑을 보유했다. 주축 선수로 뛴 번리에서 하우드벨리스는 무리치, 컬렌과 함께 빌드업의 중축으로 활약했고 정확하게 넘겨주는 숏패스는 물론, 전방으로 깊게 찔러주는 롱패스 능력도 갖추고 있다. 또한, U-17 시절 때부터 U-21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대표팀 주장직을 역임할 정도로 리더십 또한 출중하다.그러나, 팀의 수비를 책임지는 중앙 수비수임에도 프로 데뷔 이후부터 수비력에 있어서는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188cm의 신장을 가진 장신의 수비수임에도 공중볼을 잘 따내지 못한다. 수비하는 상황에서의 위치 선정이 아쉽고 헤더를 따낼 때의 기술도 부족한 편.
무엇보다, 수비 스타일 자체에 있어서도, 수비 스타일로 인해 임대 생활로 경험치를 쌓았음에도 기복이 있는 편이다. 하우드벨리스는 상대를 적극적으가 압박하는 1대1 대인수비보다는 상대를 끊임없관찰하다가 본인의 수비 범위 안에서 공만 가로채는 것을 즐긴다. 가로채기 위주의 그의 스타일상 실수가 잦은 편인데, 템포가 빠른 프리미어리그에서는 가로채기의 성공률의 기복이 커져버린다. 향후에도 프리미어리그에서 뛰기 위해서는 수비 상황에서의 판단과 클리어링 능력은 개선이 무조건적으로 필요해보인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사우스햄튼 FC (2023~ )
- EFL 챔피언십 플레이오프[7]: 2023-24
6. 여담
- 맨시티 원정경기를 따라다니며 응원할 정도로 맨시티 골수팬이다. EPL 2019-20 시즌 19R 울버햄튼 원더러스와의 경기에서 관중석에서 응원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찍혔다.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c20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사우스햄튼 FC 2024-25시즌 스쿼드 | ||||
1 | 2 | 3 | 4 (VC) | 5 (C) | |
알렉스 맥카시 Alex McCarthy 1989.12.03 2016~2026 | 카일 워커피터스 Kyle Walker-Peters 1997.04.13 2020~2025 | 라이언 매닝 Ryan Manning 1996.06.14 2023~2027 | 플린 다운스 Flynn Downes 1999.01.20 2024~2028 | 잭 스티븐스 Jack Stephens 1994.01.27 2013~2025 | |
6 | 7 | 8 | 10 | 11 | |
테일러 하우드벨리스 Taylor Harwood-Bellis 2002.01.30 2024~2028 | 조 아리보 Joe Aribo 1996.07.21 2022~2026 | 윌 스몰본 Will Smallbone 2000.02.21 2020~2026 | 아담 랄라나 Adam Lallana 1988.05.10 2024~2025 | 로스 스튜어트 Ross Stewart 1996.07.11 2023~2026 | |
13 | 14 | 15 | 16 | 18 | |
조 럼리 Joe Lumley 1995.02.15 2023~2025 | 제임스 브리 James Bree 1997.12.11 2023~2026 | 네이선 우드 Nathan Wood 2002.05.31 2024~2028 | 스가와라 유키나리 Yukinari Sugawara 2000.06.28 2024~2028 | 마테우스 페르난데스 Mateus Fernandes 2004.07.10 2024~2029 | |
19 | 20 | 21 | 24 | 26 | |
카메론 아처 Cameron Archer 2001.12.09 2024~2028 | 카말딘 술레마나 Kamaldeen Sulemana 2002.02.15 2023~2027 | 찰리 테일러 Charlie Taylor 1993.09.18 2024~2026 | 라이언 프레이저 Ryan Fraser 1994.02.24 2024~2026 | 레슬리 우고추쿠 Lesley Ugochukwu 2004.03.26 2024~2025[1] | |
28 | 29 | 30 | 32 | 33 | |
후안 라리오스 Juan Larios 2004.01.12 2022~2027 | 알베르트 그뢴베크 Albert Grønbaek 2001.05.23 2025[2] | 아론 램스데일 Aaron Ramsdale 1998.05.14 2024~2028 | 폴 오누아추 Paul Onuachu 1994.05.28 2023~2026 | ||
34 | 35 | 37 | 39 | - | |
웰링통 Welington 2001.02.19 2025~ | 얀 베드나레크 Jan Bednarek 1996.04.12 2017~2027 | 아르멜 벨라코차프 Armel Bella-Kotchap 2001.12.11 2022~2026 | 요아힘 카이 산다 Joachim Kayi Sanda 2006.11.29 2025~2029 | ||
<colbgcolor=#ed1a3b> 구단 정보 | |||||
구단주: 드라간 솔락 / 감독 대행: 사이먼 러스크 / 홈 구장: 세인트 메리즈 스타디움 | |||||
출처: 트랜스퍼마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2월 26일 |
}}}}}}}}}}}} ||
[1]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인명을 표기할 때 줄표(-)를 무시한다. 줄표의 앞뒤를 별개의 단어로 보아 띄어 쓰지는 않되, 연음 등은 고려하지 않고 표기한다.[2] 맨체스터 시 안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그레이터맨체스터 주에 포함되기 때문에 로컬유스로 분류된다. 똑같이 스톡포트 출신인 필 포든과 같은 사례.[3] 프리미어 리그 공식 프로필[4] 2024년 11월 18일 기준[5] 지금보면 면면이 참 화려했는데, 첼시에서 소년가장 노릇하는 콜 파머와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서 뛰는 펠릭스 은메차, 그리고 바이어 04 레버쿠젠에서 리그 베스트급 윙백으로 발돋움한 제레미 프림퐁도 결승전에 출전했었다.[6] 70분 출장[7] 리그 3~6위 팀들이 붙는 토너먼트 경기로, 최종 승리팀은 승격한다. 잉글랜드의 경우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할 시 트로피와 메달이 수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