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토가이누의 피|토가이누의 피]]
토가이누의 피 (2010) 咎狗の血 | |||
<nopad>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장르 | BL, 액션 | |
원작 | NITRO CHiRAL | ||
원작 시나리오 | 후치이 카부라 | ||
캐릭터 원안 | 타타나 카나 | ||
감독 | 콘노 나오유키 | ||
캐릭터 디자인 | |||
시리즈 구성 | 타카하시 나츠코 | ||
게스트 캐릭터 설정 | 石上香美 | ||
프롭 디자인 | 타이가 히로유키 | ||
미술 감독 | 쿠라타 켄이치(倉田憲一) | ||
색채 설계 | 아리사와 노리코(有澤法子) | ||
촬영 감독 | 이이지마 료(飯島 亮) | ||
편집 | 츠보네 켄타로(坪根健太郎) | ||
음향 감독 | 모토야마 사토시(本山 哲) | ||
음악 | 이시카와 토모히사(石川智久) 이이즈카 마사아키 | ||
음악 제작 | 란티스 | ||
기획 | 나츠메 코이치로(夏目公一朗) 이노우에 슌지 미네기시 타쿠오(峯岸卓生) 데지타로(でじたろう) 타후 나오히로(太布尚弘) 다케다 세이지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우에다 마스오 오치코시 토모노리(落越友則) | ||
프로듀서 | 이와카미 아츠히로(岩上敦宏) 사쿠라이 유카(櫻井優香) 호소카와 오사무(細川 修) 마루야마 히로오(丸山博雄) 도이 요시나오(土居由直) 카나니와 코즈에(金庭こず恵) | ||
제작 프로듀서 | 이가라시 마모루(五十嵐 守)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우에다 모토키(植田もとき) 사와구치 코이치(澤口幸一) | ||
애니메이션 제작 | A-1 Pictures | ||
제작 | 「토가이누의 피」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10. 10. 08. ~ 2010. 12. 24. | ||
방송국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12화 | ||
시청 등급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성인용 BL 게임 토가이누의 피의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콘노 나오유키.원작인 PC판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성적 묘사들은 편집되었다. 니트로플러스 역시 원작가로서 제작에 관여했다.
스토리, 세계관, 등장인물 및 성우진에 대한 정보는 토가이누의 피 문서를 참조바람.
2. 제작 계기
애니메이션 제작은 애니플렉스 프로듀서 이와카미 아츠히로가 감독 콘노 나오유키에게 “제작하고 싶은 작품이 있느냐”는 질문을 하면서 시작되었다.콘노는 당시 남성들 간의 격렬한 전투를 중심으로 한 작품을 만들고 싶었고, 이에 토가이누의 피를 애니메이션화하고자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니트로플러스 측과의 협의를 거쳐 애니메이션 제작이 진행되었다.
시리즈 구성 및 각본은 타카하시 나츠코가 담당했다. 그녀는 과거 학원 헤븐 애니메이션 및 강철삼국지 등 BL풍 작품의 각본을 맡은 경험이 있었고, 토가이누의 피 게임을 직접 플레이한 경험도 있어, 이러한 이력이 원작 팬층의 니즈에 부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1]
3. 방영 전 반응
애니화 발표 당시, 환호하는 여론도 많았지만 저퀄리티 애니화를 우려하는 의견도 많았다. 또한 BL을 싫어하는 시청자나 미성년자 팬층의 유입도 매우 걱정했었다. 그리고 방영 후 그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4. 주제가
4.1. OP
OP ROSE HIP-BULLET | |||
[kakaotv(v6d1dDHJmJQmHhh4Dq4czuI@my, width=100%)]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GRANRODEO | ||
작사 | 타니야마 키쇼 | ||
작곡 | 이이즈카 마사아키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쿠하라 시게키 | |
작화감독 | |||
연출 | 이시야마 타카아키 |
4.2. ED
ED | |
TV ver. |
4.2.1. 1화 ED
1화 ED no moral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이토 카나코 |
작사 | 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
작곡 | 와타나베 미키(ワタナベミキ) |
편곡 | 이소에 토시미치(磯江俊道) |
4.2.2. 2화 ED
2화 ED bright lights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키무라 세이지(木村世治) |
작사 | |
작곡 | |
편곡 |
4.2.3. 3화 ED
3화 ED Don't Stare Me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VERTUEUX |
작사 | Kenl |
작곡 | 사카키바라 히데키(榊原秀樹) |
편곡 |
4.2.4. 4화 ED
4화 ED 棘 -toge-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Sadie |
작곡 | |
편곡 | |
작사 | 마오(真緒) |
4.2.5. 5화 ED
5화 ED once more again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미사토 아키 |
작사 | 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
작곡 | R・O・N |
편곡 |
4.2.6. 6화 ED
6화 ED Requiem Blue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CurriculuMachine feat.W.K. |
작사 | 와타나베 카즈히로(渡邊カズヒロ) |
작곡 | 사카키바라 히데키(榊原秀樹) |
편곡 |
4.2.7. 7화 ED
7화 ED crossing fate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OLDCODEX |
작사 | R・O・N |
작곡 | |
편곡 |
4.2.8. 8화 ED
8화 ED 優しさに守られて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키타 슈헤이(喜多修平) |
작사 | 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
작곡 | 야마모토 유스케(山元祐介) |
편곡 | 오오노 히로아키(大野宏明) |
4.2.9. 9화 ED
9화 ED Honed Moon ~咎レタ月~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이토 카나코 |
작사 | 에바타 이쿠코(江幡育子) |
작곡 | 이소에 토시미치(磯江俊道) |
편곡 |
4.2.10. 10화 ED
10화 ED Don't look away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CurriculuMachine |
작사 | 사카키바라 히데키(榊原秀樹) |
작곡 | |
편곡 | 카리큘라 머신(カリキュラマシーン) |
4.2.11. 11화 ED
10화 ED STILL anime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이토 카나코 |
작사 | 와타나베 카즈히로(渡邊カズヒロ) |
작곡 | 이소에 토시미치(磯江俊道) |
편곡 |
4.2.12. 12화 ED
12화 ED GRIND"style G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GRANRODEO |
작사 | 와타나베 카즈히로(渡邊カズヒロ) |
작곡 | 진보 신타로(神保伸太郎) |
편곡 | 이이즈카 마사아키 |
5.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虚夢/LOST 허몽(허황된 꿈)/LOST | 타카하시 나츠코 | 콘노 나오유키 | 치바 다이스케 (千葉大輔) | 야나세 유지 石上香美 | 日: 2010.10.08. 韓: 2010.10.11. |
제2화 | 死街/toshima 사가(죽음의 거리)/tosima | 사카마키 사다히코 (坂巻貞彦) 쿠사카 타케시 (日下岳史) | 日: 2010.10.15. 韓: 2010.10.18. | |||
제3화 | 狂争/igra 투쟁/igra | 와타나베 다이스케 (渡邊大輔) | 大花祷里 | 하야시 히로시 (林ヒロシ) | 코바야시 토시미츠 | 日: 2010.10.22. 韓: 2010.10.25. |
제4화 | 休刑/ease 휴형/ease | 스가와라 유키에 (菅原雪絵) | 사노 타카시 | 타카하시 아츠코 (高橋敦子) 소부 유코 (蘇武裕子) | 日: 2010.10.29. 韓: 2010.11.01. | |
제5화 | 決蔑/crack 결멸/crack | 우라소노 토모에 (浦園 萌) | 나카자와 유이치 (中澤勇一) | 요시다 토오루 | 나카자와 유이치 | 日: 2010.11.05. 韓: 2010.11.08. |
제6화 | 怨鎖/desire 원쇄(원망의 쇠사슬)/desire | 와타나베 다이스케 | 大花祷里 | 와타다 신야 | 코조 요코 (高乗陽子) 야나세 유지 시미즈 카츠유키 (清水勝祐) | 日: 2010.11.12. 韓: 2010.11.15. |
제7화 | 因念/sever 인념/sever | 타카하시 나츠코 | 마츠이 히토유키 | 나카무라 치카요 (中村近世) | 코바야시 토시미츠 | 日: 2010.11.19. 韓: 2010.11.22. |
제8화 | 酷白/rein 혼백/rein | 스가와라 유키에 타카하시 나츠코 | 카게야마 시게노리 | 키타가와 마사토 (北川正人) | 타케우치 유카리 (竹内由香里) 아베 치아키 (阿部千秋) | 日: 2010.11.26. 韓: 2010.11.29. |
제9화 | 薬束/bond 약속/bond | 우라소노 토모에 | 콘노 나오유키 | 토노카츠 히데키 (殿勝秀樹) 하야시 히로시 | 미즈카미 론도 (水上ろんど) 코바야시 토시미츠 나카야마 하츠에 (中山初絵) | 日: 2010.12.03. 韓: 2010.12.06. |
제10화 | 結脈/il re 결맥/il re | 타카하시 나츠코 | 나카자와 유이치 | 요시다 토오루 | 나카자와 유이치 | 日: 2010.12.10. 韓: 2010.12.13. |
제11화 | 増悪/convict 증오/convict | 이나가키 타카유키 | 마치타니 슌스케 (町谷俊輔) | 나카야마 유미 (中山由美) 一武晃 미유 반리 (未由羽万里) 카와구치 치사토 (川口千里) 松本希羅里 타카하시 아츠코 카마타 유스케 (鎌田祐輔) 시마다 히데아키 (しまだひであき) | 日: 2010.12.17. 韓: 2010.12.19. | |
제12화 | 同至/beginning 동지/beginning | 콘노 나오유키 | 日: 2010.12.24. 韓: 2010.12.26. |
6. 비판 및 문제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가이누의 피/애니메이션/비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가이누의 피/애니메이션/비판#|]][[토가이누의 피/애니메이션/비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팬덤은 물론 원작자조차 우려를 표한 작품이자 니트로플러스의 애니화 징크스를 피하지 못한 작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아예 팬들은 미디어믹스 전체를 통틀어서도 최악이라고 할 정도.
7. DVD판
본래, 단권으로 총 6권 발매 예정이었다. 그러나 단권 발매는 취소되고 DVD 박스를 발매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커버 일러스트는 야마다 우이로우가 그렸다.하지만 이 DVD 박스도 판매량이 좋지 않았다. 정가는 27,000엔(약 27만원)인데 얼마안되어 5,200엔(약 5만 2천원)으로 덤핑 되었으며 중고 가격도 신품 기준으로 6,255엔(약 6만 2천원). 게다가 이 DVD 박스 세트는 완전 한정 생산판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절판되지 않았다.
클로즈업 샷의 작붕은 수정됐으나 나머지는 아무리 심각한 작붕도 고쳐지지 않았다. 그리고 동봉된 책자는 중첩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탓인지 낱장이 떨어지는 등 품질에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영향인지, DVD가 나온지 한참 오래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블루레이판이 나오지 않았다.
8. 기타
- 각본가 타카하시 나츠코는 후일 전국 바사라 시리즈의 애니판 전국 바사라 Judge End의 시리즈 구성을 담당했는데 해당 애니메이션도 원작팬들의 분노를 샀다.
- 방영내내 팬덤의 불만이 하늘을 찌르다가 종영된 후 원작 게임과 비교하고 단점을 지적하는 위키가 개설되었다. 해당 위키는 작화 붕괴부터해서 성의없는 연출처리, 원작과 비교 등 세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 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판은 왜 낮은 퀄리티로 나왔는가 1장, 토가이누의 피 애니메이션판은 왜 낮은 퀄리티로 나왔는가 2장: 한 일본의 토가이누 팬이 쓴 칼럼. 1장은 토가이누의 피가 어떤 작품인지, 어떻게, 왜 성공했는지 분석하면서 남성향과 여성향 애니메이션의 차별 대우를 비판하였다. 2장은 애니메이션 시장의 사정과 BL 장르 작품에 대한 외적 문제를 분석한 칼럼으로, 픽쳐 매직 스탭의 콘노 나오유키 폭로 건도 언급돼있다.
- 팬들은 서명 사이트에 "토가이누의 피를 OVA로 리메이크 해달라"는 청원을 올리기도 했다. 청원은 마감되었지만 결국 무산되었는데, 소문에 의하면 누구 루트로 가느냐는 주제로 팬들끼리 싸우는 바람에 흐지부지 되었다고 한다.
- 후치이 카부라는 토가이누 애니판 제작에 대해 12화로 다 담을 수 있을지 우려를 표한 적이 있었다. 후일 DMMd 애니메이션 제작 소식때 스태프 란에 후치이 카부라가 들어선 것을 보고,팬덤에서는 토가이누 애니판에 큰 불만이 많았나 하는 추측이 돌았다.
- 방영 전 성우진이 교체된다는 루머가 있었으나, 원작 게임 성우진들이 일반계 명의로 캐스팅되면서 거짓으로 결론났다.[2]
- 인터넷에서 한때 유행했던 작붕짤이 이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했다.
9. 관련 문서
둘다 니트로플러스의 인기작이면서 작화 붕괴와 원작 파괴가 일어났단 공통점이 있다.[1] 출처: 토가이누의 피 애니판 공식 사이트 스태프 인터뷰 카테고리[2] 과거에 성인용 작품들이 애니메이션화하면서 성우가 교체되었던 사례 때문에 생긴 소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