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게임 정보 | ||
등장인물 (사도 · 교주 · 영춘) | 카드 (아티팩트 · 스펠) | 극장 (테마극장) |
침략 | 차원 대충돌 | 엘리아스 프론티어 |
기타 | ||
콘텐츠 | 설정 | 패러디 | 출시 전 정보 | 평가 | 사건 사고 | 리바이브 이전 | 주말농장 | The Trickcal |
1. 리바이브 이전
의 출시 전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1차 CBT
2022년 8월 25일 CBT 일정이 공지되었다.
CBT 개시일은 2022년 9월 27일로, 1번째 정식 출시 및 오픈베타 전환 후 정확히 1년째 되는 날이다. CBT 모집 일정 및 방식은 9월 초 다시 공지 될 예정.
상술됐듯 귀여운 그래픽의 근원이었던 AD 디얍의 퇴사로 인해 불안한 목소리가 많았지만, 선행 공개된 영상에서 완전히 바뀐 전투 시스템[1]와 작풍에 걸맞게 더욱 일신된 UI등이 나오며 다시 기대감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이후 CBT 앱 이름이 공개되었는데, 밈을 써먹기로 유명한 에피드게임즈답게 이름도 다름 아닌 트릭컬 Re:Vive라고 박아놨다.
28일 기준 클로즈베타 평은 작년의 게임 취급도 못받은 코드덩어리에 비하면 게임 문턱에 걸친 정도의 평가를 받고있다. 하지만 벨리타, 베니의 버그성 데미지, 스펠카드의 버그성 1방 데미지, 장비 진화를 돈으로 해결할 수 있는 버그 등 유저들에게 경쟁까지 시켜놓고 결국 버그성 공략을 사용하는 유저들이 가장 큰 득을 보게되면서 불타게 만든 점은 상당히 아쉬운 부분. 이 부분은 운영 차원에서 긴급점검 및 재화 지급으로 화재를 진화하려는 노력이 보였지만 게임이 기반적으로 가지는 단점을 메꾸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캐릭터 외에도 추가 및 개편된 몬스터 생김새[2], 수정된 배경 색깔과 UI로 아트의 강점을 보완한 정도로 보여주었다. 거기에 약을 빤 듯한 에슈르의 순정만화 그림체와 유치원생 크레파스 그림도 소소하게 추가되어있다.
가챠화면도 모두에게 경악을 불러일으켰던 파란 슬라임에서 벗어나 디얍 특유의 그림체인 볼따구를 잘 살린 연출을 보여주었다. 미완성 스케치처럼 보인 것은 아예 컨셉으로 작정한 듯.
3. 파이널 CBT
2023년 3월 29일부터 4월 2일까지 파이널 CBT가 진행되었다.해당 CBT를 기점으로 아직 단점이 상당히 많지만 그래도 분재겜으로써 합격이다 라는 평가가 상당히 많이 늘어났다. 특히 자신들의 특징인 볼따구의 매력을 극대화 시킨점, 심지어 이 볼따구를 자신도 모르게 아무데서나 거의 무조건적으로 땡기고 놀 수 있단 점에서 호평을 받고있다.
4. 2차 출시 전
2023 PlayX4에 부스를 냈다. 관객이 적은 편인 목요일 첫날 오전 시간대부터 줄을 형성하면서 게이머들의 여전한 관심도를 증명했다.[3] 그리고 게임 프로모션 영상과 부스에 걸려있는 그림으로 CBT만화에 나왔던 대표가 불타는 컷#을 쓰면서 비범한 센스를 보여줬다. 아예 한정현 대표는 자신과 사진 찍으려는 사람들을 위해 검은 김 안경을 준비해왔다. 종합후기2023 PlayX4행사 이후 7월 31일 "곧 교주님을 모시러 찾아뵙겠습니다"라는 말과 함께 티저영상과 함께 티저 홈페이지를 개설했다. 이 짤막한 멘트와 함께 티저영상이 나온것을 보면 이제 진짜로 게임발매 카운트 다운이 다가오는 것을 조금이나마 알수있다.
8월 29일 12시 부로 공식 홈페이지에서 사전예약을 시작한다.
9월 6일 구글 플레이스토어 페이지가 재개설되었다. 그리고 리바이브의 트레일러 영상도 올라왔는데 둘 다 병맛이 가득하다.[4]
이후에도 9월 12일,9월 20일에도 병맛 PV가 올라오다가 드디어 9월 24일에 제대로된 PV가 나왔다.
9월 25일[5]에 공식 트레일러가 올라왔다.
[1] 오픈베타 때는 배치된 칸에 서서 공격만 하는 방식이었지만, 영상에선 플레이어 캐릭터와 적 모두 실시간으로 움직이며 전투하는 모습이 나온다.[2] 새로 추가된 몬스터의 애니메이션도 드디어 누루링 한 가지 모션에서 벗어나 캐릭터 못지 않게 잘나왔다.[3] 몇몇 증언에 따르면 관계자들은 첫날부터의 이정도의 인기는 예상 못했다고 한다.[4] 24년 12월 24일부로 저작권 관련으로 해당 영상들이 비공개 처리되었다.[5] 공식 트레일러는 정상적인 것처럼 보이나, 에르핀이 병맛 PV를 보고 추천 영상으로 '한중일 대기업 게임사를 기겁하게한 작은한국게임의 깜작 등장','멜론의 습격을받은게임이 있다?없다? 멜룬다? ㅋㅋ멜루?'같은 문구가 나오는 걸 보면 병맛같은 컨셉이 여전하단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