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14:14:48

트릭컬 리바이브/패러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트릭컬 리바이브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트릭컬 리바이브 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콘텐츠3. 메인 스토리
3.1. 시즌 13.2. 시즌 2
4. 테마극장
4.1. 시즌 14.2. 영원살이4.3. 시즌 2
5. 연회장 대사6. 사도 스토리7. 사도8. 기타9. 패러디인지 불분명한 것들

1. 개요

트릭컬 리바이브의 패러디를 다루는 문서.

2. 콘텐츠

3. 메인 스토리

3.1. 시즌 1

3.2. 시즌 2

4. 테마극장

4.1. 시즌 1

4.2. 영원살이

4.3. 시즌 2

5. 연회장 대사

6. 사도 스토리

7. 사도

8. 기타

9. 패러디인지 불분명한 것들


[1] 1주년 업데이트 이후에 해당 미니게임이 삭제되었다.[2] 사도마다 이름이 다르게 나온다.[3] 과거 만우절 장난으로 해당 짤방의 제작자인 Kastry에게 허가를 받고 트릭컬 버전으로 패러디했었는데, 리바이브에서 정식으로 구현했다.[4] 정작 사료스탕스는 멤버가 3명뿐이고, 방금 전엔 베니 본인이 사료스탕스 삼대장이라고 칭했기 때문에 이를 들은 코미는 의아해한다.[5] 그림에서는 오크통으로 묘사된다.[6] 마침 엘레나의 살포장치도 원래는 에르핀의 닥달이라곤 해도 토양에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리고 빌런으로 타락하기 전에 만들어둔 살포장치도 의도는 좋았던 물건이었다.[7] PV에서 소화전 글자를 나이아라고 적어놓는(...) 자체 패러디를 선보였다.[8] 전체적으로 제목의 블레이드 러너를 포함한 실사매체의 패러디가 많아진 것이 특징.[9] 공장 시설의 윗층에서 지시를 내리는 구도는 포드 V 페라리 초반부의 헨리 포드 2세와도 유사하다.[10] 여담으로, 원신의 야란은 트릭컬의 다야성우가 동일하다.[11] 그와중에 롤렛이 지팡이를 바닥에 수직으로 꽂아 세운 포즈는 페이트의 세이버가 칼리번을 수직으로 꽂는 시그니처 포즈와 유사하다. 벨벳도 이에 질세라 애니 제작사 트리거 특유의 팔짱을 끼고 있다.[12] 세바스찬은 스스로의 두려움에 갇힌 미아에게 애라고 일갈하는데, '일어나지도 않을 롤렛의 복수를 두려워하는 "애같은" 에르핀'한테 가두어졌다는 점은 맥락이 사뭇 다르면서도, 각각 세바스찬과 클로에가 없었더라면 그 자리에서 그대로 단념했을 거란 점에선 같기도 하다.[13] 아이러니하게도 이 장면에서 코미와 대치하던 에르핀의 성우는 이후에 진짜로 미소노 미카 역을 맡게 된다.[14] 우사미의 탐정안, 하루만 기다리면(해당 밈 유행 이전에는 멘붕을 표현하는 짤로 쓰였다).[15] 원본은 '검은 옷의 살인마' 편에서 징징이집게사장24시간 영업 선언에 분노하여 한 말. 이 대사 직후 뚱이가 새벽 3시라며 게살버거를 꺼내 먹은 것처럼, 징징이의 생각과는 달리 야간 영업 수요는 많다.[16] 교주가 스노키에게 벌을 주는 선택지를 골랐을 때 나온다.[17] 마침 직전의 진짜 닌자 대작전에서도 로드롤러다를 패러디했는데, 공교롭게도 마침 ZZZ에도 중장비로 공격하는 방부가 있다.[18] 이때 힐데의 포즈는 에도가와 코난을 따라한 것.[19] 이것은 좋은 것[20] 이 부분은 후술할 답을 꺼낸 남자아이라고 답하는 것으로 대체되기도 한다.[21] 바뤼흐 스피노자가 했다고 잘못 알려진 "비록 내일 지구의 종말이 온다 하더라도, 나는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의 인용으로 보인다[22] 사료스탕스 자체가 바보가 아닌 사도를 세는게 빠를 것 같은 집단인건 둘째치고, 해당 문답에 대한 대답이 원래 이게 아니었을 뿐더러 사료스탕스 멤버가 모모를 포함해서 5명이 되는 것이라면 명예 멤버 취급받는 슈로를 의식한 것으로 보이고 슈로 테극 이후를 시점으로 잡고 내용을 고친 것으로 보인다.[23] 헬렌 켈러가 한 말이라고 한다.[24] 얼음+박카스+사이다[25] 빅우드가 마조가 된 근본적인 원인이 외로움에서 시작됐을 것으로 추측되는 만큼 특히나 싫어하는 것으로 보인다.[26] 알레트의 코드A와 블랑셰 테마극장에서의 코드1865 등 코드로 통신하는 모습은 최신작에 등장하는 행성 봉쇄 기구와 유사하다.[27] 이 중 해적 연출은 에피드 게임즈 초기작의 자체 패러디이기도 하다.[28] 실제 음성은 돌리랑 도트가 제일 좋아와 비슷하지만 100% 똑같진 않다.[29] 두 문장을 두 장면에 걸쳐 분할해놨다.[30]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비비가 저렇게 겉으로는 온갖 고상함을 뽐내고 다니는 위선자라는 사실이다. 마침 킹스맨이 영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걸 생각해 보면 꽤 절묘하게 어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