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09:29:02

토르티야

틀락스칼리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www.cocinista.es/tortilla-trigo.jpg
tortilla

1. 개요2. 명칭3. 스페인식 토르티야4. 여담5. 관련 문서

1. 개요

중남미 원주민에게서 기원한 멕시코,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등 메소아메리카의 주식이다. 석회 처리 한 옥수숫가루로 만들며, 스페인 정복 이후 밀가루 반죽으로도 만들기 시작한 이다. 어원은 torta(둥글납작한 빵)의 변형. 고대부터 주식으로 먹어왔으며, 본래 멕시코 남부에서 옥수숫가루[1]를 이용해 만들었으나, 북부에서는 기후적인 특성상 취식용 옥수수의 재배 원가가 높은 탓에 값싼 흰 밀가루로 대체되었다. 마찬가지로 멕시코 북부와 접하는 미국 서부 지역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음식에도 밀가루 토르티야가 기본이다. 무발효 빵이라 만들기도 간단해서, 본토에서는 한국에서 밥을 짓듯이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먹는다. 단지 보통 여러 장을[2] 만들어 먹는 토르티야를 한 장 한 장 누르는 것이 다소 번거롭다. 멕시코에서는 옥수숫가루로 만든 토르티야를 높게 치지만, 밀가루 토르티야가 싸고[3] 대량 생산이 용이해서 가난하거나 맞벌이를 하는 등의 이유로 직접 만들 시간이 없는 가정이나 식당에서는 밀가루 토르티야를 쓰는 경우가 많다. 빈부 격차가 심하고 인건비가 낮은 멕시코 특성상 빅맥 지수처럼 토르티야 가격이 멕시코 경제 상황의 주요 지표로 쓰이기도 한다.

옥수수 토르티야를 만들 때 꼭 첨가하는 것이 있는데 석회수(수산화 칼슘 수용액), 혹은 잿물과 같은 알칼리 용액이다. 옥수수를 석회수에 하룻밤 이상 담가둔 뒤 쓰거나, 옥수숫가루를 석회수에 가라앉힌 뒤 건져서 쓰는 것. 닉스타말화라고 한다. 이렇게 처리하면 그냥은 소화 흡수가 거의 되지 않는 옥수수 특유의 나이아신 화합물을 소화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옥수수를 주식으로 삼았던 원주민들이 터득한 생활의 비법이다.[4]

물론 멕시코에서는 이 빵을 당연히 그냥 먹지는 않고, 바게트처럼 뭔가를 곁들여 먹는 게 일반적이다. 납작한 모양 덕분에 고기, 야채 등으로 각종 재료를 얹은 뒤 돌돌 말아서 싸 먹는데, 이것이 바로 타코(그리고 부리토) 혹은 파히타(Fajita)를 먹을 때 싸 먹으라고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이 외에 피자를 만들 때 도우 대용으로 토르티야를 활용하기도 한다. 특히 토르티야의 모양이 기본적으로 넓적한 원형인지라 위에 소스 + 재료를 놓고 오븐에 돌리든 팬에 구워주면 완성.

비슷한 종류로 크레이프가 있으며[5] 밀가루 토르티야의 경우 중동에서 먹는 라바시나 쿠브준 같은 플랫브레드와 상당히 흡사하다. 옥수수 토르티야 말고 밀가루 토르티야의 기원은 스페인에서 누에바에스파냐 식민지로 넘어간 세파르드 유대인들이 만들었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출처.

멕시코에서 만들어진 토르티야를 한 입 크기로 썰어 튀기는 토르티야 칩도 있다. 흔히 나초라고 부르는 것. 지금은 전 세계적으로 찾을 수 있는 간식이다. 흔히 '나초 칩'이라고 부르지만, 토르티야 칩에 뭘 안 올리고 그냥 칩만 있는 것은 엄밀히 말하면 나초가 아니다.

2. 명칭

언어별 명칭
나와틀어 tlaxcalli(틀라슈칼리)[6]
스페인어 tortilla
한국어 토르티야
영어 tortilla
일본어 トルティーヤ
중국어 玉米饼
러시아어 тортилья
에스파냐어라 생소해서 그런지 몰라도 '또띠아', '또르띠아', '또르띠야', '또르티야', 등등 다양한 표기가 쓰이나, 에스파냐어 외래어 표기법에 맞는 옳은 표기는 '토르티야' 하나뿐이다.[7]

영어로는 '토티여'[8] 또는 '토티어'[9]에 가깝게 발음한다. 멕시칸 음식점이나 미국 서부식 멕시코 음식점에 가면 "무슨 토르티야로 줄까?" 하고 물어보는데, white, wheat[10], corn 세 가지를 제공하는 것이 보통이다. 간혹 철자만 보고 '톨틸라'라고 잘못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

3. 스페인식 토르티야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c60b1e><colbgcolor=#fabd00> 고기류 알본디가스 · 초리소(초리소 아 라 시드라) · 치차론 · 토레즈노 · 하몬
빵류 바스크 치즈케이크 · 엔사이마다 · 엠파나다 · 추로스
면/쌀류 파에야
해산물류 감바스 알 아히요
과자류 마사판
액체류 포도주(셰리, 카바) · 상그리아 · 칼리모초 · 커피(카페 콘 레체 · 코르타도)
기타 가스파초 · 미가스 · 타파스 · #s-3
}}}}}}}}} ||



파일:external/food.ninemsn.com.au/Spanish-omelet-with-roasted-tomatoes-spinach-and-chorizo.jpg

계란감자로 만드는 스페인식 오믈렛인 스페인식 토르티야(Spanish omelette, Tortilla Española)도 있다. 사실 이 오믈렛이 원조 토르티야였고 중남미에서 먹던 것은 아즈텍 사람들은 나와틀어로 틀라슈칼리(Tlaxcalli)라고 불렀으나, 납작한 옥수수 반죽 모양이 밀빵인 토르타와 비슷하다고 생각한 스페인 사람들이 작은 토르타라는 의미로 토르티야라는 이름을 붙였다. 참고로 일본어에서는 멕시코의 토르티야는 トルティーヤ, 스페인식 오믈렛 토르티야는 トルティージャ(토르티자)로 구분해 표기한다.

4. 여담

한국에서는 자주 케밥에 토르티야를 이용한다. 원래는 튀르키예식 난에 해당하는 에크멕으로 해 먹어야 제맛이 나지만, 에크멕은 화덕에 바로 구워서 나오는 게 맛있는데 케밥 트럭에 화덕을 따로 구비하기는 힘들고.... 실제로 한국에 거주하는 튀르키예 사람들은 한국에서 먹는 케밥이 살짝 두툼한 에크멕 대신에 얇은 토르티야로 만들기 때문에 식감이나 포만감이 튀르키예 것만 못하다고 불평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튀르키예 현지의 경우 화덕이 없는 경우 lavaş(라바시)를 사용하는 편이지만, 한국에서 구하기 힘든 라바시보다는 차라리 구하기 쉽고 저렴한 토르티야로 만드는 것이 한국 사람 입맛에 더 잘 맞는다.[11] 토르티야는 전자레인지에 해동한 후 몇 초 살짝 익히기만 해도 식감이 살아나므로 케밥을 판매하는 푸드트럭 입장에서도 활용이 편리하다. 물론 한국 말고도 일본이나 홍콩 등 케밥이 대중화되지 않은 아시아 지역에서는 라바시 대신 토르티야를 사용한다.

크기가 작고, 싸먹는 형태에 가루가 덜 생긴다는 장점 덕분에 현재 미국에서는 식빵 대신 우주 식량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는 '토라스카리'라고 해서 행동력 회복템으로 나온다. 위의 틀라슈칼리를 가타카나로 표기한 것. 카리브해 지역 도시의 판매원에게 구입하거나 레시피를 이용해 만들 수 있다. 조리 랭크 5에 레시피 재료로는 옥수수 딱 하나인데 행동력 25 회복에 깨알같이 피로 회복도 붙어있어 상인이나 모험가가 염가 버전 해물 피자라고 생각하고 쓰면 적절하다. 카리브에 온 초보들의 용돈 벌이로도 쓰이는데, 레시피를 구하기 쉽고 요구 조리 스킬 랭도 높지 않으며, 토카스카리를 만드는 재료인 옥수수가 매우 싼 데 비해 토카스카리는 옥수수에 비해 훨씬 비싸게 판매원이나 도구점 주인에게 팔 수 있기 때문이다.

5. 관련 문서



[1] 직접 만들 경우 따로 이태원동에서 마사 파우더(Masa powder)라는 옥수숫가루를 파는 걸로 만든다.[2] 옥수수 토르티야는 보통 손바닥보다 조금 큰 정도라 인당 1장만 먹는 경우는 별로 없다.[3] 멕시코에서도 옥수수는 사료용이 태반이라 취식용 옥수수의 생산량만 따지면 밀보다 적기 때문이다.[4] 옥수수 문서에도 나와있지만 그냥 맨 옥수수만 먹을 경우 발생하기 쉬운 나이아신 결핍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옥수수를 발효시키는 과정이라고 잘못 아는 사람도 있지만, 염기성인 석회수를 통해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5] 이쪽은 보다 얇고 전병처럼 묽은 반죽을 팬에 부쳐 만든다. 취식법은 비슷하지만 만드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6] [t͡ɬaʃˈka.lːi\]. '굽다'라는 뜻의 동사 이슈카(ixca)에서 파생되었다.[7] 원칙적으로 외래어에는 베트남어, 태국어, 중국어를 제외하면 된소리 글자를 쓰지 않는다. 따라서 시험에서 된소리를 쓴 외래어가 예시로 나온다면 십중팔구 틀렸다고 보면 된다.[8] 미국식: /tɔɹˈtijə/, 영국식: /tɔːˈtijə/[9] 미국식: /tɔɹˈti.ə/, 영국식: /tɔːˈti.ə/[10] 통밀로 만들었다는 뜻이다. White tortilla도 당연히 밀(wheat)로 만든다! 단지 정제된 밀가루를 쓸 뿐.[11] 라바시는 상온에서의 보존성을 염두에 두고 굽는 빵이라 수분량이 적어서 식감이 한국 사람 입맛에 잘 맞지 않는다. 2010년대 초반 한국에서 이란인들이 라바시를 직접 생산해서 이태원 내 식자재 마트에 납품하기도 했으나, 몇 년 못 가 소비자의 외면으로 폐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