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8:02:42

파리 지하철 11호선

파일:파리 지하철 아이콘.svg 파리 지하철 운행 노선
파일:파리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2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3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3bis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7bis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8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9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11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13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14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15호선 아이콘.svg
(미개통)
파일:파리 지하철 16호선 아이콘.svg
(미개통)
파일:파리 지하철 17호선 아이콘.svg
(미개통)
파일:파리 지하철 18호선 아이콘.svg
(미개통)
파일:파리 지하철 오를리발 아이콘.svg 오를리발 파일:파리 지하철 오를리발 아이콘.svg CDGVAL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파일:파리 지하철 11호선 아이콘.svgLigne 11 du métro de Paris
Paris Metro Line 11
파리 지하철 11호선
}}}
파일:mp14cc.webp
RATP MP 14형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 지하철
기점 샤틀레-레알역
종점 로니부아페리에역
역 수 19
노선기호 11
노선번호 11호선
개업일 1935년 4월 28일
소유자 파리
운영자 RATP
차량기지 배속/중검수: Saint-Ouen AMT L.4, AMP et AME 차량기지
사용차량 RATP MP 73형 전동차
RATP MP 14형 전동차
노선 제원
노선연장 11.3 km
궤간 1435mm 표준궤
선로구성 전구간 복선
사용전류 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최고속도 80km/h

1. 개요2. 노선

[clearfix]

1. 개요

파리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파리 지하철 11호선 (Paris Metro Line 11)은 서쪽 종점인 샤틀레역에서 동쪽의 센생드니(Seine-Saint-Denis) 주 로니수부아(Rosny-sous-Bois)의 로니부아 페리에(Rosny-Bois Perrier)역을 잇는 영업거리 11.3㎞의 노선이다. 이 노선의 노선색은 갈색이며 1935년 처음 개업하였다. 현재 RATP(파리교통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원래 1891년에 개통한 벨빌 푸니쿨라 트램이 지상구간을 거의 동일한 선형으로 완주했으나, 언덕의 좁은 골목길을 단선 선로로 오르다 보니 한계가 명백했고 결국 1924년에 운행을 중단했다.[1] 이후 1935년에 파리 지하철 11호선이 동일한 선형으로 개통되어 지하철로 완전히 대체되었다.

1935년 개통한 이후로 노선 변경 없이 2024년까지 계속해서 6.3km 길이의 짧은 구간만을 운행했지만, 2024년 6월 13일에 드디어 메리 드 릴라 역 이후 연장구간이 개통되어 영업거리가 11.3km로 늘어났다.[2] 원래 6.3km의 짧은 구간만 운행했던 만큼 신기술의 테스트베드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1956년에는 파리 지하철 최초로 고무차륜 차량이 도입되기도 했다. 다만 이 이후로는 업데이트가 거의 없어서 2024년까지도 1967년에 제작된 MP 59형[3] 이 현역으로 돌아다녔으나, 노선 연장개통 하루 전인 6월 12일부로 전 차량이 퇴역하고 최신형인 MP 14형으로 대체되었다.

2. 노선

파일:attachment/파리 지하철 11호선/노선도.jpg
한국어 명 프랑스어 명 환승노선 비고
샤틀레 Châtelet 1호선
4호선
7호선
14호선
RER A선
RER B선
RER D선
오텔드빌 Hôtel de Ville 1호선
랑뷔토 (퐁피두 센터) Rambuteau (Centre Georges Pompidou)
아르에메티에 Arts et Métiers 3호선
레퓌블리크 République 3호선
5호선
8호선
9호선
공쿠르 (생루이 병원) Goncourt (Hôpital Saint-Louis)
벨빌 Belleville 2호선
피레네 Pyrénées
주르댕 Jourdain
플라스데페트 Place des Fêtes 7bis선
③b 파리 트램 3b선
텔레그라프 Télégraphe
포르트데릴라 Porte des Lilas 3bis선 [4]
메리데릴라 Mairie des Lilas
세르주 갱스부르 Serge Gainsbourg [5][6]
로맹빌 – 카르노 Romainville – Carnot
몽뢰이 – 오피탈 Montreuil – Hôpital
라뒤스 La Dhuys
코토보클레르 Côteaux Beauclair
로니부아페리에 Rosny-Bois-Perrier RER E선


[1] 운행 당시에는 트램과 푸니쿨라가 혼합된 느낌으로, 선로 밑에 로프를 연결해서 고개를 올랐다고 한다. 대충 현재까지도 운행하고 있는 샌프란시스코리스본의 트램과 비슷한 느낌이었다고.[2] 다만 그럼에도 파리 지하철 노선 중에서 최단거리 노선임은 변화가 없다.[3] 1963년부터 1967년까지 제작된 차량으로, 퇴역한 시점 기준으로 최소 57년이 넘은 차량들이었다. 심지어 신차가 도입되기 전인 2022년까지는 6호선에서 넘어온 MP 73 한 편성을 제외한 전 차량이 MP 59였다(...)[4] 존 윅 4에서 바워리 킹과 존 윅이 접선한 장소로 나온다. 실제로 가본 사람이라면 볼 수 있는 플랫폼 벽의 고전적인 서양화 표구 모양의 광고판이 특징적인 역이다.[5] 여기서부터 로니부아 페리에까지는 2024년 6월 13일에 연장개통되었다.[6] 프랑스에서 가장 유명한 가수 중 하나인 세르주 갱스부르의 초기 대표곡 중 하나가 "릴라의 검표원(Le poinçonneur de Lilas)"인데, 이에 대한 오마주로 역명에 갱스부르의 이름을 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