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3 13:47:20

파슈토어

인도유럽어족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인도유럽조어
켄툼제어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북게르만어군
동게르만어군
켈트이탈리아어파 켈트어파 도서켈트어군 게일어군
브리튼어군
대륙켈트어군
이탈리아어파 라틴팔리스크어군 로망스어군
오스크움브리아어군
헬라어파
아나톨리아어파
루비아어군
토하라어파
사템제어 발트슬라브어파 발트어파 서발트어군
동발트어군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
남슬라브어군
동슬라브어군
알바니아어파
아르메니아어파
트라키아어파
다키아어파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
누리스탄어군
인도아리아어군
* † 표시는 사멸된 어파 혹은 어군 }}}}}}}}}

||<bgcolor=#fff><tablebordercolor=#000><tablewidth=10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시대 호타키 왕조 · 아프샤르 왕조 · 두라니 왕조 · 바라크자이 왕조 ·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 북부동맹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 · 2021년 아프가니스탄 내전 · 2021년 아프가니스탄 사태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탈레반 ·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 아프가니스탄 마오주의 공산당
외교 외교 전반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 듀랜드 라인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가니스탄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
국방 아프가니스탄군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군
문화 문화 전반 · 아프가니스탄/성문화 · 노루즈 · 필라프 · 요리 ·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다리어 · 파슈토어 · 아프가니스탄/언어
인물 자말룻딘 알 아프가니 · 하미드 카르자이 · 아슈라프 가니 · 암룰라 살레 · 아흐마드 샤 마수드 · 아흐마드 마수드
지리 힌두쿠시 산맥 · 와칸 회랑
민족 아프가니스탄인 · 아프가니스탄계 미국인 · 아프가니스탄계 인도인 · 아프가니스탄계 이란인 · 아프가니스탄계 독일인 · 아프가니스탄계 러시아인 · 파슈툰족
기타 제국의 무덤 }}}}}}}}}
پښتو
파슈토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 사용국
[[아프가니스탄|]][[틀:국기|]][[틀:국기|]]

[[파키스탄|]][[틀:국기|]][[틀:국기|]]
원어민 약 5,000만 명
어족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
동부 이란어군
파슈토어
문자 아랍 문자(파슈토 문자)
언어 코드
ISO-639-1 ps
ISO-639-2 pus
ISO-639-3 pus
주요 사용 지역
파일:Map_of_Pashto-speaking_areas_in_Afghanistan_and_Pakistan..png
우르두어 پشتو زبان
페르시아어 زبان پشتو
타지크어 Пашту
아랍어 اللغة البشتوية
영어 Pashto
ناموويکي، د پوهې ونه چې تاسو یې کښت کوئ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2. 문자
2.1. 파슈토 문자
3. 문법4. 다른 언어와의 관계5. 구사자6. 들어보기7. 기타8. 관련 문서9.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파슈토어는 이란어군의 동부 이란어군에 속하는 개별 언어이자,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에 주로 거주하는 파슈툰인이 사용하는 언어이다.[1] 다리어와 함께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이며, 파키스탄에도 사용자가 천만 단위로 있는 꽤 많이 쓰이는 언어이다. 화자수는 파슈툰인이 사는 두 나라 상태가 말이 아닌지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4,500-6,000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

2. 문자

표기시에는 페르시아 문자와 비슷한 파슈토 문자를 이용하며, 페르시아어에 없는 발음을 표시하기 위해 څ [ts], ښ [ʂ~ç~x], ځ [dz], ږ [ʐ~ʝ~ɡ]처럼 페르시아어에 없는 글자를 추가해서 사용하고 있다. 지역마다 자음의 발음이 약간씩 다르다고 한다. 가령 파슈토어를 의미하는 'پښتو / Pax̌tó'라는 단어도 북동부 방언(카불, 페샤와르)에서는 '[ˈpʊxt̪oː](푸흐토)'라고 읽고 남서부 방언(칸다하르, 퀘타)에서는 '[ˈpəʂt̪oː](퍼슈토)'라고 읽는 식.

2.1. 파슈토 문자

한국어에 없는 발음의 문자는 ☪ 표시
어말형 어중형 어두형 독립형 발음 명칭
ـا ـاـ اـ ا [ɑ] 알레프☪ 또는 알리프☪
ـب ـبـ بـ ب [b]
ـت ـتـ تـ ت [t̪] 테☪
ـټ ـټـ ټـ ټ [ʈ] 테☪
ـث ـثـ ثـ ث [s]
ـج ـجـ جـ ج [d͡ʒ] 짐☪
ـچ ـچـ چـ چ [t͡ʃ] 체☪
ـح ـحـ حـ ح [h]
ـخ ـخـ خـ خ [x] 헤☪
ـڅ ـڅـ څـ څ [t͡s] / [s] 체☪ / 세
ـځ ـځـ ځـ ځ [d͡z] / [z] 짐☪ / 짐☪
ـد ـدـ دـ د [d̪] 달☪
ـډ ـډـ ډـ ډ [ɖ] 달☪
ـذ ـذـ ذـ ذ [z] 잘☪
ـر ـرـ رـ ر [r] 레☪
ـړ ـړـ ړـ ړ [ɽ] 레☪
ـز ـزـ زـ ز [z] 제☪
ـژ ـژـ ژـ ژ [ʒ] / [d͡z] 줴☪ / 제☪
ـږ ـږـ ږـ ږ [ʐ][남부] / [ʝ][북서부] / [g][북동부] 제이☪[남부] / 게이☪[북서부] / 게이☪[북동부]
ـس ـسـ سـ س [s]
ـش ـشـ شـ ش [ʃ] / [t͡s] 쉰☪ / 친☪
ـښ ـښـ ښـ ښ [ʂ][남부] / [ç][북서부] / [x][북동부] 신 / 힌☪ / 힌☪
ـص ـصـ صـ ص [s] 쏴드
ـض ـضـ ضـ ض [z] 좌드☪
ـط ـطـ طـ ط [t]
ـظ ـظـ ظـ ظ [z] 줴☪
ـع ـعـ عـ ع [ɑ] 아인☪
ـغ ـغـ غـ غ [ɣ] 가인☪
ـف ـفـ فـ ف [f] / [p] 페☪ / 페
ـق ـقـ قـ ق [q] / [k] 까프☪ / 카프
ـک ـکـ کـ ک [k] 카프
ـګ ـګـ ګـ ګ [ɡ] 가프
ـل ـلـ لـ ل [l]
ـم ـمـ مـ م [m]
ـن ـنـ نـ ن [n]
ـڼ ـڼـ ڼـ ڼ [ɳ] 뉸☪
ـں ـنـ نـ ں [ ̃](모음 비음화) 눈 포자
ـو ـوـ وـ و [w], [u], [o] 와우
ـه ـهـ هـ ه [h], [a][어말에서] 권다 헤
ـۀ ۀ [ə] 카지라 헤☪
ـي ـيـ يـ ي [j], [i] 처르간다 예
ـې ـېـ ېـ ې [e] 우그다 예
ـی, ـے - - ی, ے [ai], [j] 나리나 예 또는 워차 예
ـۍ - - ۍ [əi] 허지나 예☪ 또는 라커이 예☪
ـئ ـئـ ئـ ئ [əi], [j] 팔리 예☪

3. 문법

어순은 우리말처럼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을 띄고 있다.

명사는 남성/여성의 두 가지 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격·사격(斜格)·탈격·호격의 네 가지 격이 존재한다.

4. 다른 언어와의 관계

페르시아어와 가까운 언어이지만, 문법적인 면에선 페르시아어와 달라서 페르시아어 화자와는 원활한 소통이 이뤄지진 않는다. 오히려 인도의 소수민족 언어나 우르두어에 가깝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국에 알려진 파슈토어 단어로는 탈리반이 있다. 탈리반은 '학생들'을 의미한다. 원형이 되는 표현인 탈리브(طَالِب / Ṭālib)는 아랍어에서 온 것이지만, 아랍어에서 이 단어의 복수형은 툴라브(طُلَّاب / Ṭullāb)이고, 탈리반(طالبان / Ṭālibān)은 복수 접미사 '안(ان / -ān)'이 붙은 페르시아어나 파슈토어식 복수형태이다.

한국에서는 배우기가 매우 힘든 언어이지만,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 중의 하나다.

5. 구사자

※파슈토어를 모어로 삼는 사람은 제외.

6. 들어보기

아프가니스탄 TV 방송국의 파슈토어 뉴스.
BBC Pashto 영상.
파키스탄 가수 Ali Zafar의 곡 Larsha Pekhawar(페샤와르에 가요). 파슈툰인의 민요를 편곡한 곡이다.

7. 기타

8. 관련 문서

9. 외부 링크



[1] 그 외에도 인도, 러시아, 타지키스탄, 미국, 호주, 캐나다에도 이주한 일부 파슈툰인들이 사용하고 있다.[남부] [북서부] [북동부] [남부] [북서부] [북동부] [남부] [북서부] [북동부] [어말에서] [12] 모어는 길기트 발티스탄에서 사용하는 발티어이다.[13] 아프간 이름은 카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