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코벨 VC · 2 얀 코투 · 3 안톤 · 4 [[니코 슐로터베크|N. 슐로터베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900; font-size: .8em"]] · 5 벤세바이니 · 6 외즈잔 · 7 조브 8 F. 은메차 · 9 기라시 · 10 브란트 · 13 그로스 · 14 바이어 · 16 뒤랑빌 · 17 추쿠에메카 20 자비처 · 21 파비우 실바 · 23 [[엠레 잔|엠레 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900; font-size: .8em"]] · 24 스벤손 · 25 쥘레 · 26 뤼에르손 · 27 아데예미 28 안셀미노 · 30 드레베스 · 31 오스트신스키 · 33 마이어 · 37 캠벨 · 39 마네 · 42 카바르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No. 30 ''' | ||
파트리크 드레베스 Patrick Drewes | ||
<colbgcolor=#ffd900><colcolor=#000> 출생 | 1993년 2월 4일 ([age(1993-02-04)]세) | |
니더작센 주 델멘호르스트 | ||
국적 |
| |
신체 | 키 194cm / 체중 87kg | |
포지션 | 골키퍼 | |
주발 | 오른발 | |
소속 | <colbgcolor=#ffd900><colcolor=#000> 유스 | TuS 하이트크루크 (1995~2008) VfL 볼프스부르크 (2008~2012) |
프로 | VfL 볼프스부르크 (2012~2017) → FC 빌 1900 (2015~2016 / 임대) → SC 프로이센 뮌스터 (2016~2017 / 임대) 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 (2017~2019) VfL 보훔 (2019~2021) SV 잔트하우젠 (2021~2023) 카를스루어 SC (2023~2024) VfL 보훔 (2024~2025)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5~ ) | |
SNS |
1. 개요
독일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골키퍼.2. 클럽 경력
2.1. VfL 볼프스부르크
파트리크 드레베스는 니더작센의 델멘호르스트 출신으로 델멘호르스트를 연고로 하는 TuS 하이트크루크 Tus 하이트크루크 Wp 참고에서 축구를 시작하였다.이후 2008년 같은 니더작센을 연고로 하는 분데스리가 소속의 VfL 볼프스부르크의 U-17 팀에 입단하였으며 2012/13 시즌에는 새로운 시즌을 맞이하는 VfL 볼프스부르크의 1군으로 콜업되었다. 당시 VfL 볼프스부르크의 주전 골리는 디에고 베날리오였으며 세컨드 골리는 스위스 출신의 마르빈 히츠였다.
이러한 수준급의 선수들이 주전으로 버티고 있는 상황에서 드레베스는 볼프스부르크에서 출전 기회를 보장 받지 못하였으며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지구 소속이었던 VfL 볼프스부르크 리저브 팀(VfL 볼프스부르크 II) 소속으로 경기에 나섰으며 다음 시즌이었던 2013/14 시즌에는 더 많은 출전 기회를 받았으나 팀은 3. 리가 승격을 위한 플레이오프에서 SG 조넨호프 그로스아스파흐에 패하며 승격에 실패한다.
이후 2014/15 시즌에는 다시 1군 로스터에 포함되며 DFB-포칼 출전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하였으며 해당 시즌 VfL 볼프스부르크는 DFB-포칼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2.1.1. FC 빌 1900(임대)
그러나 드레베스는 VfL 볼프스부르크에서 기회를 부여 받지 못하고 2015/16 시즌 스위스 챌린지 리그(스위스 2부 리그)소속이던 FC 빌 1900로 1년간 임대되었으며 임대 이적한 FC 빌 1900에서는 32경기를 소화하였다.드레베스는 곧바로 팀의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였으며 이러한 드레베스의 활약 속에 FC 빌 1900은 2014/15 시즌 리그 9위를 차지한 상황을 타개하고 2015/16 시즌 리그 3위로 시즌을 마쳤다. 해당 시즌은 드레베스가 성인 무대 데뷔 후 첫 주전으로 올라섰던 시기였으나 아직 VfL 볼프스부르크 소속이었던 관계로 시즌을 마치기 전 독일로 돌아왔다.
2015/16 시즌: 32경기(선발 32경기) 45실점 클린 시트 6경기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 시트 | 출전 시간(분) |
스위스 챌린지 리그 | 32 | (45) | 6G | 2,880' |
스위스 컵 | - | - | - | - |
합계 | 32 | (45) | 6G | 2,880' |
2.1.2. SC 프로이센 뮌스터(임대)
다시 독일로 돌아온 드레베스는 2016/17 시즌 당시 3. 리가 소속이었던 SC 프로이센 뮌스터로 다시 임대되었다.그러나 당시 SC 프로이센 뮌스터의 상징과도 같았던 막시밀리안 슐체 니휘스에 밀려 대부분 후보에 머물렀으며 시즌이 종료되어 가던 시점인 2017년 3월에야 처음으로 경기에 나섰다.
한편, 베스트팔렌 포칼에서는 주전이었던 슐체 니휘스 대신 3라운드와 4라운드에 출전하였으나 4라운드에서 SV 뢰딩하우젠에 패하며 프로이센 뮌스터는 베스트 팔렌 포칼 4강전 진출에 실패하였다. 결국 대부분의 경기를 후보로 보냈던 드레베스는 시즌을 마치고 다시 본래의 소속팀이었던 VfL 볼프스부르크로 돌아왔다.
2시즌간의 임대 생활을 마치고 VfL 볼프스부르크로 돌아온 드레베스였으나 이제는 VfL 볼프스부르크라는 분데스리가 소속 클럽에서 쿤 카스테일스와 막스 그륀이라는 또다른 경쟁 상대와 주전 경쟁을 펼쳐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2016/17 시즌: 5경기(선발 5경기) 4실점 클린 시트 1경기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 시트 | 출전 시간(분) |
3. 리가 | 3 | (2) | 1G | 270' |
베스트팔렌 포칼 | 2 | (2) | 0G | 180' |
합계 | 5 | (4) | 1G | 450' |
2.2. 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
이러한 상황에서 드레베스는 2016/17 시즌 종료 후 자유 계약으로 VfL 볼프스부르크를 떠났으며 당시 3. 리가 소속의 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로 자유 이적하며 소속을 옮기게 되었다.당시 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의 주전 골리는 볼프강 헤슬 볼프강 헤슬 Wp 참고이었는데 드레베스는 헤슬에 밀려 출전 기회를 부여 받지 못하다가 14라운드 SC 포르투나 쾰른전에 선발로 나서며 새로운 팀 소속으로 경기에 출전하였다.
직전 경기였던 13라운드 SV 베헨 비스바덴전에서 볼프강 헤슬이 5실점이나 기록하자 골키퍼 교체를 시도하였던 새로운 감독 마이클 실레 마이클 실레 Wp 참고의 판단 덕분.
드레베스는 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에서의 첫 선발로 나섰던 SC 포르투나 쾰른전에서 2실점을 기록하며 팀의 패배를 막지는 못했으나 다음 경기였던 할레셔 FC와 16라운드 켐니처 FC를 상대로 무실점으로 틀어막고 승리를 견인하였다.
드레베스는 이후 주전으로 올라섰으며 출전하였던 3. 리가 25경기에서 10실점 및 11클린 시트 경기를 선보이는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이러한 드레베스의 활약으로 2017/18 시즌 초반 부진한 성적을 보였던 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도 최종 리그 5위라는 안정적인 성적으로 3. 리가 잔류에 성공하였다. 드레베스가 독일 무대에서 처음으로 주전으로 상당 부분을 보냈던 시즌.
2018/19 시즌 역시 볼프강 헤슬을 밀어내고 선발로 출전하였으나 햄스트링 부상으로 경기가 결장하는 횟수가 많아지고 있다. 이어 햄스트링 부상에서 복귀하였으나 이번에는 인대에 문제가 발생하며 대부분을 부상 회복에 시간을 보냈다. 드레베스는 2018/19 시즌 리그 19경기 출전에 그쳤으며 리그 경기의 절반 이상을 출전하지 못한 셈이 되었다.
2017/18 시즌: 28경기(선발 28경기) 10실점 클린 시트 14경기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 시트 | 출전 시간(분) |
3. 리가 | 25 | (10) | 11G | 2,250' |
바이에른 포칼 | 3 | (0) | 3G | 270' |
DFB-포칼 | - | - | - | - |
합계 | 28 | (10) | 14G | 2,520' |
2018/19 시즌: 20경기(선발 20경기) 25실점 클린 시트 5경기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 시트 | 출전 시간(분) |
3. 리가 | 19 | (22) | 5G | 1,710' |
바이에른 포칼 | 1 | (3) | 0G | 90' |
합계 | 20 | (25) | 5G | 1,800' |
2.3. VfL 보훔
2018/19 시즌을 마친 드레베스는 다시 자유 계약의 신분을 얻었으며 당시 세컨드 골리이던 펠릭스 도르네부슈의 이적으로 새로운 골키퍼 자원을 찾던 보훔과 2년 계약을 맺고 입단하였다. 계약 기간은 2019년 7월부터 2021년 6월 말까지.당시 VfL 보훔은 2013/14 분데스리가에서 강등된 이후 계속 2. 분데스리가 소속으로 잔류하던 상황이었는데 드레베스는 2019/20 시즌 클럽의 부동의 주전 마누엘 리만의 세컨드 골리로 경기 명단에 등록되었으나 리그 2경기 출전에 그치고 말았다.
이어 다음 시즌이었던 2020/21 시즌에는 리그 5경기와 DFB-포칼 2경기 출전에 그쳤다. 그러나 VfL 보훔은 2. 분데스리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기록하며 다시 분데스리가로 진출하였으며 파트리크 드레베스는 후반 5경기에 출전하여 3승 1무 1패라는 준수한 성적에 공헌하며 보훔의 분데스리가 승격 및 2. 분데스리가 우승에 나름의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계약 종료 시기와 맞물려 드레베스는 분데스리가 클럽 세컨드 골키퍼와 2. 분데스리가 클럽 주전 골키퍼라는 선택의 기로에 놓였다. 보훔으로 돌아가면 부동의 주전인 마누엘 리만에 막혀 출전이 어렵지만 2. 분데스리가의 다른 클럽으로 이적한다면 주전에 상당히 가까운 실력이기 때문.
결국 드레베스는 다시 2. 분데스리가에 남아 자신의 출전 기회를 보장 받는 쪽을 택하였으며 시즌 종료 후 보훔에서 SV 잔트하우젠으로 이적하였다.
2019/20 시즌: 2경기(선발 2경기) 5실점 클린 시트 0경기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 시트 | 출전 시간(분) |
2. 분데스리가 | 2 | (5) | 0G | 180' |
DFB-포칼 | - | - | - | - |
합계 | 2 | (5) | 0G | 180' |
2020/21 시즌: 7경기(선발 6경기) 5실점 클린 시트 0경기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 시트 | 출전 시간(분) |
2. 분데스리가 | 5 | (6) | 1G | 441' |
DFB-포칼 | 2 | (4) | 1G | 113' |
합계 | 7 | (12) | 2G | 554' |
2.4. SV 잔트하우젠
당시 SV 잔트하우젠은 2020/21 시즌 2. 분데스리가 15위를 차지하며 강등에서 겨우 벗어난 상태였으며 주전으로 활약하였던 마르틴 프라이슬이 시즌 종료 후 자유 계약으로 네덜란드 ADO 덴하흐로 이적한 상태였다.또한 SV 베르더 브레멘에서 임대한 세컨드 골리 스테파노스 카피노도 다시 베르더 브레멘으로 돌아가야 했기에 사실상 골키퍼 포지션을 새롭게 설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던 SV 잔트하우젠에서 영입한 것. 이후 드레베스는 시즌 시작 후 소속이 없던 상태에서 입단한 니콜라이 레넨과 주전 경쟁을 벌였으나 곧 주전 골리로 올라섰다.
그러나 드레베스의 시즌 초반 게르하르트 클레핑거 감독과의 시작은 쉽지 않았다. 대패를 기록하는 경기가 잦았고 드레베스도 분투했지만 아직 100% 제 컨디션을 찾지 못했다. 그러나 알로이스 슈바르츠 감독이 부임하고 팀이 안정화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전반기를 안정적으로 마친 후 드레베스는 키커 겨울 랑리스테에서 A-4에 위치했다. 이는 드레베스가 중하위권의 팀에도 불구하고 꽤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줬음을 증명한다.
후반기에 들어선 이후 드레베스의 퍼포먼스는 엄청났다. 후반기 극초반 3경기 연속 클린시트 달성에 성공하더니, 여러 신들린 선방으로 팀을 안정적인 잔류권에 위치시키는데에 지대한 공을 세웠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여름 랑리스테에서는 2. 분데스리가 골키퍼 중 가장 뛰어난 퍼포먼스임을 보여주는 H-1에 노미네이트되었다.
특히 1. FC 뉘른베르크 원정에서 보인 페널티킥 선방은 그야말로 잔트하우젠의 잔류를 결정지었다고 볼 만큼 큰 선방이었으며 이후 잔트하우젠은 역전골을 터트리며 승리하였으며 해당 경기 이후로 잔류 안정권에 돌입하며 시즌을 마쳤다.
결국 드레베스의 소속 클럽 잔트하우젠은 2. 분데스리가에서 어려운 생존 경쟁을 펼쳤으나 10승 11무 13패의 전적으로 리그 14위를 차지하며 2. 분데스리가 생존에 다시 성공하였으며 드레베스는 연이은 선방을 선보이며 여러 클럽들에게 눈도장을 찍기에 이른다.
그러나 이러한 드레베스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SV 잔트하우젠은 다음 시즌이었던 2022/23 시즌 2. 분데스리가 최하위에 머물렀으며 3. 리가로 강등되고 말았다. 드레베스는 이번 시즌에도 팀의 주전으로 활약하였으며 후반기에는 주장 완장을 차고 출전하기도 하였다.
한편, 드레베스는 시즌이 2022/23 시즌 종료 후 3. 리가로 강등된 SV 잔트하우젠과 재계약을 맺지 않으며 다시 자유 계약자 신분이 되었으며 2. 분데스리가의 카를스루어 SC와 계약을 맺었다.
2021/22 시즌: 34경기(선발 34경기) 55실점 클린 시트 6경기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 시트 | 출전 시간(분) |
2. 분데스리가 | 33 | (51) | 6G | 2,970' |
DFB-포칼 | 1 | (4) | 0G | 90' |
합계 | 34 | (55) | 6G | 3,060' |
2022/23 시즌: 33경기(선발 33경기) 59실점 클린 시트 4경기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 시트 | 출전 시간(분) |
2. 분데스리가 | 30 | (55) | 3G | 2,700' |
DFB-포칼 | 3 | (4) | 1G | 299' |
합계 | 33 | (59) | 4G | 2,999' |
2.5. 카를스루어 SC
SV 잔트하우젠에서 카를스루어 SC로 이적한 드레베스는 2023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2년간의 계약을 맺었으며 곧바로 카를스루어의 주전 골리의 자리를 차지하였다. 이유는 2022/23 시즌 카를스루어SC의 주전 골키퍼였던 마리우스 게르스베크가 헤르타 BSC로 이적하였기 때문.당시 카를스루어 SC는 분데스리가 중상위권의 전력을 보유하고 있었기에 분데스리가 승격에도 그리 멀지 않던 상황이었다. 드레베스는 2023/24 시즌 2. 분데스리가 대부분의 경기인 32경기에 출장하였으며 46실점 및 클린 시트 7경기를 기록하였으나 카를스루어는 아쉽게 리그 5위에 그치며 분데스리가 승격이 좌절되었다.
2023/24 시즌: 33경기(선발 33경기) 48실점 클린 시트 7경기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 시트 | 출전 시간(분) |
2. 분데스리가 | 32 | (46) | 7G | 2,880' |
DFB-포칼 | 1 | (2) | 0G | 90' |
합계 | 33 | (48) | 7G | 2,970' |
2.6. VfL 보훔 2기
카를스루어 SC에서 2023/24 시즌 주전으로 출전하였던 드레베스는 이미 2. 분데스리가에서 검증된 자원이었기에 많은 클럽들의 관심을 받았다. 드레베스는 카를스루어 SC와 2025년 6월까지 계약하였기에 계약 기간이 1년 남아있던 상태였으나 2023/24 시즌 종료 후 분데스리가 소속 클럽이며 지난 날 몸 담았던 VfL 보훔과 2년 계약을 맺었는데 여기에는 복잡한 사정이 얽혀있었다.이렇게 VfL 보훔이 드레베스를 보상금까지 주며 영입한 이유는 2024/25 시즌을 맞이하는 보훔의 여름 이적 시장이 무척 복잡한 상태였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VfL 보훔의 당시 상황은 분데스리가 중하위권의 전력을 보유한 것과 별개로 지난 날 드레베스가 SV 잔트하우젠으로 이적하게 만든 원인이었던 퍼스트 골리 마누엘 리만이 지난 시즌 후반기부터 클럽과 갈등을 일으키며 출전 명단에서 제외되어 있던 상태였으며 기존 마누엘 리만에 이은 세컨드 골리로 출전하였던 마이클 에서 마이클 에서 Wp 참고가 VfR 라우셀 08로 이적한 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의 타개를 위해 VfL 보훔은 파트리크 드레베스 이외 오스트리아 RB 잘츠부르크에서는 티모 호른을 영입하였으며
티모 호른의 영입과 별개로 당초 드레베스가 카를스루어 SC와의 계약이 남아있던 상태였기에 VfL 보훔은 카를스루어SC에 이적 보상금 100만 유로를 주고 영입하였다.
이렇게 다시 VfL 보훔에 영입된 드레베스는 티모 호른과 주전 경쟁을 벌였으며 티모 호른을 제치고 RB 라이프치히와의 개막전 선발 골리로 나섰다. 지난 2012/13 시즌 VfL 볼프스부르크 1군 무대에 등록된 이후 처음으로 나서는 분데스리가 경기였다.
드레베스는 티모 호른과의 주전 경쟁에서 승리하고 지속적으로 선발로 출전하였으나 VfL 보훔은 강등권에 머무르고 있으며 리그가 한참 진행 중이던 14라운드 1. FC 우니온 베를린과의 경기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당시 경기는 1:1로 진행되던 상황이었는데 후반 종반 드레베스가 1. FC 우니온 베를린의 서포터가 던진 라이터에 맞고 경기가 중단되었으며 결국 경기는 마무리를 되지 못하고 1:1로 종료되고 말았다.
이러한 폭력적인 행위를 한 우니온 베를린 팬들에 대해 VfL 보훔은 독일 축구 협회(DFL)에 항의 하였으며 독일 축구 협회는 VfL 보훔의 2:0 몰수승으로 판결을 내렸다. 리그 최하위로 2. 분데스리가 행이 유력하던 VfL 보훔에게 그나마 승점을 가져왔던 사건인 셈. 분데스리가 공식 발표
이후 드레베스는 홀슈타인 킬과의 21라운드까지 출전하였으나 부상으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의 22라운드에 결장하였으며 이후 주전 경쟁에서 티모 호른에 밀리며 남은 시즌 벤치에 머물렀다. 한편, 파트리크 드베레스와 티모 호른이 자리를 바꾸며 골문을 지켰으나 VfL 보훔은 2024/25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최하위의 성적을 거두며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되기에 이르렀다.
2024/25 시즌: 22경기(선발 22경기) 47실점 클린 시트 2경기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 시트 | 출전 시간(분) |
분데스리가 | 21 | (46) | 2G | 1,890' |
DFB-포칼 | 1 | (1) | 0G | 90' |
합계 | 22 | (47) | 2G | 1,980' |
2.7.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파트리크 드레베스는 마누엘 리만의 대체 자원으로 VfL 보훔에 다시 영입되었으나 이번에는 클럽이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되며 다시 커리어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되었다.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된 보훔과의 계약 기간이 남아있었으나 지난 시즌 후반기부터 티모 호른과의 주전 경쟁에서 열위를 보이며 경기 출전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러한 상황에서 드레베스는 2024/25 시즌 종료 후 분데스리가 소속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로 이적하게 되었다. 당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팀의 서드 골리 마르셀 로트카가 2. 분데스리가 포르투나 뒤셀도르프로 자유 이적하였으나 FC 코펜하겐으로 임대를 떠나 있던 디안트 라마이도 존재하던 상황이었고 포스 골리 실라스 오스트신스키도 1군 명단에 간간히 합류하던 상황이었다.
그러나 도르트문트는 디안트 라마이의 임대를 통한 확실한 경기력 향상 및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주전 골리 그레고어 코벨의 이탈에 대비하여 드레베스를 영입하였으며 드레베스와 VfL 보훔간의 계약 기간이 남아 있었기에 이적료 20만 유로를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서 VfL 보훔에 지급하였다.
이에 드레베스는 2025/26 시즌부터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소속으로 경기에 나서게 되었다. 오스트리아 잘펜덴에서의 환영 팬미팅 with 조브 벨링엄
드레베스는 비록 분데스리가 소속 클럽으로 다시 이적에 성공하며 커리어를 이어갔다지만 그레고어 코벨과 세컨드 골리 알렉산더 마이어까지 있기에 경기 출전은 상당난 난항이 예상되는 상황.
2025/26 시즌: 경기(선발 경기) 실점 클린 시트 경기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 시트 | 출전 시간(분) |
분데스리가 | ( ) | G | ' | |
DFB-포칼 | ( ) | G | ' | |
UEFA 챔피언스 리그 | ( ) | G | ' | |
합계 | ( ) | G | ' |
3. 여담
- 2022년에 결혼을 했다.
4. 같이 보기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5-26 시즌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d9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4-25 시즌 | |||||
등번호 | 국적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비고 | |
<colbgcolor=#fff><colcolor=#000> 1 | <colbgcolor=#fff><colcolor=#000> | <colbgcolor=#fff><colcolor=#000000> GK | <colbgcolor=#fff><colcolor=#000> 그레고어 코벨 | <colbgcolor=#fff><colcolor=#000> Gregor Kobel | VC | |
2 | | DF | 얀 코투 | Yan Couto | ||
3 | | DF | 발데마르 안톤 | Waldemar Anton | ||
4 | | DF | 니코 슐로터베크 | Nico Schlotterbeck | VC | |
5 | | DF | 라미 벤세바이니 | Ramy Bensebaïni | ||
6 | | MF | 살리흐 외즈잔 | Salih Özcan | ||
7 | | MF | 조브 벨링엄 | Jobe Belingham | ||
8 | | MF | 펠릭스 은메차 | Felix Nmecha | ||
9 | | FW | 세루 기라시 | Serhou Guirassy | ||
10 | | MF | 율리안 브란트 | Julian Brandt | ||
13 | | MF | 파스칼 그로스 | Pascal Groß | ||
14 | | FW | 막시밀리안 바이어 | Maximilian Beier | ||
16 | | FW | 쥘리앵 뒤랑빌 | Julian Duranville | ||
17 | | MF | 카니 추쿠에메카 | Carney Chukwuemeka | ||
20 | | MF | 마르셀 자비처 | Marcel Sabitzer | ||
21 | | FW | 파비우 실바 | Fábio Sliva | ||
23 | | MF | 엠레 잔 | Emre Can | C | |
24 | | DF | 다니엘 스벤손 | Daniel Svensson | ||
25 | | DF | 니클라스 쥘레 | Niklas Süle | ||
26 | | DF | 율리안 뤼에르손 | Julian Ryerson | ||
27 | | FW | 카림 아데예미 | Karim Adeyemi | ||
28 | | DF | 아론 안셀미노 | Aaron Anselmino | [1] | |
30 | | GK | 파트리크 드레베스 | Patrick Drewes | ||
31 | | GK | 실라스 오스트신스키 | Silas Ostrzinski | ||
33 |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Alexander Meyer | ||
37 | | FW | 콜 캠벨 | Cole Campbell | ||
39 | | DF | 필리포 마네 | Filippo Mané | ||
42 | | DF | 알무게라 카바르 | Almugera Kabar | ||
구단 정보 | ||||||
감독 : 니코 코바치 / 홈 구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 ||||||
출처: 분데스리가 공식 홈페이지, 트랜스퍼마켓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8월 21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