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5 15:10:25

팔욕왕

파일:OL-KO.png
{{{#e8d697,#e8d697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등장인물 (국가별 · 조직별) | 나자릭 지하대분묘 (소속인물 · 서번트)
설정 | 현실 세계 | 위그드라실 (길드)
종족 (리저드맨 · 쿠아고아 · 이형종<언데드 · 드래곤>)
클래스 | 마법 | 아이템(세계급 아이템)
이세계 (원시 마법 · 100년의 여진 · 무투기 · 이세계 아이템 · 모험자 · 워커)
웹 연재판 | 외전 | 비판 | 2차 창작
애니메이션 (1기 · 2기 · 3기 · 4기) · 평가
플레플레 플레이아데스
극장판 (불사자의 왕 & 칠흑의 영웅 · 성왕국편)
MASS FOR THE DEAD (스토리 · 등장인물 · 플레이어블 캐릭터) | 나자릭의 왕 }}}}}}}}}

팔욕왕
八欲王
Eight Greed Kings

1. 개요2. 상세3. 전력4. 길드 거점
4.1. 길드 무기
5. 소속 인물6. 외부 링크

1. 개요

판타지 소설오버로드》에 나오는 가공의 존재.

2. 상세

옛 신화 이야기로 전해 내려오는 전설적 존재들. 500년 전 나타나, 눈 깜짝할 사이에 뭇 나라를 없애고 압도적인 힘을 등에 업은 채 세계를 지배해 나갔다. 이들은 하늘보다도 큰 키를 가졌다고도 하고 용과 같았다고 하며 신의 힘을 빼앗은 자들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그들은 너무 탐욕스러운 나머지, 서로 원하는 것을 두고 경쟁하는 바람에 마지막에는 모두들 죽고 말았다고 한다.[1] 옛날 이야기 치고는 그리 인기 없지만 어느 정도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다 아는 유명한 전설이다.

아르카디아 작가 문답에 따르면 팔욕왕의 구성원은 남자 7명, 여자 1명인데 알맹이는 남자였다고 하며,[2] 내분의 원인은 하렘이었다고 한다. 또한 팔욕왕에 관한 주제는 아인즈가 다룰 내용이 아니라고 못을 박았다.

행적과 강함 그리고 그들이 남긴 유산들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세계로 전이한 위그드라실 플레이어들로, 구성원 대부분이 100레벨이거나 그에 준하는 상당한 고레벨으로 추정된다. 이쪽도 나자릭 지하대분묘처럼 길드 단위로 넘어와서 압도적인 힘으로 대부분의 용왕들을 살해하고,[3] 이세계의 마법을 모종의 방법으로 더럽혀 원시 마법과 진정한 용왕의 대를 끊으면서[4] 세계정복을 눈 앞에 뒀지만 위에 언급했듯이 막판에 내분으로 멸망했다. 육대신신인처럼 그들 역시 몇몇은 후손을 남긴 상태다.

이들에 의해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종족이 바로 위에서도 언급된 '진정한 용왕'으로 상당 수의 진정한 용왕들이 팔욕왕에 의해 사망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상징이자 힘인 원시 마법이 오염되어, 더 이상 원시 마법을 사용한 드래곤이 태어나지 않게 되었다.
백금용왕은 만약 처음부터 용왕들 전원이 협력해서 제대로 대응했다면 이길 수 있지 않았을까 후회하고 있다.[5]

사실상 이놈들 때문에 백금용왕을 포함하여 생존한 몇몇 '진정한 용왕'이 위그드라실의 존재, 즉 플레이어들을 '용제의 오물'이라는 멸칭을 부르며, 즉시 적대시 할 정도로 철천지 원수 관계가 되었다.[6]

그 외에 인간종보다 능력이 우월한 수인 등의 다른 종족들이 대륙을 지배하지 못한 것도 500년 전 팔욕왕이 대륙을 지배하기 위해 움직였을 때의 항쟁으로 인해 그 힘이 크게 깎였기 때문이라 한다.[7] 코믹스 2권의 설정 페이지에 따르면 육대신과 비슷하게 인간종을 우대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그래서 아인종과 이형종을 사냥하고 다녔다고 한다. 또한 육대신 중 한 명인 스루샤나도 죽였다고 하며, 웹연재판에서 슬레인 법국은 이들을 '대죄자'라고 부른다.

팔욕왕이 전멸하고 훗날 그들에 대한 이야기는 동화로 널리 알려져 팔욕왕에 대한 동화는 인기가 매우 없지만, 어느 정도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다 아는 이야기라고 한다. 그러나 하늘보다도 큰 키를 가졌다고도 하며 용과 같았다고도 전해지는 등 너무 허무맹랑한데다가, 그들의 흔적도 거의 사라져, 이 이야기가 그냥 동화인지 실화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현재 그들이 만든 국가의 수도이자 유일하게 남아있는 도시인 에류엔티우라는 도시와 그 위에 그들의 길드 거점으로 추정되는 떠있는 이 남아있다.[8]

그 밖에 팔욕왕이 남긴 8대 무기[9][10]가 있고 도시 내에는 이름 없는 주문서(Nameless Spellbook)라는 모든 마법을 기록하는 마법서가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이세계에는 무수한 몬스터들이 기재된 비전서가 떠도는 듯한데, 플루더 파라다인은 에류엔티우엔 그 완전판이 있지 않을까 추측 중이다. 유저들이 가지고 있던 인사이클로피디아에 대한 이야기도 퍼진 것 같다.

3. 전력

웹연재판에선 좀 더 자세히 언급되길 용왕들이 팔욕왕 중 한 명을 한 번 죽이는데 용왕 측의 피해는 10배씩 나왔고, 게다가 부활 마법을 써서 소생하니 용왕 측은 괴멸적인 피해를 입었다.[11]

4. 길드 거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버로드(소설)/이세계 문서
5.1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길드 무기

팔욕왕이 남긴 8대 무기 중 하나인 검.

벤다는 행위에는 적합하지 않을 법한 형상을 한 검이지만,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예리하며, 이세계의 마법으로는 결코 만들어내지 못할 영역에 있다고 한다.

팔욕왕이 전멸한 현재는 차인도르크스 바이시온이 관리하고 있다.

웹연재본에선 용왕들을 학살했던 무기라고 언급되었다.

5. 소속 인물


* ?????
팔욕왕의 일원인 엘프 남성 플레이어.[12] 직업은 경전사이며, 현재는 고인.

이세계에선 엘프의 대영웅이자 최강의 경전사라 불렸으며, 엘프 나라데켐 호우간의 친부다.[13] 그 오만한 데켐조차 경애할 강함을 가졌는데,[14] 그는 하이 엘프나 엘프 로드 같은 특별한 엘프 종이 아닌 그냥 엘프였다고 한다. 그 때문에 아들인 데켐은 아버지나 자기 자신이 강하기에 엘프야말로 최고의 종족이며, 어느 엘프라도 강력한 잠재능력이 있다고 착각한 건 물론 아버지이란 벽이 너무 높았던 탓에 그 점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온갖 만행을 저질렸다.[15]

그로 인해 슬레인 법국과의 전쟁이 발생하여 결국 16권에선 자신의 손자와 손녀들이 전부 죽고, 원흉인 아들마저 아들의 딸에게 자업자득으로 최후를 맞는 콩가루 집안이 되어, 결국 손녀 안틸리네를 제외하고 모든 대가 끊겼다.[16] 아들 교육 잘못시킨 탓에 간신히 남긴 혈통이 다 끊겨버린 것과 다름없는 셈이다.[17]


* ?????
팔욕왕의 일원이자 홍일점인 인간종 플레이어. 원래는 여성형 아바타로 플레이하던 남성인데 이세계로 전이되면서 성전환된 케이스다.[18]

6. 외부 링크


[1] 그래서 이름이 팔욕왕(여덟 욕망 왕)이다.[2] 2675ご飯がご飯がすすむ君様より. 13英雄は秘密です。8欲王は7人男、1人TSで女。[3] 이세계에서 유일하게 플레이어에 필적하던 진정한 용왕들도 팔욕왕과의 항전에서 종족의 명운이 쇠락할 정도로 큰 피해를 입었다.[4] 오행상극 같은 세계급 아이템을 쓴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5] 사실상 현재 남아있는 진정한 용왕들 전부가 상위권 플레이어급인데 그 외의 용왕들도 적어도 80레벨 정도는 됐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현재 남아있는 용왕급은 아니었겠지만[6] 백금용왕은 일단 선인지 악인지 확인하다가 어떻게든 악이라 판단되면 최우선 제거 대상으로 보며, 칠재용왕은 플레이어를 보자마자 선악 구분없이 바로 적대시 하며 공격했으며, 후관용왕도 오물을 보듯 매우 불쾌해 했다.[7] 이 당시 인간은 다른 종족의 먹이 취급이었다.[8] 웹연재 기준으로 아인즈가 전이해왔을 것을 경계하던 길드로 꼽힌 셋(아스가르드의 천공성을 보유한 길드, 헬헤임 최심부의 빙하성을 보유한 길드, 무스펠하임의 화염거인 발생 필드를 지배하던 길드) 중 하나와 이미지가 겹친다. 물론 서적판과 일치한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9] 길드 무기도 포함되어 있다.[10] 현재는 백금용왕이 가지고 있는데 길드 무기 특성상 길드장 외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기에 사실상 애물단지이다.[11] 사망 후 부활할 때 5레벨 다운 페널티가 아닌 아인즈가 소지한 부활 반지의 하위 호환 효과를 내는 캐시 아이템을 사용해 경험치 소실을 줄였다고 한다.[12] 자손들의 신체적 공통점을 고려하면 그의 외견도 새하얀 은발에, 왼쪽 은안과 오른쪽 흑안의 오드아이로 추측된다.[13] 본인의 성도 '호우간'인지는 불명.[14] 87레벨의 원초 흙 정령보다 강하다고 한다.[15] 작가의 비유에 따르면 부모가 의사이고 아이도 의사인 경우를 예시로 들면 그 아이는 꽤 부모로부터의 압력이라든가, 인생 플랜 같은 걸 참견받는 심리라고.[16] 다만 엘프 나라 외에도 자식을 만들었는지는 불명.[17] 단순 데켐을 형편없이 가르친 것인지, 제대로 시키기 전에 사망한 것인지는 불명이다. 엘프의 수명과 성장 시기가 인간보다 한참 긴 것과 데켐의 사고방식이 몸만 큰 어린애나 다름없는 점을 볼 때 팔욕왕의 역사 시기를 생각하면 일반적인 인간의 정신을 갖고 있어 데켐이 엘프의 기준으로 제대로 장성하기도 전에 사망했을 가능성이 크다.[18] 현재까지 언급된 등장인물 중 유일한 TS 캐릭터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42
, 6.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