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4 20:09:35

포물선

초점에서 넘어옴

평면기하학
Plane Geometr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65432> 공통 도형 · 직선 (반직선 · 선분 · 평행) · (맞꼭지각 · 동위각 · 엇각 · 삼각비) · 길이 · 넓이 · 다각형 (정다각형 · 대각선) · 작도 · 합동 · 닮음 · 등적변형 · 삼각함수 (덧셈정리) · 접선 · 벡터
삼각형 종류 정삼각형 · 이등변삼각형 · 부등변삼각형 · 예각삼각형 · 직각삼각형 · 둔각삼각형
성질 오심 (관련 정리 · 구점원) · 피타고라스 정리 · 사인 법칙 · 코사인 법칙 · 헤론의 공식 · 신발끈 공식 · 스튜어트 정리 · 우산 정리 · 오일러 삼각형 정리 · 데자르그 정리 · 메넬라오스 정리 · 나폴레옹의 정리 · 체바 정리 · 사영 정리 · 판아우벌 정리
기타 세모 모양 · 평범한 삼각형 · 젤곤 삼각형 · 랭글리 삼각형 · 페르마 점
사각형 정사각형 · 직사각형 · 마름모 · 평행사변형 · 사다리꼴 · 등변 사다리꼴 · 연꼴 · 네모 모양
그 외 다각형 오각형 · 육각형 · 칠각형 · 팔각형 (정팔각형) · 구각형 · 십각형 · 십일각형 · 십이각형 · 백각형
단위원 · 원주율 · · 부채꼴 · 할선 · 활꼴 · 방정식 · 원주각 · 방멱 정리 · 톨레미 정리
원뿔곡선 포물선 · 타원 · 쌍곡선 · 파스칼 정리
기타 유클리드 · 보조선 · 테셀레이션(펜로즈 타일) · 제곱근의 앵무조개 · 픽의 정리 · 논증 기하학 · 해석 기하학 · 3대 작도 불능 문제 }}}}}}}}}

<colbgcolor=#871243,#871243> 원뿔곡선
Conic Sections
사영 이차곡선
아핀 타원 포물선 쌍곡선
유클리드 타원 * 포물선 평행한 두 직선* 쌍곡선 교차하는 두 직선*
* 퇴화 이차곡선

1. 개요2. 포물선의 방정식
2.1. 유도
3. 포물선과 직선
3.1. 포물선의 초점을 지나는 직선3.2. 위치 관계3.3. 포물선의 접선
3.3.1. 포물선 위의 점에서의 접선3.3.2. 특정한 기울기의 접선
3.4. 포물선과 직선의 성질
3.4.1. 준선 위의 한 점에서 그은 접선3.4.2. 포물선의 접선에 생기는 마름모3.4.3. 포물선의 광학적 성질
4. 기타5. 어원6. 관련 문서

1. 개요

/ parabola

기하학에서 나오는 도형의 일종으로, 평면상의 어떤 직선과의 거리와 정점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같은 점들의 집합으로 정의한다.

위에서 나온 "어떤 직선"은 준선()이라 하며, "정점"은 초점()이라 부른다.

2. 포물선의 방정식

아래는 하위 문단의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2.1. 유도

[1] 준선이 [math( \boldsymbol{x=-p} )]이고 초점이 [math( \mathbf{F}\boldsymbol{(p,\,0)} )]

파일:나무_포물선_1.png

포물선의 정의에 따라 [math(\overline{\mathrm{FP}}=\overline{\mathrm{PH}})]를 만족시켜야 한다. 이때, [math(\mathrm{H}(-p,\,y))], [math(\mathrm{P}(x,\,y))]임을 이용하면,

[math(\displaystyle \sqrt{(x-p)^{2}+y^{2}}=|x+p| )]

양변을 제곱하면,

[math(\displaystyle (x-p)^{2}+y^{2}=(x+p)^{2} )]

위 식을 정리함으로써 포물선의 방정식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y^{2}=4px )]


[2] 준선이 [math( \boldsymbol{y=-p} )]이고 초점이 [math( \mathbf{F}\boldsymbol{(0,\,p)} )]

파일:나무_포물선_2.png

포물선의 정의에 따라 [math(\overline{\mathrm{FP}}=\overline{\mathrm{PH}})]를 만족시켜야 한다. 이때, [math(\mathrm{H}(x,\,-p))], [math(\mathrm{P}(x,\,y))]임을 이용하면,

[math(\displaystyle \sqrt{x^{2}+(y-p)^{2}}=|y+p| )]

양변을 제곱하면,

[math(\displaystyle x^{2}+(y-p)^{2}=(y+p)^{2} )]

위 식을 정리함으로써 포물선의 방정식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x^{2}=4py )]

그런데 이 형태는 이차함수이므로 결국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포물선임이 여기서도 증명된 것이다.

초점이 [math((x_{0},\,y_{0}))]인 포물선은 [math(x)]축으로 [math(x_{0})], [math(y)]축으로 [math(y_{0})]만큼 평행이동하여 그린다. 이때, 접선이나 준선 또한 모두 평행이동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준선이 [math(x)]축과 수직이면 방정식의 일반형은

[math(\displaystyle y^{2}+Ay+Bx+C=0 )]

꼴이며, [math(y)]축과 수직이면

[math(\displaystyle x^{2}+Ax+By+C=0 )]

꼴이다. 이때, [math(A \sim C)]는 상수이다.

3. 포물선과 직선

3.1. 포물선의 초점을 지나는 직선

파일:나무_포물선_렌즈공식.png
위 그림과 같이 포물선 [math(y^2=4px)] 위의 두 점 [math(\rm R)], [math(\rm S)]와 초점이 한 직선 위에 있다고 하자. 또, [math(\rm R)], [math(\rm S)]에서 해당 포물선의 준선 [math(l)]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math(\rm P)], [math(\rm Q)]라 하자. [math(\overline{\rm RF} \equiv a)], [math(\overline{\rm FS} \equiv b)]라 하고, [math({\rm F}(p,\,0))]이라 하면

[math(\displaystyle \frac{1}{p}=\frac{1}{a}+\frac{1}{b} )]

가 성립한다. 다만 위 그림에서는 [math(b>a)]인 경우만 나타내었지만 위 식은 [math(b<a)]일 때도 성립한다.

증명은 사다리꼴 [math(\rm PRSQ)]를 사용하여 한다. 꼭짓점 [math(\rm R)]에서 [math(\overline{\rm QS})]에 내린 수선의 발을 [math(\rm H)]라 하고, 이 수선이 [math(x)]축과 만나는 점을 [math(\rm G)]라 하자. 이때, 두 직각삼각형 [math(\rm RGF)], [math(\rm RHS)]는 닮음비가 [math(\overline{\rm RF}:\overline{\rm RS})]인 닮은 삼각형이고, 포물선의 성질에 의하여 [math(\overline{\rm FS}=\overline{\rm QS}=b)]이므로 [math(\overline{\rm HS}=b-a)]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overline{\rm GF}}{b-a}=\frac{a}{a+b} \quad \to \quad \overline{\rm GF}=\frac{a(b-a)}{a+b} \end{aligned} )]

이에 [math(\overline{\rm TF}=\overline{\rm TG}+\overline{\rm GF})]임을 이용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overline{\rm TF} &=a+\frac{a(b-a)}{a+b} \\&=\frac{2ab}{a+b} \end{aligned} )]

한편, 포물선의 정의에 따라 [math(\overline{\rm TO}=\overline{\rm OF})]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 OF}&=\frac{\overline{\rm TF} }{2}\\&=\frac{ab}{a+b} \\&=\left( \frac{1}{a}+\frac{1}{b} \right)^{-1} \end{aligned} )]

여기서 [math(\rm T)]는 준선과 [math(x)]축의 교점이다. 그런데 [math(\overline{\rm OF}=p)]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frac{1}{p}=\frac{1}{a}+\frac{1}{b} )]

3.2. 위치 관계

  1. 우선 직선의 방정식을 한 변수에 대하여 정리한다.
  2. 1에서 정리한 직선을 포물선의 방정식에 대입하고 적절히 이항하여 이차방정식을 만든다.
  3. 2에서 나온 이차방정식에 판별식 [math(D)]를 적용한다.
판별식의 부호에 따라 포물선과 직선의 위치 관계가 달라진다.
파일:나무_포물선_직선과 위치 관계.png

3.3. 포물선의 접선

3.3.1. 포물선 위의 점에서의 접선

포물선 위의 점 [math((x_{1},\,y_{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음함수의 미분법으로 구할 수 있다.

[1] 준선이 [math( \boldsymbol{x=-p} )]이고 초점이 [math( \mathbf{F}\boldsymbol{(p,\,0)} )]
먼저 접선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2y \frac{dy}{dx}=4p \,\to\, \frac{dy}{dx}=\frac{2p}{y} )]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식을 정리하여 구할 수 있다.

[math(\begin{aligned}\displaystyle y-y_{1}&=\frac{2p}{y_{1}}(x-x_{1})\\\displaystyle yy_{1}-2p(x+x_{1})&=y_{1}^{2}-4px_{1}\\&=0\\ \\ \therefore\displaystyle yy_{1}&=2p(x+x_{1})\end{aligned})]


[2] 준선이 [math( \boldsymbol{y=-p} )]이고 초점이 [math( \mathbf{F}\boldsymbol{(0,\,p)} )]
먼저 접선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2x=4p \frac{dy}{dx} \,\to\, \frac{dy}{dx}=\frac{x}{2p} )]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식을 정리하여 구할 수 있다.

[math(\begin{aligned}\displaystyle y-y_{1}&=\frac{x_{1}}{2p}(x-x_{1})\\2p(y+y_{1})&=x_{1}x-x_{1}^{2}+4py_{1}\\&=0\\\\\therefore\displaystyle xx_{1}&=2p(y+y_{1})\end{aligned})]

3.3.2. 특정한 기울기의 접선

우선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을 [math(y=mx+n)]이라 하고 포물선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math(x)]에 관한 이차방정식을 만들고 이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질 때 포물선과 직선은 접한다는 것을 이용하면 된다. 즉, 해당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이 0이어야 한다.

[1] 준선이 [math( \boldsymbol{x=-p} )]이고 초점이 [math( \mathbf{F}\boldsymbol{(p,\,0)} )]

[math(\begin{aligned}n=\dfrac{p}m \,\to\, y=mx+\dfrac{p}m\end{aligned})]


[2] 준선이 [math( \boldsymbol{y=-p} )]이고 초점이 [math( \mathbf{F}\boldsymbol{(0,\,p)} )]

[math(\begin{aligned}n=-m^2p \,\to\, y=mx-m^2p\end{aligned})]

3.4. 포물선과 직선의 성질

3.4.1. 준선 위의 한 점에서 그은 접선

파일:포물선_준선_접선_수정.png

위 그림과 같이 준선 [math(l)] 위의 한 점 [math({\rm P}(-p,\,k))](단, [math(k)]는 상수)에서 포물선 [math(y^2=4px)]에 그은 두 접선을 고려해보자. 포물선의 접선 기울기를 [math(m)]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math(y=mx+\dfrac{p}m)]

이고, 이 직선이 [math({\rm P}(-p,\,k))]를 지나므로

[math(k=-mp+\dfrac{p}m)]

이다. 이때, 위 방정식을 [math(m)]에 대하여 정리하면

[math(pm^2-km-p=0)]

이고, 이 방정식의 두 근이 결국 각 접선의 기울기가 된다. 한편,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을 [math(m_1)], [math(m_2)]라 하면,

[math(m_1m_2=\dfrac{-p}p=-1)]

각 접선의 기울기의 곱이 [math(-1)]이므로 포물선의 준선 위의 한 점에서 그은 포물선의 두 접선은 직교한다.

또한, 접선의 접점 [math(\rm A)], [math(\rm B)]와 포물선의 초점 [math(\rm F)]는 한 직선 위에 있다.

접점의 좌표는 포물선의 방정식과 접선의 방정식을 아래와 같이 연립하면 구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left( mx+\frac{p}{m} \right)^{2}=4px )]

따라서 두 접점은

[math(\displaystyle {\rm A}\left( \frac{p}{m_{1}^{2}}, \, \frac{2p}{m_{1}} \right), \qquad {\rm B}\left( \frac{p}{m_{2}^{2}}, \, \frac{2p}{m_{2}} \right))]

따라서 [math(\overline{\rm AB})]의 방정식은

[math(\displaystyle y-\frac{2p}{m_{1}}=\frac{\dfrac{2p}{m_{2}}-\dfrac{2p}{m_{1}} }{\dfrac{p}{m_{2}^{2}}-\dfrac{p}{m_{1}^{2}} }\left( x-\frac{p}{m_{1}^{2}} \right) )]

이고, 이 방정식의 [math(x)]절편을 [math(X)]라 하면 [math(m_1m_2=-1)]이므로

[math(\displaystyle X=\frac{p(m_{1}^{2}+m_{1}m_{2}+1)}{m_{1}^{2}}=p)]

가 되어 초점 [math({\rm F}(p, \,0))]을 지난다.

3.4.2. 포물선의 접선에 생기는 마름모

파일:나무_포물선_마름모.png

위 그림과 같이 포물선 [math(y^2=4px)]와 초점 [math(\rm F)]와 포물선 위의 임의의 점 [math(\rm R)]를 지나는 직선을 [math(\rm FR)]라 하고, 점 [math(\rm R)]에서 준선 [math(l)]에 내린 수선의 발을 [math(\rm P)]라 하자. 또한, 접선과 [math(x)]축의 교점을 [math(\rm Q)]라 하자. 이때, 결정되는 사각형 [math(\rm PRFQ)]의 종류를 결정해보자.

[math({\rm R}(x_{1},\,y_{1}))], [math({\rm F}(p,\,0))]이라 하면, [math(\overline{\rm PT}=p)]이고 포물선의 정의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overline{\rm PR}=\overline{\rm RF}=x_{1}+p )]

한편, [math({\rm R}(x_{1},\,y_{1}))]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은 [math(yy_{1}=2p(x+x_{1}))]이므로 [math(x)]절편인 [math({\rm Q}(-x_{1},\,0))]이고, 이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overline{\rm PR}=\overline{\rm FQ}=x_{1}+p )]

그런데 [math(\overline{\rm PR} \parallel \overline{\rm FQ} )]이므로 사각형 [math(\rm PRFQ)]는 평행사변형이며, [math(\overline{\rm PR}=\overline{\rm RF})]이므로 마름모이기도 하다.

따라서 [math(\rm PRFQ)]의 대각선 [math(\overline{\rm PF})], [math(\overline{\rm RQ})]는 마름모의 성질에 따라 직교한다. 또한 두 대각선의 교점 [math(\rm S)]는 [math({\rm P}(-p,\,y_{1}))], [math({\rm R}(x_{1},\,y_{1}))], [math({\rm F}(p,\,0))], [math({\rm Q}(-x_{1},\,0))]을 고려해보면, [math(y)]축 위에 있다.

이상에서 삼각형 [math(\rm PRF)]는 [math(\overline{\rm PR}=\overline{\rm RF})]인 이등변삼각형이고, 마름모의 대각선은 다른 하나를 수직이등분하고,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에 대한 수직이등분선은 밑변의 양 끝 각이 아닌 한 각을 이등분하므로 [math(\angle {\rm PRS}=\angle {\rm FRS})]이다. 또한, [math(\overline{\rm PR} \parallel \overline{\rm FQ} )]에서 엇각으로 [math(\angle {\rm PRS}=\angle {\rm RQF})]가 된다.

3.4.3. 포물선의 광학적 성질

파일:나무_포물선_광학_수정.png

위 그림과 같이 위 문단과 거의 같은 상황에서 [math(\overline{\rm RF})]의 연장선과 그 위에 있는 점 [math(\rm M)], [math(\overline{\rm PR})]의 연장선과 그 위에 있는 점 [math(\rm N)], 접선 [math(\rm QR)] 위의 점 [math(\rm U)]를 고려하자.

사각형 [math(\rm PRFQ)]가 마름모인 것은 위 문단에서 증명했고, [math(\angle {\rm PRQ}=\angle {\rm FRQ})]인 것도 증명했다. 따라서 맞꼭지각으로 [math(\angle {\rm MRU}=\angle {\rm URN})]임도 자동적으로 나오게 된다.

이것의 성질을 광학에 빗대어보자. 만약 [math(\rm N \to \rm R)]로 광선이 들어왔다면, [math(\angle {\rm NRU}=\angle {\rm FRQ})]이므로 입사각과 반사각[1]은 같게 되어 반사 법칙에 의해 광선은 [math(\rm R \to \rm F)] 즉, 초점으로 향하게 된다. 또, 광선이 [math(\rm M \to \rm R)]로 들어왔다면, [math(\angle {\rm MRU}=\angle {\rm PRQ})]이므로 입사각과 반사각은 같아져 [math(\rm R \to \rm P)]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이 두 결과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포물선의 내부에서 평행하게 입사한 빛은 모두 초점으로 모인다.
    • 역으로 초점에서 방사한 빛은 모두 평행하게 반사된다.
  • 포물선 외부에서 초점을 향하게 입사한 빛은 평행하게 반사된다.
아래의 그림은 위 결과를 표현한 것이다.

파일:나무_포물선_광학_2_New.png

안테나(일명 파라볼라 안테나) 등이 위 성질을 이용하는 물건이다.

4. 기타

5. 어원

6. 관련 문서


[1] 다만, 해당 각들이 입사각 혹은 반사각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입사각 혹은 반사각은 접선에 수직이면서 접점을 지나는 직선과 광선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되기 때문이다. 해당 각들이 같으면 입사각 혹은 반사각은 같을 수밖에 없다.(위 그림에서 추론해보라.)[비교] 파일:namu_이차함수_현수선_비교.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