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적 위상수학에서의 푸앵카레 군에 대한 내용은 기본군 문서 참고하십시오.
상대성 이론 Theory of Relativity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2A1A5B> | 특수 상대성 이론 | 일반 상대성 이론 |
<colcolor=#00a0de><colbgcolor=#2A1A5B> 배경 | 상대성 이론/역사 · 맥스웰 방정식 · 마이컬슨-몰리 실험 | ||
기초 가설 | 상대성 원리 · 광속 불변의 원리 | 등가 원리(중력 · 관성력) | |
이론 체계 | 시공간(세계선 · 고유 시간 · 고유 길이 · 민코프스키 다이어그램 · 아인슈타인 표기법) · 미분기하학(리만 다양체) | ||
로런츠 변환(로런츠 인자) · 로런츠 군 | 아인슈타인 방정식 · 힐베르트 액션 (슈바르츠실트 계량 ·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 · 커 계량/커-뉴먼 계량) | ||
현상 | 동시성의 상대성 · 시간 지연 · 길이 수축 · 질량-에너지 등가원리 · 상대론적 효과(도플러) | 중력 렌즈 효과 · 중력파 · 적색편이 | |
응용 및 심화 | 기본 상호작용 · 상대론적 역학 ·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천체물리학(천문학 둘러보기) · 통일장 이론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타임 패러독스 · 중력 자성 | ||
쌍둥이 역설 · 막대와 헛간 역설 · 아광속 · 초광속 · 타키온 | 중력자 · 블랙홀(블랙홀 둘러보기 · 사건의 지평선 · 중력 특이점 · 양자블랙홀) · 우주론 · 우주 상수 | }}}}}}}}}}}} |
1. 개요
푸앵카레 군은 로런츠 군의 등거리변환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군이다.2. 정의
푸앵카레 군은 로런츠 군과 평행이동의 반직접곱(semidirect product)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math( R^4 \rtimes SO(1,3))] |
[math({x^{\prime}}^{\mu}=\Lambda^\mu_\nu x^\nu + a^\mu)] |
[math( \left \{ \Lambda^\mu_\nu\right \} \in SO(1,3)\\ \left \{ a^\mu\right \} \in R^4 )] |
3. 성질
푸앵카레 군은 로런츠 군에 추가적인 항이 붙어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원래의 로런츠 군을 동차 로런츠 군(homogeneous Lorentz group)이라 부르고 푸앵카레 군을 비동차 로런츠 군(inhomogeneous Lorentz group)으로 부르기도 한다.4. 원소와 연산
푸앵카레 군의 원소는 크게 다음과 같이 3개로 이루어져 있다. 즉, [math(P)]는 시공간에 대한 원소 성분, [math(J, K)]는 공간에 대한 회전, 변환 성분임을 알수 있다. 이를 좌표계로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colbgcolor=#efefef,#555555> [math(P)] | [math(P_0,P_1,P_2,P_3)] |
[math(J)] | [math(J_1,J_2,J_3)] |
[math(K)] | [math(K_1,K_2,K_3)] |
[math(\left[ P_j,P_k\right]=0\\ \left[ J_j,P_k\right]=i\epsilon_{jkl}P_l\\ \left[ J_j,P_0\right]=0\\ \left[ K_j,P_k\right]=i\eta_{jk}P_0\\ \left[ K_j,P_0\right]=-iP_j\\ \left[ J_j,J_k\right]=i\epsilon_{jkl}J_l\\ \left[ J_j,K_k\right]=i\epsilon_{jkl}K_l\\ \left[ K_j,K_k\right]=-i\epsilon_{jkl}J_l)] |
5. 분류 및 특징
푸앵카레 군을 분류하기 위해선 보통 little group 을 사용한다. 물리학에선 물리학자 유진 위그너의 표기법을 따라 주어진 값을 불변시키는 변환들의 부분군을 little group이라 부르며 수학에선 이를 안정화 부분군(stabilizer subgroup)라 부른다. 위그너는 푸앵카레 군을 [math(p=\left (p_0,p_1,p_2,p_3\right ))]에 대한 little group 들로 분류했다. [math(p)]에 로런츠 변환을 하면 위치 [math(x)]에 의존하는 운동량 고유값을 가지게 되지만 궤도(orbit) 전체에 대해 불변하는 스칼라 값인 [math(p^2)]를 이용하면 위치 의존성을 없앨 수 있다. 이 방법으로 푸앵카레 군을 분류하면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math(p_0^2-p_1^2-p_2^2-p_3^2=m^2)] : 이엽쌍곡면을 이루며 기술하는 입자는 시간꼴(time-like)로 움직인다.
- [math(p_0^2-p_1^2-p_2^2-p_3^2=-m^2)] : 일엽쌍곡면을 이루고 기술하는 입자는 공간꼴(space-like)로 움직이는 타키온이 된다.
- [math(p_0^2-p_1^2-p_2^2-p_3^2=0)] : 광원뿔을 이루며 기술하는 입자는 질량이 없는 입자가 된다.
푸앵카레 군에는 두 개의 카시미르 연산자가 존재하여 다른 연산자들과 교환법칙이 성립한다. 하나는 [math(P^\mu P_\mu)] 이며 다른 하나는 파울리-루반스키 벡터, [math(W_\mu)]의 제곱인 [math(W^\mu W_\mu)] 이다. 자세한 내용은 Wu-ki Tung의 Group Theory in Physics 참고.
푸앵카레 군은 [math(p^2=m^2)]를 만족하는 가장 일반적인 군이지만 질량이 없는 입자에 한해선 등각군(conformal group)의 특수한 경우로 볼 수도 있다. 푸앵카레 군이 10개의 생성자로 기술되는 데에 비해 등각군은 15개의 생성자로 기술된다. 등각군은 질량이 없는 입자를 서술하지만 질량이 있는 입자도 질량이 없는 장과 결합(coupling) 효과로 서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