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18:30:06

풍란(드라마)


파일:MBC 로고(1986-2005) 화이트.svg 파일:조선왕조 오백년 타이포그래피.png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추동궁마마
우왕 ~ 태종
AD 1388~1418
뿌리깊은 나무
세종
AD 1418~1450
설중매
문종 ~ 연산군
AD 1450~1504
풍란
중종 ~ 명종
AD 1504~1565
임진왜란
선조
AD 1590~1598
회천문
선조 ~ 광해군
AD 1602~1624
남한산성
인조
AD 1627~1642
인현왕후
숙종
AD 1679~1702
한중록
영조
AD 1725~1779
파문
정조 ~ 순조
AD 1782~1801
대원군
철종 ~ 고종
AD 1849~1897
}}}}}}}}}

1. 개요2. 등장인물

1. 개요

공식 홈페이지

1985년 3월 11일부터 1985년 10월 8일까지 방영되었던 MBC 월화 드라마이자 조선왕조 오백년 제4부. 극본은 전처럼 신봉승, 해설은 성우 양지운이고 초기부터 이병훈 PD가 연출했다가 49회 이후 유길촌 CP가 연출까지 도맡았다. 조연출은 이승렬 & 이창순 PD, 기술감독은 유병천/임봉주, 미술감독은 박수명, 조명감독은 조복현, 카메라는 김경태 외 다수, 야외촬영은 임이랑, 야외조명은 최원근, 타이틀은 강웅부, 무대 디자인은 임수영, OST 작곡은 김희조, 음악은 이춘화, 효과는 김석호 등이 각각 맡았다.

종영 후 2016년부터 MBC Archive에서 다시보기가 가능하나 18회 이전 회차들은 전부 누락된 탓에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에서 사전 예약 후 VHS 비디오테이프 복사본을 열람해야 한다. 다만 2024년 이후 전부 다시보기가 가능해졌다.

2. 등장인물


[1] 동시기를 다룬 여인천하에서는 정난정의 양모로 출연했다.[2] 동시기를 다룬 조광조에서는 남곤 역으로, 여인천하에서는 정순붕 역으로 출연했다.[바로] 전작인 제3화 설중매 드라마에 이어 같이 배우가 출연했다. 풍란 드라마에 자순대비 정현왕후는 40-60대 연령대이므로 설중매에서보다 더 나이 드는 분장을 하여 크게 어색한 티는 없다.(1985년 당시 최명길 배우 실제 나이: 24세)[4] 동시기를 다룬 여인천하에서는 당추스님으로 출연했다.[5] 1995년 KBS '장녹수' 에서는 유자광으로 출연한다.[6] 조선왕조 500년 제7화 '남한산성'에서는 인조 임금 역, 영화 '연산일기' 및 SBS 1997 '임꺽정' 드라마에서는 연산군 역을 맡음.[7] 조선왕조 500년 시리즈 단골 출연 배우로 황희, 허성, 민유중(인현왕후의 친정 아버지), 권일신(천주교 신자), 이토 히로부미 등을 연기함.[8] 조선왕조 500년 시리즈에서 엄흥도, 최경회, 용골대 역 등을 맡음.[9] 동시기를 다룬 조광조에서 김안로 역으로 출연함.[10] 조선왕조 500년 시리즈 단골 출연 배우로 조영규, 홍달손, 가토 기요마사, 목내선, 흥인군 이최응(흥선대원군의 형님) 역 등을 맡음.[11] 설중매에서도 같은 역할을 맡았다.[12] 동시기를 다룬 여인천하에서는 정광필 역으로 출연했다.[13] 동시기를 다룬 여인천하에서 안당 역으로 출연했다.[14]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의 무다구치 렌야, 영화 <일송정 푸른 솔은>의 김좌진 역 등으로 알려졌다.[15] 동시기를 다룬 여인천하에서 윤춘년 역으로 출연.[16] 당시 본명 '구장서'로 활동.[17] 유자광의 아들 유진으로도 출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