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 | |||
|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추동궁마마 우왕 ~ 태종 AD 1388~1418 | 뿌리깊은 나무 세종 AD 1418~1450 | 설중매 문종 ~ 연산군 AD 1450~1504 |
| 풍란 중종 ~ 명종 AD 1504~1565 | 임진왜란 선조 AD 1590~1598 | 회천문 선조 ~ 광해군 AD 1602~1624 | |
| 남한산성 인조 AD 1627~1642 | 인현왕후 숙종 AD 1679~1702 | 한중록 영조 AD 1725~1779 | |
| 파문 정조 ~ 순조 AD 1782~1801 | 대원군 철종 ~ 고종 AD 1849~1897 | }}}}}}}}} | |
1. 개요
공식 홈페이지1985년 3월 11일부터 1985년 10월 8일까지 방영되었던 MBC 월화 드라마이자 조선왕조 오백년 제4부. 극본은 전처럼 신봉승, 해설은 성우 양지운이고 초기부터 이병훈 PD가 연출했다가 49회 이후 유길촌 CP가 연출까지 도맡았다. 조연출은 이승렬 & 이창순 PD, 기술감독은 유병천/임봉주, 미술감독은 박수명, 조명감독은 조복현, 카메라는 김경태 외 다수, 야외촬영은 임이랑, 야외조명은 최원근, 타이틀은 강웅부, 무대 디자인은 임수영, OST 작곡은 김희조, 음악은 이춘화, 효과는 김석호 등이 각각 맡았다.
종영 후 2016년부터 MBC Archive에서 다시보기가 가능하나 18회 이전 회차들은 전부 누락된 탓에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에서 사전 예약 후 VHS 비디오테이프 복사본을 열람해야 한다. 다만 2024년 이후 전부 다시보기가 가능해졌다.
2. 등장인물
- 정난정: 김영란[1]
- 문정왕후: 김혜자
- 중종: 최상훈[2]
- 자순대비: 최명길[바로]
- 경빈 박씨: 나종미 → 박원숙
처음 박원종의 수양딸로서 입궐할 때는 나종미 배우가 연기하다가 도중에 박원숙 배우로 변경. - 승평부대부인 박씨: 엄유신
역시 전작에 이어 같이 배우가 출연했다. 설중매 후반기인 연산군 시기에 남동생 박원종으로부터 장도를 받으며 자진할 것을 이야기들은 바 있다. 마침내 풍란 2회에서 자결하고 박원종은 막상 누님이 세상을 떠나자 슬퍼하며 중종반정을 결행하게 된다. 당시 지방에서 이장곤, 이과가 반정군을 거느리고 북상한다는 정황도 있어서 늦기 전에 결행한다. - 갖바치: 이정길
1회부터 주인공 격으로 쭉 출연하며 신분상 직접 정치에는 참여하지 못하지만 제3자의 시각에서 세상을 관망한다. 풍란과 똑같은 시기 중종-명종 대를 다룬 2001년 SBS <여인천하>(풍란, 여인천하 드라마 모두 중종반정으로 시작하여 윤원형, 정난정의 죽음으로 마무리됨)에서는 임혁 배우가 갖바치 역할을 맡는다. - 서씨(갖바치의 부인): 김청
원래 양반 참판댁 청상과부로서, 같은 청상과부인 시어머니(한영숙 배우)와 함께 살다가 도망쳐 나와 끝내 못 이긴 시어머니의 허락 내지 묵인 하에 갖바치와 인연을 맺는다. 그리고 시어머니는 곧 자진한다. - 아기(갖바치의 딸): 강문희
유년기에 서씨 부인과 처음 만난 후에 서로 담뿍 정이 든 서씨 부인의 의붓딸. 유년기 아역 배우는 따로 있고 청소년기부터 강문희 배우가 출연. - 윤원형: 한인수[4]
- 홍경주: 백인철[5]
- 조광조: 유인촌[6]
- 정광필: 이묵원[7]
- 박원종: 조경환
- 성희안: 나영진[8]
1회에서 처음 등장하여 연회 자리에서 연산군에게 직언을 하다가 종9품 부사용으로 강등됨. 박원종, 김수동, 유순정에 이어 세상을 떠나 세상에서는 네 명의 영의정이 연이어 세상을 떠났다고 함 - 유순정: 박광남
- 남곤: 홍성민[9]
- 심정: 김기일[10]
- 유자광: 변희봉[11] 이제 70대 나이로 접어들어 수염이 완전히 백발이 되고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제일 먼저 진성대군(후일 중종)의 신병을 확보, 보호해야 한다는 중요한 지적을 한다. 중종 비 신씨(신수근의 따님) 폐위를 가장 먼저 주장하고 위세를 부리며 대간과 적대시하다가 결국 대간의 탄핵을 받아 우선 파직되고, 결국 아들 2명(유진, 유방)과 함께 귀양간다. 유배지에서 눈이 먼 채로 5년을 더 살다가 세상을 떠난다.
- 김안로: 김길호
- 보우: 김호영[12]
- 김희: 이원용
- 김식: 나성균
- 안당: 전인택
- 윤임: 임정하
- 김정: 문회원
- 윤지임: 박경현
윤원형, 윤원로, 문정왕후의 아버지로 정사에서는 1534년(중종 29년)에 사망했다고 되어 있으나 극중에선 인종 시기에 생존하는 걸로 사실과 다르게 묘사. - 윤원로: 강인덕: 윤원형의 형. 결국 사약을 받아 세상을 떠난다.
- 임백령: 송기윤
- 정윤겸: 남영진
중종반정에 참여한 정국공신. - 정난정의 어머니: 김민정
- 이 상궁: 김영옥
- 대전 내관: 홍성선
- 장녹수: 이미숙
2회 후반부 중종반정으로 사망. - 폐비 신씨: 이은경
- 옥매향: 이미영
- 김복희
- 방희
- 허항: 오승룡
- 문시경
- 홍숙, 심연원: 최선균
강직한 언관으로 활동함. - 정순붕, 심언경: 박희우
- 신광한, 이기: 서학[13]
- 홍언필: 이창환
- 박영문: 김수일 / 박원종과 절친한 사이로 설정되어 공조판서에 오르려다가 대간들의 반대로 무산됨
- 임꺽정: 김기주[14]
- 기대항: 심양홍
- 오승명
- 박진수: 정한헌[15]
- 구보석[16]
- 공호석
- 한효원: 이기영(1940년생)
- 곽동철
- 정담: 김웅철 / 정윤겸의 서자로 정난정의 친오빠임
- 이장곤: 사상기
- 이인성
- 강남길 : 심의겸(명종 비 인순왕후의 남동생)
- 명종: 윤순홍
- 인순왕후: 강석란
명종의 왕비로 외아들 순회세자는 어린 나이에 일찍 세상을 떠났다. - 이행: 유판웅
- 전희룡
- 김사천
- 서권순
- 이언적: 한창호
- 강미
- 차재홍
- 정난정의 몸종: 견미리
- 김순경
- 인종: 김홍석
- 박경순
- 인성왕후 박씨(인종의 왕비) : 채유미
- 김지원
- 정은숙
- 최 상궁: 최은숙
- 김은희
- 최재영
- 박광영
- 오경애
- 권벌: 양택조[17]
- 박훈: 박찬환
- 정성모
- 맹상훈
- 고영준
- 김흥수
- 김남수
- 송경철
- 남치근: 이동신
- 장순손: 박태호
- 김근사: 김찬구
- 박종근
- 박용근
- 이은철
- 노정아
- 전신희
- 이미진
- 윤철형
- 천호진
- 문용민
- 송영웅
- 이성
- 이연수
- 남혜정
- 남호인
- 황혜선
- 조상문
- 최문선
- 송정훈
- 차재희
- 조경준
- 박희정
- 김용환
- 김재강
- 강승우
- 권민수
- 정종훈
- 엄혜란
- 최정현
- 이종호
- 서정희
- 유경아
- 최윤정
- 김태량
[1] 동시기를 다룬 여인천하에서는 정난정의 양모로 출연했다.[2] 동시기를 다룬 조광조에서는 남곤 역으로, 여인천하에서는 정순붕 역으로 출연했다.[바로] 전작인 제3화 설중매 드라마에 이어 같이 배우가 출연했다. 풍란 드라마에 자순대비 정현왕후는 40-60대 연령대이므로 설중매에서보다 더 나이 드는 분장을 하여 크게 어색한 티는 없다.(1985년 당시 최명길 배우 실제 나이: 24세)[4] 동시기를 다룬 여인천하에서는 당추스님으로 출연했다.[5] 1995년 KBS '장녹수' 에서는 유자광으로 출연한다.[6] 조선왕조 500년 제7화 '남한산성'에서는 인조 임금 역, 영화 '연산일기' 및 SBS 1997 '임꺽정' 드라마에서는 연산군 역을 맡음.[7] 조선왕조 500년 시리즈 단골 출연 배우로 황희, 허성, 민유중(인현왕후의 친정 아버지), 권일신(천주교 신자), 이토 히로부미 등을 연기함.[8] 조선왕조 500년 시리즈에서 엄흥도, 최경회, 용골대 역 등을 맡음.[9] 동시기를 다룬 조광조에서 김안로 역으로 출연함.[10] 조선왕조 500년 시리즈 단골 출연 배우로 조영규, 홍달손, 가토 기요마사, 목내선, 흥인군 이최응(흥선대원군의 형님) 역 등을 맡음.[11] 설중매에서도 같은 역할을 맡았다.[12] 동시기를 다룬 여인천하에서는 정광필 역으로 출연했다.[13] 동시기를 다룬 여인천하에서 안당 역으로 출연했다.[14]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의 무다구치 렌야, 영화 <일송정 푸른 솔은>의 김좌진 역 등으로 알려졌다.[15] 동시기를 다룬 여인천하에서 윤춘년 역으로 출연.[16] 당시 본명 '구장서'로 활동.[17] 유자광의 아들 유진으로도 출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