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 | |||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추동궁마마 우왕 ~ 태종 AD 1388~1418 | 뿌리깊은 나무 세종 AD 1418~1450 | 설중매 문종 ~ 연산군 AD 1450~1504 |
풍란 중종 ~ 명종 AD 1504~1565 | 임진왜란 선조 AD 1590~1598 | 회천문 선조 ~ 광해군 AD 1602~1624 | |
남한산성 인조 AD 1627~1642 | 인현왕후 숙종 AD 1679~1702 | 한중록 영조 AD 1725~1779 | |
파문 정조 AD 1782~1801 | 대원군 철종 ~ 고종 AD 1849~1897 | }}}}}}}}} |
[clearfix]
1. 개요
[1]1985년 10월 14일부터 1986년 4월 15일까지 방영되었던 MBC 월화드라마이자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 제5부. 총 54부작.
극본은 신봉승, 해설은 성우 양지운 그대로이며 연출은 유길촌 & 이병훈 PD, 조연출은 이승렬 & 이창순 PD, 기술감독은 임재륭, 미술감독은 박수명, 타이틀은 강웅부, 무대 디자인은 임수영, 조명감독은 금기우, 야외촬영은 신면식, 야외조명은 최원근, 특수촬영감독은 야지마 노부오(1928~2019) & 전조명, 카메라는 김경태 외 다수, OST 작곡은 김희조, 음악은 이춘화, 효과는 김준식 등이 각각 맡았다.
종영 후 2016년 MBC Archive를 통해 유료 다시보기 서비스 중이며 2023년 11월 9일부터 수개월 간 유튜브 채널 '옛드시대'서 업로드했다가, 2024년 옛드:MBC옛날 드라마 채널로 옮겨졌다. 일본에선 NHK BS2를 통해 1991년 10월 11일부터 1주일 간 편집본을 자막 방영했다.#
2. 등장인물
2.1. 조선
- 선조: 현석
- 의인왕후: 김용선
- 광해군: 황치훈
- 임해군: 정성모
- 엄 상궁: 이수나
- 인빈 김씨: 엄유신
- 순빈 김씨: 서창숙
- 허균: 김주영
- 김개시: 원미경
- 윤두수: 박웅
- 윤근수: 이영달
- 순화군부인 황씨: 윤유선
- 류성룡: 강성욱
- 김성일: 정상철
- 황윤길: 임종국
- 허성: 이묵원
- 허균의 어머니: 한영숙
- 홍여순 / 선거이: 이기영(1936년생)
- 이산해: 한규희
- 이덕형: 이영후
- 이원익: 임문수
- 김응남: 이도련
- 정철: 홍민우
- 이항복: 김용건
- 김공량: 오승룡
- 이귀: 사상기
- 강해: 전인택
- 강준: 최병학
- 강항: 임채무
- 강해의 아내: 정혜선
- 이예원: 김청
- 강극검: 박종관
- 이예원의 오빠: 박영규
- 김개시의 어머니: 김석옥
- 정탁: 유판웅
- 황신: 남영진
- 이순신: 김무생
- 권율: 홍계일
- 원균: 신충식
- 이영남 / 원균의 부장: 정한헌
- 김상건: 전인택
- 한백록: 강인덕
- 이언량: 문창근
- 정발 / 고양겸: 박종근
- 송상현: 박영지
- 이일: 고설봉
- 신립: 김영인
- 이회: 정선일
- 이운룡: 맹상훈
- 조경 / 정발 휘하 졸병: 문용민
- 성수경 / 부상병: 이은철
- 이종인: 오현섭
- 신여랑: 이영범
- 김충선: 박희우
- 고경명: 조형기
- 정발의 부장 / 곽재우: 이동신
- 김덕령: 송기윤
- 김시민: 김종엽
- 고종후: 김성학
- 최경회: 나영진
- 황진: 박상규
- 김천일: 오승명
- 최덕량: 최재호
- 이광악 / 이언춘: 박경순
- 조헌: 심양홍
- 강희보: 천호진
- 이씨 부인: 윤여정
- 임우화: 윤철형
- 사명대사: 김기현
- 논개: 한애경
- 정기룡: 이인성
- 경응순: 이봉규
- 김준민: 문시경
- 국경인: 문회원
- 이수: 김사천
- 이종성: 윤문식
- 조완기: 나기수[2]
- 김공량을 포박하러 온 군관: 이정훈
- 김성일의 방면을 알리는 파수꾼: 강상구
- 류성룡의 집사 / 김명원 / 이광정: 최선균
- 신립의 부장: 박태호
- 고경명의 부장 / 송상현의 부장: 최한호
- 류성룡의 부장: 구보석[3]
- 탄금대 탈영병: 김학철
- 권율 휘하 병사: 김흥수
- 홍 판관: 황일청
- 진주성 주민들: 김지영, 노경주
- 평양 주민: 허기호
2.2. 일본
방영 당시 사정상 일본인 이름은 한자명으로 표기했다.- 풍신수길: 정진
- 덕천가강: 김현직
- 소서행장: 정승현
- 가등청정: 김기일
- 석전삼성: 박광남
- 현소: 박인환
- 종의지: 김영두
- 요시라: 이계인
- 요도기미: 이혜숙
- 풍신수차: 박찬환
- 내등여안: 송경철
- 등당고호: 김성찬
- 내도통총: 김찬구
- 협판안치(와키자카 야스하루): 오현섭[4]
- 모곡촌육조: 한태일
- 장곡천수일(하세가와 히데카즈)[5]: 김기주
- 도정종실(시마이 소시츠): 유판웅[6]
- 가등청정의 부장: 구보석[7]
- 가등광태(가토 미쓰야스): 박태호[8]
- 장강충흥(나가오카 타다오키): 오세장
2.3. 명
2.4. 기타
- 서권순
- 김해숙
- 김정하
- 오경애
- 김순용
- 고영준
- 박병훈
- 차재홍
- 한창호
- 박용근
- 한명구
- 유홍영
- 임익균
- 송영웅
- 최인권
- 신명철
- 김성일
- 김철화
- 최영수
- 윤창우
- 김경진
- 장효선
- 이순화
- 권경숙
- 최재영
- 김경애
- 김명수
- 배창식
- 김정
- 최현미
- 노정아
- 조영선
- 김형영
- 이성훈
- 김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