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00:28:51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바둑리그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바둑리그 엠블럼.png한국바둑리그 역대 시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 ||
한국바둑리그 역대 시즌 일람
2024-25 시즌 2025-26 시즌 2026-27 시즌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30><table bordercolor=white,#1c1d1f> 파일:kb바둑리그타이틀.png파일:kb바둑리그타이틀white.png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
주최, 주관 한국기원
주관방송사 바둑TV
타이틀스폰서 KB국민은행
대회기간 정규리그 2025년 10월 23일 ~ 2026년 2월 8일
포스트시즌 2026년 ~
전기 우승팀 인천 영림프라임창호 (2024-25시즌)
참가팀 영림프라임창호, 마한의 심장 영암, 원익, 수려한 합천,
GS칼텍스, 정관장, 고려아연, 한옥마을 전주
대국규정 시간 각자 1분 + 착수시 15초 추가 피셔방식
계가 한국룰 6.5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대회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우승
미정
정규리그 우승 미정
MVP 미정(소속팀)
다승왕 미정(소속팀)
신인왕 미정(소속팀)
}}}}}}}}} ||

1. 개요2. 중계 및 해설진
2.1. 중계2.2. 해설진
3. 참가팀4. 선수 선발식 및 대진 순번
4.1. 선수 선발식 결과4.2. 대진 순번
5. 시작하기 전에
5.1. 리그 진행 방식5.2. 바둑리그 선발전(5지명)
6. 대회 진행
6.1. 전체 경기 일람6.2. 정규리그
6.2.1. 정규리그 순위6.2.2. 전반기 전적표6.2.3. 후반기 전적표
6.3. 포스트시즌
7. 대회 결과
7.1. 개인상7.2. 최종 순위
8. 여담

1. 개요

한국기원이 주최, 주관하고 KB국민은행이 후원하는 한국바둑리그의 22번째 시즌. 지난 시즌 출전한 8팀이 그대로 출전하는 시즌으로 이번 시즌에는 대국 규정에서 착수시 추가 시간이 15초로 조정되어 시즌이 진행된다.

2. 중계 및 해설진

2.1. 중계

2.2. 해설진

3. 참가팀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참가팀
팀명 (냐열 순서는 지난 시즌 최종 성적 순) 연고지 감독
파일:24-25영림.png 인천 영림프라임창호
(전기 정규, 포스트시즌 통합우승)
인천광역시 박정상
파일:23-24영암.png 영암 마한의 심장 영암
(전기 정규리그 4위, 최종 준우승)
전라남도
영암군
한해원
파일:23-24원익.png 성남 원익
(전기 정규리그 2위, 최종 3위)
경기도
성남시
이희성
파일:23-24합천.png 합천 수려한 합천
(전기 정규리그 3위, 최종 4위)
경상남도
합천군
고근태
파일:24-25GS칼텍스.png 여수 GS칼텍스
(전기 정규리그 5위)
전라남도
여수시
김영환
파일:24-25정관장.png 대전 정관장
(전기 정규리그 6위)
대전광역시 최명훈
파일:23-24고려아연.png 울산 고려아연
(전기 정규리그 7위)
울산광역시 박승화
파일:24-25전주.png 전주 한옥마을 전주
(전기 정규리그 8위)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양건

4. 선수 선발식 및 대진 순번

4.1. 선수 선발식 결과

선수 선발 일정은 9월 16일 까지 보호 선수 지정, 9월 18일 1차 선수 선발식(1~4지명 선발), 9월 21일~26일 까지 선발전 후 10월 2일에 선발전 통과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5지명 2차 선발식을 끝으로 8개 팀의 선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8><tablealign=center><tablewidth=100%><bgcolor=white,#1c1d1f><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545045>
||<width=50%><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 bordercolor=white,#1c1d1f><rowbgcolor=white,#1c1d1f> 파일:kb바둑리그타이틀.png파일:kb바둑리그타이틀white.png||<width=50%>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선수 지명 결과
||
||
<rowcolor=#fff> 팀명[4] 보호
여부
1지명
(주장)
2지명 3지명 4지명 5지명 외국인 선수
(6지명)
마한의 심장 영암 × 신진서 홍성지 심재익 이재성 - 쉬하오훙
한옥마을 전주 × 변상일 안정기 박진솔 한상조 - 양딩신
수려한 합천 × 신민준 이창석 김승진 박지현 - -
원익 [5] 박정환 이지현 이원영 김은지 - -
영림프라임창호 강동윤 박민규 송지훈 강승민 - -
고려아연 × 안성준 최재영 류민형 송규상 - 라오위안허
정관장 × 김명훈 박상진 안국현 박하민 - -
GS칼텍스 × 원성진 김정현(大) 나현 권효진(男) - -
보라색으로 칠해진 칸은 보호 선수
○ : 전체 보호, △ : 일부 보호, × : 전체 재건, N = 신생팀

4.2. 대진 순번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45045><tablebgcolor=#fff,#1f2023><bgcolor=#545045>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대진 순번 ||
1 2 3 4
파일:24-25정관장.png 파일:24-25GS칼텍스.png 파일:24-25전주.png 파일:23-24원익.png
정관장 GS칼텍스 한옥마을 전주 원익
5 6 7 8
파일:23-24고려아연.png 파일:23-24영암.png 파일:24-25영림.png 파일:23-24합천.png
고려아연 마한의 심장 영암 영림프라임창호 수려한 합천

5. 시작하기 전에

5.1. 리그 진행 방식

5.2. 바둑리그 선발전(5지명)

6. 대회 진행

6.1. 전체 경기 일람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white,#1c1d1f> 파일:kb바둑리그타이틀.png파일:kb바둑리그타이틀white.png한국바둑리그
2025-26 시즌 경기 일람
}}}
1~7라운드 8~14라운드 포스트시즌

6.2. 정규리그

6.2.1. 정규리그 순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white,#1c1d1f> 파일:kb바둑리그타이틀.png파일:kb바둑리그타이틀white.png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정규리그 순위
}}}
<rowcolor=white> 순위 <colcolor=#fff,#fff> 경기 승률 승 - 패 개인승패차 비고
- 영림프라임창호 - .000 0-0 +0 (0-0)
- 마한의 심장 영암 - .000 0-0 +0 (0-0)
- 원익 - .000 0-0 +0 (0-0)
- 수려한 합천 - .000 0-0 +0 (0-0)
- GS칼텍스 - .000 0-0 +0 (0-0)
- 정관장 - .000 0-0 +0 (0-0)
- 고려아연 - .000 0-0 +0 (0-0)
- 한옥마을 전주 - .000 0-0 +0 (0-0)
: 챔피언결정전 진출, : PO 진출, : 준PO 진출, : 포스트시즌 진출실패

6.2.2. 전반기 전적표

전반기 (1라운드 ~ 7라운드)
VS <rowcolor=#fff,#fff> 정관장 GS칼텍스 전주 원익 고려아연 영암 영림 합천
<colcolor=#fff,#fff> 정관장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GS칼텍스 0:0 / - 0:0 / 0:0 / 0:0 / 0:0 / 0:0 / 0:0 /
전주 0:0 / 0:0 / - 0:0 / 0:0 / 0:0 / 0:0 / 0:0 /
원익 0:0 / 0:0 / 0:0 / - 0:0 / 0:0 / 0:0 / 0:0 /
고려아연 0:0 / 0:0 / 0:0 / 0:0 / - 0:0 / 0:0 / 0:0 /
영암 0:0 / 0:0 / 0:0 / 0:0 / 0:0 / - 0:0 / 0:0 /
영림 0:0 / 0:0 / 0:0 / 0:0 / 0:0 / 0:0 / - 0:0 /
합천 0:0 / 0:0 / 0:0 / 0:0 / 0:0 / 0:0 / 0:0 / -

6.2.3. 후반기 전적표

후반기 (8라운드 ~ 14라운드)
VS <rowcolor=#fff,#fff> 정관장 GS칼텍스 전주 원익 고려아연 영암 영림 합천
<colcolor=#fff,#fff> 정관장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GS칼텍스 0:0 / - 0:0 / 0:0 / 0:0 / 0:0 / 0:0 / 0:0 /
전주 0:0 / 0:0 / - 0:0 / 0:0 / 0:0 / 0:0 / 0:0 /
원익 0:0 / 0:0 / 0:0 / - 0:0 / 0:0 / 0:0 / 0:0 /
고려아연 0:0 / 0:0 / 0:0 / 0:0 / - 0:0 / 0:0 / 0:0 /
영암 0:0 / 0:0 / 0:0 / 0:0 / 0:0 / - 0:0 / 0:0 /
영림 0:0 / 0:0 / 0:0 / 0:0 / 0:0 / 0:0 / - 0:0 /
합천 0:0 / 0:0 / 0:0 / 0:0 / 0:0 / 0:0 / 0:0 / -

6.3. 포스트시즌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 bordercolor=white,#1c1d1f> 파일:kb바둑리그타이틀.png파일:kb바둑리그타이틀white.png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포스트시즌 대진표
}}}
<rowcolor=#fff>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챔피언결정전
파일:KB리그 미정.png -
0승 0패 / +0
<colbgcolor=#BCBFCD,#505050>
1위
챔피언결정전
- / - ~ -
파일:KB리그 미정.png 0 : 0 파일:KB리그 미정.png
1차전 0:0
-

2차전 0:0
-

3차전 0:0
-
파일:KB리그 미정.png -
0승 0패 / +0
2위
플레이오프
- / - ~ -
파일:KB리그 미정.png 0 : 0 파일:KB리그 미정.png
1차전 0:0
-

2차전 0:0
-

3차전 0:0
-
파일:KB리그 미정.png -
0승 0패 / +0
3위
준플레이오프
- / - ~ -
파일:KB리그 미정.png 1 : 0 파일:KB리그 미정.png
1차전 0:0
-

2차전 0:0
-
파일:KB리그 미정.png -
0승 0패 / +0
4위


7. 대회 결과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우승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KB리그 미정.png -
( - )
}}}

7.1. 개인상

<rowcolor=#fff> 시상 부문 상금 수상자 시즌 성적
<colbgcolor=#545045><colcolor=#fff> MVP[14] ₩10,000,000 선수명
(소속팀)
정규시즌 : -승 -패
PS : -승 -패
신인왕[15] ₩3,000,000 선수명
(소속팀)
-경기
-승 -패
다승왕[16] ₩5,000,000 선수명
(소속팀)
시즌 -승 -패
감독상 ₩30,000,000[17] 감독명
(소속팀)
시즌 우승

7.2. 최종 순위

<colcolor=#fff> 순위
상금
우승 파일:KB리그 미정.png - ₩250,000,000
준우승 파일:KB리그 미정.png - ₩100,000,000
3위 파일:KB리그 미정.png - ₩60,000,000
4위 파일:KB리그 미정.png - ₩30,000,000
포스트시즌 탈락팀
5위 파일:KB리그 미정.png - -
6위 파일:KB리그 미정.png -
7위 파일:KB리그 미정.png -
8위 파일:KB리그 미정.png -

8. 여담


[1] 더메리든 오픈 16강 3경기 중계 도중 유튜브 채팅창에 들어와 해설 참여를 밝히셨다.[2] 2~3지명은 처음의 역순[3] 5지명은 처음의 역순[4] 팀 배치는 1~3지명 드래프트 순번 순[5] 박정환, 이지현 보호 연한 마지막 시즌[6] 신민준과 변상일은 신진서 다음으로 전체 2~3번 지명으로 주장으로 뽑힐 것이 유력시 된다.[7] 1~3지명 드래프트 순번 선택을 위한 순서 추첨 결과 영암, 전주, GS, 합천, 정관장, 고려아연 순으로 드래프트 순번을 선택했다. 순번 선택 결과 영암이 주저 없이 1번을 선택했고, 이어서 전주가 2번을 골랐다. 그리고 GS는 8번을 선택했다. 뒤이어 합천은 3번, 정관장이 7번, 마지막 순서였던 고려아연은 6번을 골라 남아있던 4번과 5번은 영림원익이 추첨을 통해 원익이 4번, 영림은 5번으로 자동 지정됐다.[8] GS칼텍스의 김영환 감독은 순서추첨 결과 3번이 나와 세 번째로 고를 수 있는 권한이 있었는데 3번으로 갔다면 변상일이나 신민준을 픽할 수도 있었으나 2~3지명을 가장 먼저 뽑을 수 있는 8번을 노타임으로 선택했다.[9] 김명훈은 2021-22 시즌 이후 네 시즌 만에 정관장팀에 복귀해 최명훈 감독과 다시 재회했다.[10] 당시에는 국내 선수도 후보 선수로 지명이 가능했다.[11] 참고로 송규상 선수는 선발식 당일에 타이젬바둑 유튜브에서 소통 겸 지도대국 라이브를 진행 중이었는데 중간에 바둑리그 선발식도 중계하던 중 자신의 지명 소식을 보게 되었다.[12] 당시 2019년 8월 8일에 선수 선발식 후 9월 26일에 정규리그에 들어갔었다.[13] '개인 승수 - 개인 패수'로 계산한다. e스포츠 리그에서 순위 결정 시 타이브레이커로 사용 중인 '세트 득실차(승리 세트수 - 패배 세트수)'와 동일하다.[14] 챔피언 결정전 출전팀 선수중 최소 10대국이상 참여한 선수중 정규시즌 및 포스트 시즌 합산승률 60%이상인 선수를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와 기자단 투표를 통해 선정[15] 참가 1년차 선수중 최소 6대국 이상 참여한 선수중 정규시즌 승률 30%이상인 선수를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와 기자단 투표를 통해 선정, 단 단독 후보가 대국,승률 기준에 미달시 기자단 투표로 선정 여부를 결정[16] 정규 시즌 승리수가 가장 많은 기사를 선발, 같은 승수인 기사가 여러명 일 경우 상금을 똑같이 나눠받는다.[17] 감독상금은 우승팀 감독에게 3천만원, 준우승 감독은 2천만원, 3위 1천3백만원, 4위는 1천만원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