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한국바둑리그 역대 시즌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2019-20 | 2020-21 | 2021-22 | 2022-23 | 2023-24 | |
2024-25 | 2025-26 |
한국바둑리그 역대 시즌 일람 | ||||
2024-25 시즌 | ← | 2025-26 시즌 | → | 2026-27 시즌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table bordercolor=white,#1c1d1f> | |||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 }}} | |||
주최, 주관 | 한국기원 | |||
주관방송사 | 바둑TV | |||
타이틀스폰서 | KB국민은행 | |||
대회기간 | 정규리그 | 2025년 10월 23일 ~ 2026년 2월 8일 | ||
포스트시즌 | 2026년 ~ | |||
전기 우승팀 | 인천 영림프라임창호 (2024-25시즌) | |||
참가팀 | 영림프라임창호, 마한의 심장 영암, 원익, 수려한 합천, GS칼텍스, 정관장, 고려아연, 한옥마을 전주 | |||
대국규정 | 시간 | 각자 1분 + 착수시 15초 추가 피셔방식 | ||
계가 | 한국룰 덤 6.5집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대회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우승 | |||
미정 | ||||
정규리그 우승 | 미정 | |||
MVP | 미정(소속팀) | |||
다승왕 | 미정(소속팀) | |||
신인왕 | 미정(소속팀) |
1. 개요
한국기원이 주최, 주관하고 KB국민은행이 후원하는 한국바둑리그의 22번째 시즌. 지난 시즌 출전한 8팀이 그대로 출전하는 시즌으로 이번 시즌에는 대국 규정에서 착수시 추가 시간이 15초로 조정되어 시즌이 진행된다.2. 중계 및 해설진
2.1. 중계
2.2. 해설진
- 캐스터 :
- 해설 : 목진석 九단[1]
3. 참가팀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참가팀 | |||
팀명 (냐열 순서는 지난 시즌 최종 성적 순) | 연고지 | 감독 | |
| 인천 영림프라임창호 (전기 정규, 포스트시즌 통합우승) | 인천광역시 | 박정상 |
| 영암 마한의 심장 영암 (전기 정규리그 4위, 최종 준우승) | 전라남도 영암군 | 한해원 |
| 성남 원익 (전기 정규리그 2위, 최종 3위) | 경기도 성남시 | 이희성 |
| 합천 수려한 합천 (전기 정규리그 3위, 최종 4위) | 경상남도 합천군 | 고근태 |
| 여수 GS칼텍스 (전기 정규리그 5위) | 전라남도 여수시 | 김영환 |
| 대전 정관장 (전기 정규리그 6위) | 대전광역시 | 최명훈 |
| 울산 고려아연 (전기 정규리그 7위) | 울산광역시 | 박승화 |
| 전주 한옥마을 전주 (전기 정규리그 8위)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 양건 |
- 참가팀은 전기 8팀이 그대로 이번 시즌에도 출전한다. 전 시즌과 팀수, 팀명이 동일하게 유지되어 출전하는 것은 2017 시즌 이후 처음이다.
4. 선수 선발식 및 대진 순번
4.1. 선수 선발식 결과
선수 선발 일정은 9월 16일 까지 보호 선수 지정, 9월 18일 1차 선수 선발식(1~4지명 선발), 9월 21일~26일 까지 선발전 후 10월 2일에 선발전 통과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5지명 2차 선발식을 끝으로 8개 팀의 선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1~4지명 9월 18일 지명 (1차 선수선발식) (9월 17일 보호선수 지명 공개) / 5지명 선발전 9월 21일~26일 / 5지명 10월 2일 지명
- 드래프트 순서
- 1~3지명[2] : 마한의 심장 영암 → 한옥마을 전주 → 수려한 합천 → 원익 → 영림프라임창호 → 고려아연 → 정관장 → GS칼텍스
- 4~5지명[3] : 영림프라임창호 → 원익 → 수려한 합천 → 마한의 심장 영암→ 정관장 → 한옥마을 전주 → 고려아연 → GS칼텍스
||<-8><tablealign=center><tablewidth=100%><bgcolor=white,#1c1d1f><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545045>
||<width=50%><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 bordercolor=white,#1c1d1f><rowbgcolor=white,#1c1d1f> ![파일:kb바둑리그타이틀.png]()
||<width=50%>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선수 지명 결과 ||
||선수 지명 결과 ||
<rowcolor=#fff> 팀명[4] | 보호 여부 | 1지명 (주장) | 2지명 | 3지명 | 4지명 | 5지명 | 외국인 선수 (6지명) |
마한의 심장 영암 | × | 신진서 | 홍성지 | 심재익 | 이재성 | - | 쉬하오훙 |
한옥마을 전주 | × | 변상일 | 안정기 | 박진솔 | 한상조 | - | 양딩신 |
수려한 합천 | × | 신민준 | 이창석 | 김승진 | 박지현 | - | - |
원익 | △[5] | 박정환 | 이지현 | 이원영 | 김은지 | - | - |
영림프라임창호 | △ | 강동윤 | 박민규 | 송지훈 | 강승민 | - | - |
고려아연 | × | 안성준 | 최재영 | 류민형 | 송규상 | - | 라오위안허 |
정관장 | × | 김명훈 | 박상진 | 안국현 | 박하민 | - | - |
GS칼텍스 | × | 원성진 | 김정현(大) | 나현 | 권효진(男) | - | - |
보라색으로 칠해진 칸은 보호 선수 ○ : 전체 보호, △ : 일부 보호, × : 전체 재건, N = 신생팀 |
- 이번 시즌엔 (2025년 9월 기준) 한국랭킹 30위권 내에서 불참하는 선수들이 상당히 많은데 2023-24시즌부터 KB리그에 불참 중인 김지석과 최정을 포함해 김진휘(지난 시즌 GS칼텍스 2지명), 한승주(지난 시즌 전주 2지명), 조한승(지난 시즌 영암 5지명) 등이 선발전에도 참가하지 않고 불참했으며, 이 밖에도 현재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 중인 설현준(지난 시즌 영암 2지명)을 포함해 군 입대가 예정된 한우진(지난 시즌 합천 2지명), 문민종(지난 시즌 고려아연 3지명), 박종훈(지난 시즌 전주 4지명) 등도 모두 불참했다.
- 보호 선수 지명 결과 지난 시즌 우승팀인 영림프라임창호와 지난 시즌 정규리그 2위(최종 3위)를 한 원익 단 두 팀만 보호선수 지명을 행사했다. 두 팀 모두 지난 시즌 1~4지명 선수를 지명 순번 변동 없이 그대로 보호 선수로 지정했다. 이 두 팀은 선발전 통과자를 대상으로 하는 2차 선발식에서 5지명을 새로 뽑게 된다. 동시에 보호 지명을 두 팀이 4지명까지만 행사함에 따라 이번 시즌 선발전은 8명을 뽑게 된다.
- 김은지(원익)는 이번 시즌 홍일점 바둑리거로써 활약하게 됐다. 이번 시즌 참가 신청 기사중 김은지를 제외한 여자기사들은 모두 선발전에 참가했는데 이 중 지난 시즌 고려아연 5지명이었던 김채영을 포함해 스미레, 오유진, 조승아까지 총 4명이 최종 3차 선발전까지 진출했으나 모두 선발전 최종 통과에 실패하면서 여자 기사 중에서는 추가 선발자가 없게 됐다.
- 나머지 6팀은 보호 지명을 포기했는데 이 6팀은 이번 드래프트의 최대어인 한국랭킹 1위 신진서 쟁탈전에 참전하게 되었다. 또한 신진서 외에도 대어급이라고 할 수 있는 신민준(2025년 9월 한국랭킹 3위)과 변상일(2025년 9월 한국랭킹 7위)도 역시 보호 연한 만료로 풀린점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6] 또한 영암과 합천의 경우 상술했듯 지난 시즌 2지명 선수의 군 입대 문제도 겹치며 보호 지명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1~4지명 1차 선수선발식에서 무려 24명이 뽑히게 되어 큰 폭의 선수단 변화가 발생하게 됐다.
- 1차 선수선발식 결과 보호지명을 포기한 6팀 대상 순서 추첨 후 선택[7]에 따라서 전체 1번 지명권을 마한의 심장 영암이 가져갔다. 영암은 전체 1번으로 이번 드래프트 최대어 신진서를 주장으로 선발했다. 2번 지명권을 행사한 한옥마을 전주는 변상일, 3번을 선택한 수려한 합천은 신민준을 주장으로 각각 선발했다. 반면 고려아연, 정관장, GS칼텍스[8]는 2~3지명을 빠르게 픽할 수 있는 뒷 순번을 선택했다. 고려아연은 지난 시즌 영암의 주장이었던 안성준, 정관장은 지난 시즌 합천에서 주장을 맡았던 김명훈[9], GS칼텍스는 지난 시즌 전주의 주장이었던 원성진을 주장으로 각각 선발했다.
- 올해 대통령배 준우승을 차지했던 이재성은 마한의 심장 영암의 4지명으로, 2022-23시즌 '포스코퓨처엠'의 퓨처스리거로 활동한 바 있는 신예 박지현은 수려한 합천의 4지명으로 각각 선발되어 정식 바둑리거로서 데뷔 시즌을 맞이한다.
- 이번 시즌에도 KB리그에 복귀한 선수들이 등장했는데 2023-24시즌까지 'KIXX'(현재 GS칼텍스)의 2지명이었던 박진솔이 한옥마을 전주의 3지명으로 선발되어 두 시즌만에 KB리그 복귀 시즌을 맞이하고, 마찬가지로 2023-24시즌 수려한 합천의 후보선수[10]였던 김승진이 다시 합천에 3지명으로 부름을 받아 팀에 복귀함과 동시에 두 시즌만에 리그에 복귀한다. 2022-23시즌 '컴투스 타이젬'의 3지명으로 뛰었던 안국현과 역시 마찬가지로 2022-23시즌 '셀트리온'의 5지명으로 뛰었던 송규상[11]은 각각 이번 시즌 정관장의 3지명과 고려아연의 4지명으로 선발되며 세 시즌만에 KB리그에 복귀하게 됐다.
- 지난 시즌 합천의 4지명이었던 안정기는 한옥마을 전주의 2지명으로 선발되어 자신의 고향팀에서 이번 시즌을 보내게 됐고, 지난 시즌의 나현에 이어 두 시즌 연속으로 전주 출신 선수가 전주팀에서 뛰게 됐다.
- 현재 바둑리그 역사상 유일한 전 시즌 출전자로 남아있던 박영훈(지난 시즌 영암 3지명)은 1차 선수선발식에서 선발되지 못했고, 선발전에서도 탈락하며 이제 KB바둑리그 역사상 전 시즌 출전자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 이번 시즌 보호지명되지 않은 선수들 중에서는 심재익(영암)과 박상진(정관장)이 지난 시즌 소속팀의 부름을 다시 받았다. 영암의 심재익은 지난 시즌 4지명에서 3지명으로, 정관장의 박상진은 지난 시즌 4지명에서 2지명으로 지명순번이 올라간 상태로 지난 시즌 소속팀의 지명을 다시 받게 됐다.
- 외국인 선수의 경우 가장 먼저 9월 18일 열린 1차 선수선발식에서는 세 팀이 외국인 선수 영입 사실을 발표했다. 먼저 마한의 심장 영암은 다시 한 번 대만의 쉬하오훙과 함께하게 되었다. 쉬하오훙은 KB리그 4년차 시즌을 맞이한다. 이어서 고려아연도 중국의 랴오위안허와 세 시즌 연속 같이 함께한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새로 외국인 선수를 영입한 팀으로 한옥마을 전주가 2025년 9월 현재 중국랭킹 3위이자 제23회 LG배 우승 경력이 있는 양딩신을 외국인 선수로 영입했다. 양딩신은 KB바둑리그 데뷔 시즌을 맞이한다. 아직 이번 시즌 외국인 선수 영입 여부가 정해지지 않은 팀들은 2차 선수선발식 또는 리그 개막 전까지 영입이 가능하다.
4.2. 대진 순번
- 대진 순번은 1차 선발식에서 추첨을 진행했으며 전반기는 대진 순번대로 진행하고, 후반기는 그의 역순으로 경기 일정이 정해진다.
- 2023-24시즌 부터 도입 중인 대진 순번에 따른 흑백 자동배정에 따라서 전반기는 대진순번이 빠른 팀들이 1,3, 5국에서 흑을 잡고, 느린 팀들이 2, 4국에서 흑을 잡게 된다. 후반기는 반대로 빠른 팀들이 1, 3, 5국에서 백을 잡고, 느린 팀들이 2, 4국에서 백을 잡게 된다.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45045><tablebgcolor=#fff,#1f2023><bgcolor=#545045>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대진 순번 ||
1 | 2 | 3 | 4 |
| | | |
정관장 | GS칼텍스 | 한옥마을 전주 | 원익 |
5 | 6 | 7 | 8 |
| | | |
고려아연 | 마한의 심장 영암 | 영림프라임창호 | 수려한 합천 |
5. 시작하기 전에
- 이번 시즌은 추춘제로 바뀌고 첫 시즌이었던 2019-20시즌[12] 이후 두 번째로 빠른 시기에 개막하는 리그로 9월 18일 1차 선수 선발식 후 선발전과 2차 선발식을 거쳐 팀 구성을 완료한 뒤 10월 23일에 정규리그 일정을 시작하게 된다. 개막 미디어 데이는 개막 하루 전인 10월 22일 엘리아나 호텔에서 열릴 예정이다.
5.1. 리그 진행 방식
- 이번 시즌도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8개팀 14라운드 더블 풀리그로 정규리그를 진행해 상위 4개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며, 최종 14라운드는 통합라운드로 진행된다. 포스트시즌도 역시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준플레이오프가 경기당 5전 3선승제, 2번기로 정규리그 3위팀에게 1승의 어드벤티지를 준 가운데 실시하고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정전은 경기당 5전 3선승제, 3번기로 실시한다.
-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전 경기 초속기로 시행되는 대국 규정은 종전 각자 1분 + 착수시 10초 추가 피셔방식에서 각자 기본시간 1분 + 착수시 15초 추가 피셔방식으로 변경됐다. 이는 지난 시즌 10초 피셔로 인해 시간패나 착수 관련 위반 사항이 속출되는 상황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매수 착수시 주어지는 추가 시간을 종전 10초에서 15초로 조정했다.
-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정규시즌과 포스트시즌 모두 경기 방식은 전 경기 5전 3선승제 개별 순차 대국으로로 경기가 진행된다. 이에 따라 매 대국 오더제가 이번 시즌에도 전면 시행된다. 정규리그는 라운드마다 1국 출전 선수만 오더 공개일인 월요일에 먼저 공개 한 뒤 2국부터는 현장에서 직접 기용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2국 부터는 매 대국 종료 후 5분 이내에 다음 출전 선수 오더를 제출한다. (포스트시즌은 경기 당일에 1국 출전 선수를 먼저 공개한다.)
- 이번 시즌도 역시 순위 결정 기준은 팀 승률 → 개인 승패차[13] → 승자승 → 동일 팀 간의 개인 승패차 → 상위 지명자 다승 순 으로 따지게 된다.
5.2. 바둑리그 선발전(5지명)
- 이번 선발전은 9월 21일 부터 26일까지 총 3차에 걸쳐 실시하며, 이번 시즌에는 8명을 선발하게 된다. 선발된 8명은 10월 2일에 열리는 2차 선수 선발식에서 각 팀의 5지명으로 이번 시즌을 뛰게 된다. 선발전 대국 규정은 이번 시즌 대국 규정(각자 1분 + 착수시 15초 추가 피셔방식)과 같다.
- 각 조별 첫 번째 통과자는 2승, 두 번째 통과자는 2승 1패 통과자
- 1차 선발전은 9월 21일(오전 10시, 오후 2시)~22일(오전 10시)까지 조별 더블엘리미네이션으로 진행한다. 1차 선발전에서는 146명의 선수가 출전하여 4인조 35개조, 3인조 2개조로 총 37개 조로 편성되어 각조 1,2위 총 74명이 2차 선발전에 진출한다. 선발전 참가자들 중 랭킹 상위 4인인 윤준상, 홍무진, 강유택, 박영훈은 랭킹 시드로 2차 선발전부터 참가한다. 1차 선발전 대진표 및 결과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1차 선발전 통과자 <rowcolor=#545045> 1조 2조 3조 4조 5조 최민서(男)
김영광김하윤
김시황이춘규
송민혁이성재
스미레이현준
이정은<rowcolor=#545045> 6조 7조 8조 9조 10조 최원용
김현찬김다빈
김상천이현호
허진조완규
한태희박정근
강경현<rowcolor=#545045> 11조 12조 13조 14조 15조 김누리
강재우백찬희
전유진정서준
김창훈김채영
유신성윤현빈
유창주<rowcolor=#545045> 16조 17조 18조 19조 20조 이민석
이원도김동한
양우석김기원
장건현오유진
박동주박소율
허영락<rowcolor=#545045> 21조 22조 23조 24조 25조 최기훈
원제훈한주영
김범서김승구
박진영김상윤
박재근금지우
조승아<rowcolor=#545045> 26조 27조 28조 29조 30조 김세현
강지훈곽원근
조상연유재호
김형우이승준
김경은이주형
고미소<rowcolor=#545045> 31조 32조 33조 34조 35조 김주아
김은선오병우
임의현김승재
주치홍신재원
김정현(小)김기범
김선기<rowcolor=#545045> 36조 37조 최현재
김강민윤서원
최광호 - 2차 선발전은 9월 22일(오후 3시)~9월 23일(오전 10시, 오후 2시)까지 1차 선발전과 마찬가지로 조별 더블엘리미네이션으로 진행하며, 2차 선발전에서는 1차 선발전 통과자 74명과 2차 선발전 랭킹시드 4명(윤준상, 홍무진, 강유택, 박영훈)을 포함해 총 78명의 선수가 출전하며 4인조 18개조, 3인조 2개조로 각조 1,2위 총 40명이 3차 선발전에 진출한다. 2차 선발전 대진표 및 결과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2차 선발전 통과자 <colbgcolor=#ffbc00><colcolor=#545045> 1조 이민석, 박영훈 <colbgcolor=#ffbc00><colcolor=#545045> 2조 박진영, 최민서(男) 3조 강지훈, 김창훈 4조 오병우, 한주영 5조 이현호, 곽원근 6조 조완규, 조승아 7조 최광호, 주치홍 8조 이춘규, 최원용 9조 원제훈, 윤준상 10조 허영락, 김정현(小) 11조 박정근, 이원도 12조 김형우, 김범서 13조 한태희, 조상연 14조 김하윤, 정서준 15조 김동한, 스미레 16조 김채영, 금지우 17조 오유진, 이성재 18조 김승재, 강유택 19조 김현찬, 최기훈 20조 이승준, 김승구
- 3차 선발전은 9월 25일(오전 10시, 오후 2시)~9월 26일(오전 10시)까지 2차 선발전 통과자 40명이 각 조별 5명씩 토너먼트를 진행한다. 각 조별 통과자들이 이번 시즌 5지명으로 뛰게 될 선발전 최종 통과자 8명이 되어 10월 2일 열리는 2차 선발식에서 이번 시즌 각자의 소속팀을 찾아가게 된다. 3차 선발전 대진표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선발전 최종 통과자 (바둑리그 선발 확정) 조 통과 선수 → 2차 선발식 지명팀 <colbgcolor=#ffbc00><colcolor=#545045> 1조 김형우 → 팀명 2조 오병우 → 팀명 3조 강지훈 → 팀명 4조 강유택 → 팀명 5조 최광호 → 팀명 6조 김승재 → 팀명 7조 최민서(男) → 팀명 8조 한태희 → 팀명
- 선발전 최종 결과 8조에서 지난 시즌 정관장의 5지명이었던 한태희가 이번에도 선발전을 통과해 3년 연속 선발전 통과에 성공했으며, 4조에서는 바둑리그 역사상 최다 우승 기록의 주인공인 강유택이 선발전을 통과해 2022-23시즌 '포스코퓨처엠'의 4지명 이후 세 시즌 만에 바둑리그로 복귀하게 됐다. 1조의 김형우도 2022-23시즌 '컴투스 타이젬'의 5지명 이후 세 시즌만에 복귀하며, 6조의 김승재 역시 2023-2024시즌 'KIXX'의 3지명 이후 두 시즌만에 복귀 시즌을 보낸다. 2020-2021시즌 '포스코케미칼'의 5지명이자 퓨처스리거로도 간간히 이름을 보이던 5조의 최광호도 바둑리거로서 다섯 시즌 만이자 통산 두 번째 시즌을 맞이하며, 2조에서는 각각 2022-23시즌 '컴투스 타이젬'의 퓨처스리거였던 오병우가, 3조에서는 2021-22시즌 'KIXX'의 퓨처스리거로 바둑리그에도 종종 등판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던 강지훈이 선발전을 통과해 정식 바둑리거로서는 데뷔 시즌을 맞이한다. 7조에서는 2007년생 신예 최민서(男)가 선발전을 통과해 마찬가지로 바둑리그 데뷔 시즌을 맞이하며, 김은지(원익)와 더불어 이번 시즌 최연소 바둑리거가 됐다.
6. 대회 진행
6.1. 전체 경기 일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white,#1c1d1f> | 한국바둑리그 2025-26 시즌 경기 일람 | }}} | ||
1~7라운드 | 8~14라운드 | 포스트시즌 |
6.2. 정규리그
- 전적표의 팀 배치는 대진순번에 따른 배치이다.
6.2.1. 정규리그 순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white,#1c1d1f> |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정규리그 순위 | }}} | ||||||
<rowcolor=white> 순위 | <colcolor=#fff,#fff> 팀 | 경기 | 승률 | 승 - 패 | 개인승패차 | 비고 | |||
- | 영림프라임창호 | - | .000 | 0-0 | +0 (0-0) | ||||
- | 마한의 심장 영암 | - | .000 | 0-0 | +0 (0-0) | ||||
- | 원익 | - | .000 | 0-0 | +0 (0-0) | ||||
- | 수려한 합천 | - | .000 | 0-0 | +0 (0-0) | ||||
- | GS칼텍스 | - | .000 | 0-0 | +0 (0-0) | ||||
- | 정관장 | - | .000 | 0-0 | +0 (0-0) | ||||
- | 고려아연 | - | .000 | 0-0 | +0 (0-0) | ||||
- | 한옥마을 전주 | - | .000 | 0-0 | +0 (0-0) | ||||
■: 챔피언결정전 진출, ■: PO 진출, ■: 준PO 진출, ■: 포스트시즌 진출실패 |
- 순위 결정 기준 : 팀 승률 → 개인 승패차 → 승자승 → 동일 팀 간의 개인 승패차 → 상위 지명자 다승 순
6.2.2. 전반기 전적표
전반기 (1라운드 ~ 7라운드) | ||||||||
VS | <rowcolor=#fff,#fff> 정관장 | GS칼텍스 | 전주 | 원익 | 고려아연 | 영암 | 영림 | 합천 |
<colcolor=#fff,#fff> 정관장 | -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GS칼텍스 | 0:0 승/패 | -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전주 | 0:0 승/패 | 0:0 승/패 | -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원익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고려아연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영암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 | 0:0 승/패 | 0:0 승/패 |
영림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 | 0:0 승/패 |
합천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 |
6.2.3. 후반기 전적표
후반기 (8라운드 ~ 14라운드) | ||||||||
VS | <rowcolor=#fff,#fff> 정관장 | GS칼텍스 | 전주 | 원익 | 고려아연 | 영암 | 영림 | 합천 |
<colcolor=#fff,#fff> 정관장 | -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GS칼텍스 | 0:0 승/패 | -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전주 | 0:0 승/패 | 0:0 승/패 | -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원익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고려아연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영암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 | 0:0 승/패 | 0:0 승/패 |
영림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 | 0:0 승/패 |
합천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0:0 승/패 | - |
6.3. 포스트시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 bordercolor=white,#1c1d1f> |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포스트시즌 대진표 | }}} | |||||
<rowcolor=#fff> 팀 | 준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 | 챔피언결정전 | |||||
| - 0승 0패 / +0 | <colbgcolor=#BCBFCD,#505050> 1위 | → | 챔피언결정전 - / - ~ - 1차전 0:0 - 승2차전 0:0 - 승3차전 0:0 - 승 | ||||
| - 0승 0패 / +0 | 2위 | → | 플레이오프 - / - ~ - 1차전 0:0 - 승2차전 0:0 - 승3차전 0:0 - 승 | ||||
| - 0승 0패 / +0 | 3위 | 준플레이오프 - / - ~ - 1차전 0:0 - 승2차전 0:0 - 승 | |||||
| - 0승 0패 / +0 | 4위 |
7. 대회 결과
2025-2026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우승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 ( - ) | }}} |
7.1. 개인상
<rowcolor=#fff> 시상 부문 | 상금 | 수상자 | 시즌 성적 |
<colbgcolor=#545045><colcolor=#fff> MVP[14] | ₩10,000,000 | 선수명 (소속팀) | 정규시즌 : -승 -패 PS : -승 -패 |
신인왕[15] | ₩3,000,000 | 선수명 (소속팀) | -경기 -승 -패 |
다승왕[16] | ₩5,000,000 | 선수명 (소속팀) | 시즌 -승 -패 |
감독상 | ₩30,000,000[17] | 감독명 (소속팀) | 시즌 우승 |
7.2. 최종 순위
<colcolor=#fff> 순위 | 팀 | 상금 | |
우승 | | - | ₩250,000,000 |
준우승 | | - | ₩100,000,000 |
3위 | | - | ₩60,000,000 |
4위 | | - | ₩30,000,000 |
포스트시즌 탈락팀 | |||
5위 | | - | - |
6위 | | - | |
7위 | | - | |
8위 | | - |
8. 여담
[1] 더메리든 오픈 16강 3경기 중계 도중 유튜브 채팅창에 들어와 해설 참여를 밝히셨다.[2] 2~3지명은 처음의 역순[3] 5지명은 처음의 역순[4] 팀 배치는 1~3지명 드래프트 순번 순[5] 박정환, 이지현 보호 연한 마지막 시즌[6] 신민준과 변상일은 신진서 다음으로 전체 2~3번 지명으로 주장으로 뽑힐 것이 유력시 된다.[7] 1~3지명 드래프트 순번 선택을 위한 순서 추첨 결과 영암, 전주, GS, 합천, 정관장, 고려아연 순으로 드래프트 순번을 선택했다. 순번 선택 결과 영암이 주저 없이 1번을 선택했고, 이어서 전주가 2번을 골랐다. 그리고 GS는 8번을 선택했다. 뒤이어 합천은 3번, 정관장이 7번, 마지막 순서였던 고려아연은 6번을 골라 남아있던 4번과 5번은 영림과 원익이 추첨을 통해 원익이 4번, 영림은 5번으로 자동 지정됐다.[8] GS칼텍스의 김영환 감독은 순서추첨 결과 3번이 나와 세 번째로 고를 수 있는 권한이 있었는데 3번으로 갔다면 변상일이나 신민준을 픽할 수도 있었으나 2~3지명을 가장 먼저 뽑을 수 있는 8번을 노타임으로 선택했다.[9] 김명훈은 2021-22 시즌 이후 네 시즌 만에 정관장팀에 복귀해 최명훈 감독과 다시 재회했다.[10] 당시에는 국내 선수도 후보 선수로 지명이 가능했다.[11] 참고로 송규상 선수는 선발식 당일에 타이젬바둑 유튜브에서 소통 겸 지도대국 라이브를 진행 중이었는데 중간에 바둑리그 선발식도 중계하던 중 자신의 지명 소식을 보게 되었다.[12] 당시 2019년 8월 8일에 선수 선발식 후 9월 26일에 정규리그에 들어갔었다.[13] '개인 승수 - 개인 패수'로 계산한다. e스포츠 리그에서 순위 결정 시 타이브레이커로 사용 중인 '세트 득실차(승리 세트수 - 패배 세트수)'와 동일하다.[14] 챔피언 결정전 출전팀 선수중 최소 10대국이상 참여한 선수중 정규시즌 및 포스트 시즌 합산승률 60%이상인 선수를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와 기자단 투표를 통해 선정[15] 참가 1년차 선수중 최소 6대국 이상 참여한 선수중 정규시즌 승률 30%이상인 선수를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와 기자단 투표를 통해 선정, 단 단독 후보가 대국,승률 기준에 미달시 기자단 투표로 선정 여부를 결정[16] 정규 시즌 승리수가 가장 많은 기사를 선발, 같은 승수인 기사가 여러명 일 경우 상금을 똑같이 나눠받는다.[17] 감독상금은 우승팀 감독에게 3천만원, 준우승 감독은 2천만원, 3위 1천3백만원, 4위는 1천만원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