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실업야구연맹 초대 8구단 | |||
금융조합연합회 야구단 | 조선운수 야구단 | 조흥은행 야구단 | 경성전기 야구단 |
남선전기 야구단 | 조선전업 야구단 | 삼국석탄 야구단 | 중앙실업 야구단 |
| |
1989년 5월 대구시장기배 우승 당시 권백행 감독을 헹가래를 하고 있다.[1] |
<colbgcolor=#a83030><colcolor=#ffffff><nopad> | |
한국전력 야구단 | |
KEPCO Baseball Club | |
모기업 | 한국전력공사 |
창단 | 1946년([age(1946-01-01)]주년) |
등록 포기 | 2003년([age(2003-01-01)]주년) |
구단명 변천 | 남선전기 야구단 (1946~1961) 한국전력 야구단 (1962~2003) |
1. 개요
한국실업야구에서 활약했던 야구단. 모기업은 한국전력공사였으며 당시 기사나 잡지 등에서는 한전 야구단이라고 불렀다. 현재는 사내 사회인 야구단만이 남아있다. | |
남전 야구단 유니폼 |
전신은
남선전기 야구단이 4.19 혁명의 여파로 1961년 해체된 이후[4] 한국전력공사의 전신인 남선전기, 전업전기, 경성전기가 이전에 운영하던 전업 야구단, 경성전기 야구단[5], 남선전기 야구단의 3개 팀을 합쳐서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듬해인 1962년, 본사가 한국전력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한국전력 야구단으로 구단명이 변경되었다.
김명성, 박영길, 황성록, 강태정 등 당시 국가대표로도 참가했던 쟁쟁한 선수들이 버티고 있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 실업 야구에서 연고지가 도입되자 강원도를 광역 연고로 삼고 활동했으며 실업 야구의 맥이 끊기는 2002년 마지막 대회 종료 후 제일유리 야구단과 함께 단 두 개만 남게 되자 두 팀이 같이 실업 리그 등록을 포기하여 2003년 2월부로 공식 해체하게 된다. 이후 사내 사회인 야구단으로 남아서 활동 중이다.
“한전야구단 마지막 감독 권백행”사라지는 실업야구, 그 끝에 있는 백재우 플레잉 코치[6]
2. 역대 엠블럼
남선전기한국전력공사 (1961~1986)
한국전력공사 (1986~ )
3. 유니폼
|
1955년 남전 야구단 유니폼 |
|
1950년대 말, 대구운동장 더그아웃 앞에서 포즈를 취한 남전 야구부. 뒷줄 왼쪽에서 세 번째가 박영길 |
| |
1968년 당시 유니폼 | 1977년 당시 유니폼 |
|
1979년 |
|
1995년 |
4. 출신 선수
- 강태정
- 김용운
- 어우홍
- 김동엽
- 박영길
- 김응용(1960 ~ 1961/남선전기 야구단 소속)
- 유백만
- 김명성
- 최동원(1982) - 아마추어가 참가하는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하기 위해서 이적했다. 소속 팀 롯데 자이언트가 프로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대회 끝나고 프로로 전향하면서 다시 롯데에 입단했다. 이는 장효조, 김재박 등도 마찬가지다.
- 임호균
- 유두열
- 이철성(1981)
- 인호봉
- 김용달
- 황태환
- 백재우 - 전주고-원광대 출신 타자로, 해태 타이거즈의 지명을 받았으나 입단하지 않고 한국전력에 입단해 상무 복무 기간을 제외하고 줄곧 팀에 몸담으면서 실업 야구의 마지막 해인 2002년까지 뛰었다.
5.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남)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여) | |
| | | |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 한국전력 럭비단 | 한국전력 육상단 |
[1] 경기장은 구덕 야구장이다.[2]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지만 남선전기는 부산에 본사를 둔 적이 없다. 부산에 있는 구 남선전기 본사사옥은 1936년 남선합동전기 합병시 참여했던 조선와사전기의 본사건물이었으며, 합병 후 남선합동전기 부산지점 건물이 되었다. 당시 합병했던 6개의 회사중 존속법인은 대구에 있던 대흥전기(대구전기(1911)+함흥전기)였다. 합병과정에서 대구와 부산이 서로 본사유치를 하려고 경쟁하다가 과열되어 총독부 체신국에 일임되어 결국 서울 종로에 본사가 세워졌고 회장은 조선와사전기 사장이던 카시이 켄타로(香椎源太郞)가 되었으나 사장은 대흥전기 사장이던 오구라 다케노스케(小倉武之助)가 되었고 지분도 오구라쪽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오구라 컬렉션의 그 사람. 그러므로 남선지역(영,호남,충청)의 전기사업을 관장했지만 본사는 서울특별시[3] 줄여서 "남전"(南電) 야구단[4] 남선전기는 동년 경성전기, 조선전업과 통폐합된다.[5] 경전(京電) 야구단. 경전 구락부라고 불렀다.[6] 백재우는 전주고 출신으로, 고향 구단 해태의 러브콜을 뿌리치고 실업 야구에 남아 실업 야구의 마지막을 지켜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