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1 18:46:17

할레 연방의회선거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파일:독일 연방의회 로고.svg
선거구 제71구
Wahlkreis 71: Halle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224,552명 (2025)
상위 주 작센안할트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할레시 전체, 잘레크라이스 군 일부[1.1], 안할트-비터펠트 군 일부[1.2]
연방의원 - -


1. 개요

독일 작센안할트 주의 연방하원 선거구. 작센안할트의 주 제2의 도시 할레가 포함된 지역구이다. 2021년 제20대까지는 선거구 번호 72번이었으나, 2025년 제21대부터 71번으로 변경되었다.

전통적으로는 작센안할트에서 가장 범좌파의 세가 강하고 극우의 색이 옅은 지역구였다. 2021년 제20대까지는 거의 기민련, 사민당의 팽팽한 대결이었고, 좌파당도 만만치 않은 기반을 갖고 있었다. 이때까지는 AfD가 지배하는 지역구는 아니었다.

그러나 2025년 제21대AfD 열풍에 이 지역구도 무사하지 못하여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AfD가 1위를 차지하고야 만다. 지역구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다른 정당들을 6% 이상 앞섰고, 비례대표에서는 다른 정당을 8% 이상 앞서는 완승이었다. 하지만 제21대에 새로 도입된 선거법에 따라 지역구 1위 후보 알렉산더 라우에(AfD)는 비례대표 득표율이 충분치 못하여 당선되지 못하고 지역구는 공석이 된다.

기민련, 사민당, 좌파당이 그 뒤를 이으며 선전했지만, 녹색당은 참패했다.

2. 역대 의원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작센안할트 주장.svg 작센-안할트 제21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66구 67구 68구 69구 70구
토마스 코렐 얀 벤첼 슈미트 크리스티나 바움 클라우디아 바이스 폴커 쇼이렐
71구 72구 73구
- 마르틴 라이하르트 카이-우베 치글러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제프 뮐러 디터 슈티어 안나 아이켄스 티노 조르게
비례 1
슈테피 렘케
비례 1 비례 2
야니나 뵈트거 다비트 슐리징
비례 1 비례 2
마르틴 크뢰버 프란치스카 케르스텐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
<rowcolor=#000> 할레
할레시 전체, 잘레크라이스 군 일부[1.1], 안할트-비터펠트 군 일부[1.2]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알렉산더 라우에 52,541 30.6% 1위 49,342 28.6% 1위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로고(1972-2023).svg 크리스토프 베른슈틸 38,174 22.3% 2위 31,132 18.1% 2위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에릭 아이겐도르프 30,796 18.0% 3위 20,794 12.1% 4위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야니나 뵈트거 27,802 16.2% 4위 26,437 15.3% 3위


비례 당선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얀 잘리스 9,364 5.5% 5위 15,179 8.8% 6위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야나 마르크 5,045 2.9% 6위 6,059 3.0% 7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팔코 카치미르츠 2,866 1.7% 7위 1,616 0.9% 10위


크리스토퍼 페켈 2,806 1.6% 8위 1,753 1.0% 8위


마르틴 슈뢰더 1,589 0.9% 9위 557 0.3% 11위
'''
독일 연합
'''
아드리안 마우존 496 0.3% 10위 192 0.1% 12위
'''
MLPD
'''
- - - - 17,545 10.2% 5위


- - - - 1,660 1.0% 9위
'''
Volt
'''
유효표 171,479 171,266
무효표 2,108 1,321
총 투표수 173,587 173,587
투표율 77.3% 77.3%
결과 -


획득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작센안할트 주장.svg 작센-안할트 제20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66구 67구 68구 69구 70구
헤르베르트 볼만 프란치스카 케르스텐 하이케 브레머 마르틴 크뢰버 젭 뮐러
71구 72구 73구 74구
카이-우베 치글러 카람바 디아비 디터 슈티어 로베르트 파를레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마르틴 라이하트 얀 슈미트 티노 조르게 마르쿠스 파버 잉고 보트케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슈테피 렘케 얀 코르테 페트라 지테 카트린 부데 }}}
}}}}}}
<rowcolor=#000> 할레
할레시 전체, 잘레크라이스 군 일부[1.1], 안할트-비터펠트 군 일부[1.2]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카람바 디아비 42,335 28.8% 1위 34,686 23.6% 1위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로고(1972-2023).svg 크리스토프 베른슈틸 30,499 20.7% 2위 26,282 17.9% 2위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알렉산더 라우에 22,517 15.3% 3위 21,914 14.9% 3위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페트라 지테 19,247 13.1% 4위 17,180 11.7% 5위


비례 당선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이네스 브로크 12,521 8.5% 5위 19,915 13.5% 4위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야나 마르크 11,867 8.1% 6위 15,150 10.3% 6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안드레아 멩케 3,129 2.1% 7위 2,349 1.6% 7위


야콥 브란트 2,335 1.6% 8위 1,611 1.1% 10위


슈테판 콘 2,222 1.5% 9위 1,988 1.4% 8위
'''
dieBasis
'''
아드리안 마우존 399 0.3% 10위 199 0.1% 17위
'''
MLPD
'''
- - - - 1,830 1.2% 9위
'''
동물보호당
'''
- - - - 1,455 1.0% 11위
'''
동물보호동맹
'''
- - - - 697 0.5% 12위
'''
Gartenpartei
'''
- - - - 678 0.5% 13위


- - - - 371 0.3% 14위
'''
Volt
'''
- - - - 283 0.2% 15위
'''
Die Humanisten
'''
- - - - 254 0.2% 16위
'''
NPD
'''
- - - - 197 0.1% 18위
'''
ÖDP
'''
- - - - 185 0.1% 19위
'''
du.
'''
유효표 147,071 147,224
무효표 1,505 1,352
총 투표수 148,576 148,576
투표율 70.8% 70.8%
결과


획득



획득


[1.1] 카벨스케탈, 란츠베르크, 페터스베르크[1.2] 잔더스도르프-브레나, 최르비히[1.1] [1.2]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