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독일연방공화국 제10대 환경/자연보호/핵안전/소비자보호부장관 슈테피 렘케 Steffi Lemke | |||
파일:Steffi_Lemke_2024.jpg | |||
출생 | 1968년 1월 19일 ([age(1968-01-19)]세) | ||
동독 작센안할트주 데사우 | |||
재임기간 | 제10대 환경/자연보호/핵안전/소비자보호부장관 | ||
2021년 11월 25일 ~ 2025년 5월 6일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707070><colcolor=#fff> 국적 | ||
학력 |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농업학(축산 전공) / 학,석사) | ||
종교 | - | ||
소속 정당 | |||
의원 선수 | 6 (하원) | ||
의원 대수 | 13, 14, 18, 19, 20, 21 | ||
지역구 | 작센안할트 비례대표[1] | }}}}}}}}} |
1. 개요
독일 녹색당의 정치인으로, 2021년부터 2025년까지 환경/자연보호/핵안전/소비자보호부 장관을 역임했었다.녹색당 내 좌파의 대표적 정치인들 중 한명이며, 환경부 장관 재직 시에는 내각에서 유일한 동독 출신 장관이었다.
2. 생애
1968년 1월 19일 작센안할트주 데사우에서 태어나고 성장했다.1988년에서 1993년까지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농업학(축산 전공) 학,석사(Diplom) 과정을 마친다.
3. 활동
1989년 독일 통일 직전의 정치적 격변기 때부터 이미 동독 지역의 녹색당 창당 멤버였다. 자연스럽게 통일 이후 동서독 통일 녹색당에서도 끊임없이 활동한다.1993년부터 1994년까지 작센안할트 녹색당 조직 간부로 활동한다.
1994년 제13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데사우 - 비터펠트 지역구에 나서서 낙선하지만 작센안할트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첫 의회 입성에 성공하고, 농업 위원회(Agraraussschuss) 소속으로 활동한다.
1998년 제14대에도 비례대표로 2선에 성공한다. 이때에는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가 이끄는 적록연정이 출범하여 처음으로 여당 의원 역할을 하는데, 렘케는 녹색당 원내 사무장(Parlamentarischer Geschäftsführer)의 중책을 맡는다.
200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에 독일군 파병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한 8인의 정치인 중 한명이었다. 이들의 반란에 분노한 슈뢰더 총리가 파병안 표결 통과를 자신의 신임안과 연결시키겠는 협박을 하는 바람에 결국 렘케는 결정을 바꾸어 찬성표를 던진다. 렘케는 적녹연정이 깨지는걸 막기 위해 어쩔수 없었다고 항변한다.
2002년부터 2013년까지는 의원직을 맡지 않는 대신에 녹색당 사무총장(Politische Geschäftsführerin)을 맡는다.
2013년에 다시 연방정치 무대로 돌아와서 제18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안할트·데사우·비텐베르크 지역구에 도전하여 5위로 낙선하지만 작센안할트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3선에 성공한다. 이때부터는 환경, 자연보호, 건설, 원자로안전 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한다. 2013년부터 2021년까지는 녹색당 원내 사무장단 4명 중의 1명으로 활동한다.
2017년 제19대에서 같은 선거구에 나서서 지역구 5위로 낙선하지만 비례대표로 4선에 성공한다.
2021년 제20대에서 같은 선거구에 나서서 지역구 5위로 낙선하지만 비례대표로 5선에 성공한다.
2021년 11월 25일 숄츠 내각의 환경/자연보호/핵안전/소비자보호부장관으로 임명된다. 내각에서 유일한 동독 출신 장관이었다.
2022년 5월에는 자민당 대표 크리스티안 린트너가 갑자기 핵발전소 운영연한 연장 논쟁에 불을 붙이는데, 독일의 핵발전소는 이미 2010년대 초부터 2022년 말에 전면 운영 중지하기로 결정났던 사안인 만큼 불합리한 주장이었다. 이에 대해 렘케는 핵발전소 운영연한 논쟁은 없다고 거부한다. 결국 2022년 10월에 올라프 숄츠 총리의 3개월 연장 중재안이 통과되어 2023년 4월에 모든 핵발전소 운영이 중단된다.
2025년 제21대에서 같은 선거구에 나서서 지역구 5위로 낙선하지만 비례대표로 6선에 성공한다.
2025년 5월에 숄츠 내각이 끝남과 동시에 환경부 장관직에서 물러난다.
4. 정책
- 환경보호, 동물보호, 농업보호, 무분별한 어업 반대 등에서 강력한 목소리를 낸다.
-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은 무한정 자원을 소모하는 글로벌 자본주의의 속성에 있다고 주장한다.
- 녹색당 기본 입장과 마찬가지로 단거리 비행 금지, 대중교통 및 친환경 교통수단 인프라 구축 및 투자, 화석연료 자동차 허가폐지, 석탄 광업 중단, 핵발전소 중단 등을 주장한다.
5. 여담
- 이혼했고, 자녀가 한명 있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66구 | 67구 | 68구 | 69구 | 70구 |
헤르베르트 볼만 | 프란치스카 케르스텐 | 하이케 브레머 | 마르틴 크뢰버 | 젭 뮐러 | |
71구 | 72구 | 73구 | 74구 | ||
카이-우베 치글러 | 카람바 디아비 | 디터 슈티어 | 로베르트 파를레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마르틴 라이하트 | 얀 슈미트 | 티노 조르게 | 마르쿠스 파버 | 잉고 보트케 | |
비례 6 | 비례 7 | 비례 8 | 비례 9 | ||
슈테피 렘케 | 얀 코르테 | 페트라 지테 | 카트린 부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66구 | 67구 | 68구 | 69구 | 70구 |
토마스 코렐 | 얀 벤첼 슈미트 | 크리스티나 바움 | 클라우디아 바이스 | 폴커 쇼이렐 | |
71구 | 72구 | 73구 | |||
- | 마르틴 라이하르트 | 카이-우베 치글러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
제프 뮐러 | 디터 슈티어 | 안나 아이켄스 | 티노 조르게 | ||
비례 1 | |||||
슈테피 렘케 | |||||
비례 1 | 비례 2 | ||||
야니나 뵈트거 | 다비트 슐리징 | ||||
비례 1 | 비례 2 | ||||
마르틴 크뢰버 | 프란치스카 케르스텐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1] 13~14대까지는 작센안할트 데사우 - 비터펠트 지역구에, 18~21대까지는 안할트·데사우·비텐베르크 지역구에 꾸준히 도전했으나 지역구에 당선된 적은 없고, 대신에 전부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