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海行摠載. 조선 영조 대의 문신인 홍계희가 고려 말부터 조선 후기까지 사신이나 포로 및 표류 등의 이유로 일본 지역을 다녀온 사람들의 사행록(기행문)들을 모은 책. 총 28책이며,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비록 책에 빠져 있는 사행록도 적지 않으나[1], 통신사 연구나 조일관계 연구에 대단히 중요한 자료로 인정되고 있다.2. 내용
홍계희가 고려 말부터 집필 당시까지 일본에 관련된 사행록들을 수집하여 만들었으며, 이후에 고사십이집, 대악후보, 보만재총서 등으로 유명한 서명응이 61권으로 재정리했다. 다만 상술하였듯이 모든 사행록을 모으지는 못했기 때문에, 이후 재간행될 때 사행록이 추가되는 경우가 있었다.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조선고서간행회 해행총재와 국역 해행총재를 추가한 본의 목록)
번호 | 책명 | 저자 |
1 | 정포은 봉사일본시작(鄭圃隱 奉使日本時作) | 정몽주 |
2 | 봉사시작(奉事時作)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 | 신숙주 |
3 | 해사록(海槎錄) | 김성일 |
4 | 해유록(海游錄) 상·중·하권 | 신유한 |
5 | 간양록(看羊錄) | 강항 |
6 | 해사록(海槎錄) 상·하권 | 경섬 |
7 | 동사상일록(東槎上日錄) | 오윤겸 |
8 | 부상록(扶桑錄) | 이경직 |
9 | 동사록(東槎錄) | 강홍중 |
10 | 병자일본일기(丙子日本日記) | 임광 |
11 | 표주록(漂舟錄) | 이지항 |
12 | 해사록(海槎錄) 상·하권 | 김세렴 |
13 | 사상록(槎上錄) | 김세렴 |
14 | 동사록(東槎錄) | 황호 |
15 | 동사록(東槎錄) | 조경 |
16 | 해상록(海上錄) 상·하권 | 신유 |
17 | 계미동사일기(癸未東槎日記) 상·중권 | 저자 미상[2] |
18 | 부상록(扶桑錄) 상·중권 | 남용익 |
19 | 문견별록(聞見別錄) | 남용익 |
20 | 동사록(東槎錄) | 홍우재 |
21 | 동사일록(東槎日錄) | 김지남 |
22 | 조제곡일기(趙濟谷日記) | 조엄 |
23 | 해사일기(海槎日記) | 조엄 |
24 | 전후사행비고(前後使行備考) | 홍계희 |
25 | 동사록(東槎錄) | 김철우 |
26 | 동사록(東槎錄) | 김현문 |
27 | 해사록(海槎錄) | 홍치중 |
28 | 동사록(東槎錄) | 황선 |
29 | 부상록(扶桑錄) | 정후교 |
30 | 사상기(槎上記) | 남태기 |
31 | 초본사상기(草本槎上記) | 저자미상의 역관 |
32 | 노송당 일본행록(老松堂日本行錄) | 송희경 |
33 | 일본왕환일기(日本往還日記) | 황신 |
34 | 월봉해상록(月峰海上錄) | 정희득 |
35 | 금계일기(錦溪日記) | 노인 |
36 | 동사일기(東槎日記) | 임수간 |
37 | 봉사일본시문견록(奉使日本時聞見錄) | 조명채 |
38 | 동사록(東槎錄) | 유상필 |
39 | 일동기유(日東記游) | 김기수 |
40 | 일사집략(日槎集略) | 이헌영 |
41 | 사화기략(使和記略) | 박영효 |
42 | 동사만록(東槎漫錄) | 박대양 |
3. 세계기록유산 등재
대한민국과 일본은 현재 공동으로 조선 통신사 관련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중이다. 일본 측 48건 209점, 한국 측 63건 124점으로 합계 111건 333점이다.그 중 대표적인 것이 조선국서(일본 도쿄 국립박물관 소장), 통신사등록(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동사일기(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조통 참착귀로 행렬도(일본 고려미술관 소장), 변례집요(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등이다.
이 외에도 증정교린지(增正交隣志), 동문휘고, 통문관지, 해행총재(海行摠載), 해동기(海東記), 청산도유록(淸山島遊錄), 기타 각종 사행록 등의 자료들이 잠정 등재 리스트에 오르락내리락하고 있다.
2017년 10월 31일, 동문휘고, 통신사등록, 해행총재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확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