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터 스트릭랜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 |
2014 | 2019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60번 | ||||
왈디스 호아킨 (2011) | → | <colcolor=#ffffff> 헌터 스트릭랜드 (2014~2018) | → | 트래비스 베르겐 (2019) |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43번 | ||||
애덤 워렌 (2018) | → | 헌터 스트릭랜드 (2019) | → | 아트 워렌 (2019) |
워싱턴 내셔널스 등번호 60번 | ||||
저스틴 밀러 (2018~2019) | → | 헌터 스트릭랜드 (2019) | → | 저스틴 밀러 (2021) |
뉴욕 메츠 등번호 71번 | ||||
라이언 오루크 (2019) | → | 헌터 스트릭랜드 (2020) | → | 아킴 보스틱 (2021) |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60번 | ||||
호비 밀너 (2018~2019) | → | 헌터 스트릭랜드 (2021) | → | 션 파픈 (2021)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60번 | ||||
마이크 마이어스 (2020) | → | <colbgcolor=#003263> 헌터 스트릭랜드 (2021) | → | 앤드류 완츠 (2021~2024) |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43번 | ||||
드루 래스머센 (2020~2021) | → | 헌터 스트릭랜드 (2021) | → | 이선 스몰 (2022~2023) |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54번 | ||||
소니 그레이 (2019~2021) | → | 헌터 스트릭랜드 (2022) | → | 콜린 카우길 (2023~)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61번 | ||||
오스틴 워렌 (2021~2023) | → | 헌터 스트릭랜드 (2024) | → | 결번 |
| |
헌터 드루 스트릭랜드 Hunter Drew Strickland | |
출생 | 1988년 9월 24일 ([age(1988-09-24)]세) |
조지아 주 토마스톤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파이크 카운티 고등학교 |
신체 | 190cm / 102kg |
포지션 | 중간계투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07년 드래프트 18라운드 (전체 564번, BOS) |
소속팀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14~2018) 시애틀 매리너스 (2019) 워싱턴 내셔널스 (2019) 뉴욕 메츠 (2020) 탬파베이 레이스 (2021)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21) 밀워키 브루어스 (2021) 신시내티 레즈 (202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24) |
[clearfix]
1. 개요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2.1.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2.2. 시애틀 매리너스
2.3. 워싱턴 내셔널스
2.4. 뉴욕 메츠
2.5. 탬파베이 레이스
2021년 2월 8일, 탬파베이 레이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 이후 4월 9일 피트 페어뱅크스가 IL에 등재되며 대체자로 콜업되었다. 그런데 콜업되자마자 작년의 스트릭랜드와는 완전 다른 모습으로 13경기 방어율 1.69를 기록했다. 그러자 탬파베이는 스트릭랜드를 트레이드 시장에 내놓았고, 투수가 부족한 에인절스가 현금 트레이드를 통해 냉큼 집어갔다.2.6.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5월 15일, 에인절스로 트레이드되었다. 대가는 현금 또는 추후지명선수.
에인절스에 오자마자 9경기 나와서 방어율이 9.95로 방화범이 되어버렸다. 결국 트레이드된 지 한 달도 안 된 6월 7일에 DFA되었다.
2.7. 밀워키 브루어스
|
6월 12일에 밀워키로 트레이드되었다. 대가는 현금.
그런데 밀워키로 이적해서는 35경기 1.73으로 전혀 딴판의 투수가 되어 활약했다.
2.8. 신시내티 레즈
|
2022년 3월 22일, 신시내티로 이적했다.
2.9.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기
2024 시즌을 앞두고 에인절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은 뒤 4월 8일, 체이스 실세스와 기예르모 수니가가 15일 부상자 명단에 올라 콜업되었다.3. 플레이 스타일
4. 수상 내역
5. 연도별 성적
| |||||||||||||||||
<rowcolor=#fd5d1e>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14 | SF | 9 | 1 | 0 | 1 | 1 | 7 | 0.00 | 5 | 0 | 0 | 0 | 9 | 0.714 | - | 0.2 | 0.3 |
2015 | 55 | 3 | 3 | 0 | 20 | 51⅓ | 2.45 | 34 | 4 | 10 | 2 | 50 | 0.857 | 157 | 0.7 | 1.4 | |
2016 | 72 | 3 | 3 | 3 | 18 | 61 | 3.10 | 50 | 4 | 19 | 2 | 57 | 1.131 | 130 | 0.7 | 1.1 | |
2017 | 68 | 4 | 3 | 1 | 21 | 61⅓ | 2.64 | 59 | 4 | 29 | 2 | 58 | 1.435 | 162 | 0.8 | 1.8 | |
2018 | 49 | 3 | 5 | 14 | 0 | 45⅓ | 3.97 | 43 | 5 | 21 | 1 | 37 | 1.412 | 96 | -0.1 | -0.3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19 | SEA/WSH | 28 | 2 | 1 | 2 | 10 | 24⅓ | 5.55 | 22 | 6 | 8 | 3 | 18 | 1.233 | 84 | -0.4 | -0.1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20 | NYM | 4 | 0 | 1 | 0 | 0 | 3⅓ | 8.10 | 5 | 0 | 1 | 0 | 4 | 1.800 | 58 | 0.1 | -0.1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21 | TB/LAA/MIL | 57 | 3 | 2 | 0 | 4 | 58⅔ | 2.61 | 46 | 8 | 22 | 2 | 58 | 1.159 | 163 | 0.3 | 0.9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22 | CIN | 66 | 3 | 3 | 7 | 4 | 62⅓ | 4.91 | 61 | 8 | 33 | 7 | 60 | 1.508 | 91 | 0.0 | 0.0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2024 | LAA | 72 | 3 | 2 | 1 | 12 | 73⅓ | 3.31 | 56 | 10 | 24 | 2 | 57 | 1.091 | 127 | 0.3 | 1.0 |
MLB 통산 (10시즌) | 480 | 25 | 23 | 29 | 90 | 448 | 3.40 | 381 | 49 | 167 | 21 | 408 | 1.223 | 122 | 2.6 | 5.8 |
6. 기타
- 브라이스 하퍼와 격렬한 난투극을 벌인 일이 유명하다. 2017년 5월 29일 자이언츠의 마무리로 뛰던 당시, 냇츠의 하퍼가 타석에 들어선 8회초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초구로 느닷없이 98마일의 패스트볼이 하퍼의 엉덩이에 꽂혔다. 고의임을 확신한 하퍼는 곧바로 헬멧을 땅에 내던지고, 미리 글러브까지 벗어놓고 기다리고 있었던 스트릭랜드에게 달려들어 서로 얼굴에 펀치를 교환했다. 이어 둘을 말리려는 양팀 선수들이 쏟아져 나오는 벤치클리어링이 벌어졌다. 하퍼와 스트릭랜드는 즉각 퇴장 조치당했고, 이후 각각 4경기와 6경기 출전 금지 징계를 부과받았다. 이에 두 선수 모두 항소해 하퍼는 1경기 줄어들었지만 스트릭랜드의 항소는 기각됐다. 당시 경기 상황은 빈볼이 나올 만큼 분위기가 과열된 것도 아니었고, 즉시 뛰쳐나오지 않고 잠깐 서서 사태 파악을 하던 포지의 반응 등을 볼 때 스트릭랜드가 독단적인 판단으로 벌인 일로 추측되었다. ESPN은 하퍼가 원한을 산 이유에 대해, 3년 전의 디비전 시리즈에서 이루어진 두 선수의 맞대결에서 하퍼가 홈런을 치고는 가만히 서서 잠시간 타구를 감상한 일이 그에게 앙금으로 남았던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을 조심스레 내놓았다. 하퍼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그때 일을 가지고 그러냐며 불만을 표출했고,(이 와중에 엉덩이를 맞춘 매너에 대해서 칭찬 아닌 칭찬도 곁들였다.) 스트릭랜드는 인터뷰에서 몸쪽으로 붙이려다 빠졌다며 오리발을 내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