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15:30:25

헐크/게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헐크 주연 게임들에 대한 내용은 헐크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인크레더블 헐크(1994)3. VS 시리즈4. 인크레더블 헐크: 판데온 사가5. 판타스틱 4(1997)6. 스파이더맨(게임)7. 인크레더블 헐크(2003)8. 인크레더블 헐크: 얼티밋 디스트럭션9. 마블 네메시스10. 마블 얼티밋 얼라이언스11. 어벤져스: 배틀 포 어스12. 마블 어벤저스 얼라이언스13. 마블 히어로즈14. 레고 마블 시리즈15. 마블 퍼즐 퀘스트16.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유니버셜 웨폰17. 마블 컨테스트 오브 챔피언스18. 마블 마이티 히어로즈19. MARVEL 퓨처파이트20. 마블 어벤져스 아카데미21. 마블 스트라이크 포스22. 마블 얼티밋 얼라이언스 3: 블랙 오더23. MARVEL 슈퍼 워24. 마블 듀얼25. 어벤져스26. 마블 퓨처 레볼루션27. 미즈나잇 선즈

1. 개요

헐크가 등장한 게임들에 대한 문서.

2. 인크레더블 헐크(1994)

<colcolor=#fff>
파일:헐크7.jpg

3. VS 시리즈

<colcolor=#fff>
파일:헐크8.jpg
마블 슈퍼 히어로즈에서 첫 출연. 역시 덩치에 걸맞게 콤보 몇 대만 맞아도 피가 쭉쭉 다는 파워 타입의 캐릭터이다. 여기서는 같이 출연한 저거너트가 슈퍼아머를 가지고 있어서 슈퍼아머가 없었지만 저거너트가 짤리고 헐크가 출연한 마블 슈퍼 히어로즈 vs 스트리트 파이터에서는 자기가 대신 슈퍼아머를 장착하고, 이후 시리즈에서 저거너트를 밀어내며 계속 출연.

마블 슈퍼 히어로즈 엔딩에서는 인피니티 건틀릿을 차지한 뒤 그 힘을 통해 자유자재로 헐크로 변신하면서도 본래의 인격과 지성을 잃지 않게 된다.

2D시절때부터 대미지는 쎄지만 덩치도 크고 저거너트 다음으로 느려서 주로 방어위주의 플레이를 해야하는 상급자용 캐릭터로 하도 날라댕기고 공격을 퍼붓는 놈들이 넘쳐나는지라, 방어가 한번 뚫리면 사기캐의 무한콤보지옥을 맛보기에 딱 좋다. 3편에 와선 기동성이 강화되고 서서 L의 리치가 어마어마한지라 무심코 다가간 상대의 허를 잡아낼 수가 있게 되어 예전과는 달리 아예 날아다니는 수준이지만, 누워있는 상대를 잡아낼 수 있는 방법이 감마웨이브 계열이나 어시스트기밖에 없다는게 상당히 치명적. 그래서인지 기본잡기 이후엔 그저 손가락을 빨고있어야 하는 경우가 일상다반사이고 다른 캐릭터없이 헐크 혼자남으면 거의 공개처형이나 다름없다. 반면 비슷한 파워캐 기믹인 마이크 해거는 어떻게든 때려눕히기만 하면 마음껏 추가타가 가능한데다 더블 래리어트[1]라는 신의 축복을 받은 기술이 있어서 밀린다.

헐크를 자주 사용하는 플레이어로는 KaneBlueRiver와 Fooblat, Bum이 있다. 이 중에서 KaneBlueRiver는 헐크/해거/센티널이라는 주먹질의 로망이 넘치는 팀을 사용하여 웬만한 강팀도 원터치 콤보로 로키마냥 때려눕히는 스타일로 매번 우승권 안에 들어가는 실력자이다. 비슷한 성향을 가진 해당 플레이어들끼리 싸우면 이런 땀냄새 넘치는 난타전이 된다. 그리고 KaneBlueRiver가 해당 팀으로 EVO 2015에서 저스틴 웡을 격파한 후 Apology Man, Rayray 같은 극상성 플레이어들마저 쓰러뜨리면서 우승을 거머쥐었다!
최신작인 인피니트에선 LV3 하이퍼 콤보로 변경.

마블 VS 캡콤 3에서 공개된 영상에선 크리스 레드필드와 한 판 붙는다. 헐크가 공격하고 크리스가 요리조리 피해다닌다. 그래도 나중에 친구가 되었는지 엔딩에서는 같이 웨스커를 조지러 가는데 크리스와 질이 그렇게 애를 먹었던 추적자를 한 주먹에 날려버린다. 엔딩의 둘의 대화가 일품이다.

(헐크 대사는 H, 크리스 대사는 C로 표기.)

H "허약한 좀비! 헐크 좀비 싫다!"
*와장창!*

(이 때 배경에 좀비며, 헌터 같은 B.O.W들이 널브러져 있다)

H "멍청한 개구리 생명체! 헐크 개구리 생명체 해친다!"

*와장창! 쨍그랑*
네메시스 - "그오와아아아!"

H "못생긴 남자 누구냐? 헐크 스매쉬 해도 되나?"

C "아, 그놈? 내가 알기로는 네메시스라고 불리는 녀석이다. 꽤 많은 시간을 질을 죽이려고 했지."

H "그렇다면...헐크 부순다!"

C "그녀석에게 꽤 심한걸? 좋아, 인텔에 따르면 웨스커의 연구소는 바로 이 문 너머에 있다."

C "그리고 저기 있군...선글라스에 잘난척 해 보이는 녀석이다. 부디 살살 다뤄주길, 헐크."

H "웨스커는 작다! 웨스커는 약하다! 헐크가 제일 강하다! 헐크, 웨스커를 이긴다!"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의 스토리 모드에선 와 동행하며, 분노를 통제할 수 있게 도움을 받는 등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둘이 콤비로 다렌 모란을 잡기도 하였다.

4. 인크레더블 헐크: 판데온 사가

<colcolor=#fff>
파일:헐크9.jpg

5. 판타스틱 4(1997)

<colcolor=#fff>
파일:헐크10.jpg

6. 스파이더맨(게임)

<colcolor=#fff>
파일:헐크1.png

7. 인크레더블 헐크(2003)

<colcolor=#fff>
파일:헐크11.jpg

8. 인크레더블 헐크: 얼티밋 디스트럭션

<colcolor=#fff>
파일:헐크12.jpg

9. 마블 네메시스

<colcolor=#fff>
파일:헐크13.jpg

10. 마블 얼티밋 얼라이언스

<colcolor=#fff>
파일:헐크14.jpg

11. 어벤져스: 배틀 포 어스

<colcolor=#fff>
파일:헐크2.png

12. 마블 어벤저스 얼라이언스

<colcolor=#fff>
파일:헐크3.png
브루저 캐릭터로 등장하는데 세계대전판과 어벤저스 판 예외도 그레이 헐크판도 있다.

13. 마블 히어로즈

근접전 강캐. 전투중에 오르고 비전투중에 감소하는 열받음(anger) 수치가 있는데 이것이 풀로 차면 '진짜 화남' 상태가 되고 스킬들이 강화된다. 근접 케릭이지만 스킬들 상당수가 무브먼트이거나 광역기라 원거리 적 제압은 그리 어렵지 않다. 소모되는 공격자원이 없어서 그냥 막 눌러대도 기술들이 팍팍 나가 운용이 상당히 쉬운 케릭터에 속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헐크(마블 히어로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레고 마블 시리즈

<colcolor=#fff>
파일:헐크.png

15. 마블 퍼즐 퀘스트

<colcolor=#fff>
파일:헐크15.jpg

16.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유니버셜 웨폰

<colcolor=#fff>
파일:헐크16.jpg

17. 마블 컨테스트 오브 챔피언스

<colcolor=#fff>
파일:헐크17.jpg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

18. 마블 마이티 히어로즈

<colcolor=#fff>
파일:헐크18.jpg

19. MARVEL 퓨처파이트

헐크는 헐크(MARVEL 퓨처파이트) 참조.

20. 마블 어벤져스 아카데미

<colcolor=#fff>
파일:헐크19.jpg

21. 마블 스트라이크 포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헐크(마블 스트라이크 포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마블 얼티밋 얼라이언스 3: 블랙 오더

<colcolor=#fff>
파일:헐크8.png

23. MARVEL 슈퍼 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헐크(MARVEL 슈퍼 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마블 듀얼

<colcolor=#fff>
파일:헐크20.jpg

25. 어벤져스

<colcolor=#fff>
파일:Screenshot_20190824-025000_YouTube Vanced.png
파일:Screenshot_20190824-024811_YouTube Vanced.png
등장 확정. 디자인적인 문제에서 가장 논란이 적은 캐릭터로, 게임플레이도 나쁘지 않다는 평이 우세하다.

26. 마블 퓨처 레볼루션

<colcolor=#fff>
파일:헐크23.jpg

27. 미즈나잇 선즈

<colcolor=#fff>
파일:헐크21.jpg


[1] 그러나 어시스트 기술이 저것일 경우 상대의 움직임을 봉쇄해 헐크의 부족한 기동성을 채워주기 때문에 해거와의 조합은 헐크 유저들이 자주 사용한다.[2] 이로서 한 번 공격이 막혀도 도망갈 수 있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