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3 23:10:36

히든 피겨스

역대 새턴상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액션/모험 영화상
제42회
(2015년)
제43회
(2016년)
제44회
(2017년)
분노의 질주: 더 세븐 히든 피겨스 위대한 쇼맨
<colbgcolor=#ffffff><colcolor=#871b4d> 히든 피겨스 (2016)
Hidden Figures
파일:external/2bde660017bb9373faf10f7f2e65e69b65d506bf4529b5e819c9ecfbdd08537d.jpg
장르 드라마
감독 시어도어 멜피
각본 앨리슨 슈로더
시어도어 멜피
제작 도나 질로티
피터 처닌
제노 토핑
퍼렐 윌리엄스
시어도어 멜피
주연 터라지 P. 헨슨
옥타비아 스펜서
자넬 모네
촬영 맨디 워커
편집 피터 테쉬너
음악 한스 짐머
퍼렐 윌리엄스
벤저민 월피시
제작사 폭스 2000 픽처스
처닌 엔터테인먼트
레반트 필름스
TSG 엔터테인먼트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코리아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코리아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16년 12월 2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3월 23일
상영 시간 126분
상영 타입 2D
제작비 2,500만 달러
마케팅비 6,500만 달러
북미 박스오피스 $169,607,287
월드 박스오피스 $235,956,898
대한민국 총 관객 수 449,518명 (2017년 5월 3일 기준)
스트리밍
[[디즈니+|
Disney+
]]
#!if 링크 != null
[[https://www.disneyplus.com/|▶]]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disneyplus.com/|▶]]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disneyplus.com/|▶]]
#!if 주석2 != null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 12세 이상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 로고.svg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줄거리6. 사운드트랙7. 평가8. 흥행
8.1. 북미
9. 기타

1. 개요

제89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각색상, 여우조연상 후보작. 1962년 미국의 머큐리 계획이 있을 당시 나사(NASA)의 우주임무그룹(Space Task Group, STG)에서 일했던 실화를 바탕으로 쓴 마고 리 셰털리의 책 《히든 피겨스: 미국의 우주 경쟁을 승리로 이끈, 천재 흑인 여성 수학자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이다.

이제는 전자 컴퓨터의 발달로 생소한 인간 컴퓨터인 천재적인 계산원였던 흑인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영화의 원제 Hidden Figures 에서 'figure'는 명사로 여러 뜻이 있는데, 그 중에서 통상 '숫자', '인물'이 맥락적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 이 영화에서 hidden figures는 우주 개발에 기여했으나 인종 차별 속에 헌신한 드러나지 않지 않은 인물알려지지 않는 수치를 그들이 수학적으로 계산한다는 의미를 중의적(double-meaning)으로 담고 있다.

작품성·흥행 모두 성공했고, 아카데미 작품상 후보에 오른 작품 중 북미 국내 흥행이 가장 높은 영화이다. 대한민국에서도 소규모로 개봉한 것에 비해 나쁘지 않은 관객수를 이끌었고, 작품 질에 대한 입소문을 통해서 흥행뒷심을 선보였다.

2. 예고편

1차 공식 예고편 메인 예고편

3. 시놉시스

회의 참여 불가, 화장실 이용 불가, 식당 이용 불가
세상의 편견에 맞선, 정.면.돌.파 그녀들이 온다.
천부적인 수학 능력의 흑인 여성 캐서린 존슨
NASA 흑인 여성들의 리더이자 프로그래머 도로시 본
흑인 여성 최초의 NASA 엔지니어를 꿈꾸는 메리 잭슨
미국러시아의 치열한 우주 개발 경쟁으로 보이지 않는 전쟁이 벌어지고 있던
시절, 천부적인 두뇌와 재능을 가진 그녀들이 NASA 최초의 우주궤도 비행 프로젝트에 선발된다.
하지만, 흑인이라는 이유로 800m 떨어진 유색인종 전용 화장실을 사용해야 하고,
여자라는 이유로 중요한 회의에 참석할 수 없으며,
공용 커피포트조차 용납되지 않는 따가운 시선에 점점 지쳐 간다.
한편, 우주궤도 비행 프로젝트는 난항을 겪게 되고,
해결방법은 오직 하나,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수학 공식을 찾아내는 것뿐인데….
천재성에는 인종이 없고, 강인함에는 남녀가 없으며, 용기에는 한계가 없다!
세계를 놀라게 한 그녀들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4. 등장인물

5. 줄거리

천재적인 수학 능력자 캐서린 존슨, NASA 프로그래머 도로시 본, NASA 엔지니어를 꿈꾸는 메리 잭슨의 공통점은 흑인 여성이라는 사실이다. NASA 최초 우주 궤도 비행 프로젝트에 선발된 세 여성은 흑인이라는 이유로 부당한 차별을 받는다. 한편, 우주 궤도 비행 프로젝트에 차질이 생겼고, 이를 해결할 방법은 프로젝트를 성공시킬 수 있는 새로운 수학공식을 찾아내는 것 뿐이다.

6. 사운드트랙

7.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메타스코어 74 / 100 점수 7.5 / 10 상세 내용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신선도 93% 관객 점수 93%

<nopad> 파일:IMDb 로고.svg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별점 4.0 / 5.0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if code != null
{{{#!if title == null
{{{#!wiki style="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47092|{{{#!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6.75 / 10
관람객
9.37 / 10
네티즌
9.39 / 10
}}}}}}]]}}}}}}{{{#!if title != null
{{{#!wiki style="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6.75 / 10
관람객
9.37 / 10
네티즌
9.39 / 10
}}}}}}]]}}}}}}}}}
#!if code == null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000,#fff 평점 9.37 / 10}}}]]
'''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9.0 / 10

★★★
너무 매끄럽고 기분좋은 나머지, 차별과의 싸움이 쉬워 보이는 착시현상도
- 김혜리

★★★☆
NASA의 ‘언성 히어로’ 유리 천장을 뚫고 우주로
- 허남웅(씨네21)

★★★☆
위풍당당, 헤어롤올림머리를 떠올리다
- 박평식

김혜리(평론가) 라디오평론 mp3파일

8. 흥행

제작비 2,500만 달러와 마케팅비 6,500만 달러를 투자해 북미 1억 6,960만달러, 월드 와이드 2억 3,595만달러를 기록하며 성공했다.

8.1. 북미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6년 53주차 2017년 1주차 2017년 2주차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 히든 피겨스 히든 피겨스
2017년 1주차 2017년 2주차 2017년 3주차
히든 피겨스 히든 피겨스 23 아이덴티티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9. 기타


* 중학교 3학년 천재교육 영어 교과서 4과 본문에서 이 영화의 내용을 다룬다.

[1] 현재도 백인사회에서는 아일랜드계, 동유럽, 러시아 출신의 백인들을 한 수 아래로 여기거나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2] 이때 소란에 달려온 직원들 앞에서 더 이상 백인 전용 화장실은 없다며 나사에선 다 똑같은 색의 용변을 본다는 명언을 남기고 자리를 떠난다.[3] 히트작인 빅뱅이론을 생각해보면 제대로 배우 개그인 상황, 빅뱅이론에서 맞은 역할인 셸든 쿠퍼는 NASA 소속 엔지니어인 하워드 왈로위츠를 무시하는 개그를 많이 쳤다.[4] 자막에는 대령이라 오역되어 있다.[5] 단적으로 머큐리 계획이 시작되기 1년 전, 리틀 록 나인 사건으로 주 정부와 연방 정부가 정면 충돌하는 사건까지 있었다.[6] 당시 NASA는 최초의 유인우주계획인 머큐리 계획을 준비하면서 우주비행사로 남성후보 7명뿐 아니라 여성조종사도 13명을 선발했다. 머큐리13이라고 불린 이들은 남성과 동등한 조건에서 진행한 모든 테스트를 통과했고, 심지어 몇몇은 오히려 남성후보들보다 훨씬 탁월한 성적을 올렸지만 어느 순간 그냥 버려졌다. "우주비행사는 전투기 조종 경험이 있어야 한다"는 내부규정을 이유로 들었지만, 남성후보들은 신체적/정신적 이유로 비행자격을 박탈당해도 디크 슬레이튼처럼 어떻게든 자리를 마련해서 그들의 능력을 100% 뽑아먹었지만, 여성후보들은 테스트를 통과한 사람들을 그냥 짤라버렸다는 점에서 명백한 성차별이었다. 그 와중에 소련이 최초의 여성우주비행사를 배출하자, 미국은 뭐하냐는 여론이 일어났지만, NASA는 무시했다. 미국 최초의 여성우주비행사는 정치권의 강력한 압박으로 1978년에 가서야 탄생한다. 이때 선발된 사람이 샐리 라이드.[7] 실제 역사에서도 1950년대 중반부터 1960~70년대 당시에 흑인들의 권리 투쟁에 반대하는 쪽과 지지하는 쪽 모두 백인 여성이 있었다. 흑인 민권 운동에 반대하는 백인 여성들은 백인 남성보다는 못 해도 흑인보다는 낫다는 관념 때문에 반대한 것이었고, 찬성하는 백인 여성들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백인 남성들에게 여러 면에서 차별받고 있었던지라 흑인들의 상황과 심정에 많은 공감을 했기 때문. 특히 후자에 해당하는 백인 여성들은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 당시에 도시의 버스 회사가 운영하는 버스를 타지 않는 흑인 하인들을 자차에 태워서 직장에 데려다 주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