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덴부르크 KMS Hindenburg / ヒンデンブルク | |||
| |||
<colbgcolor=#e13b60> 세력 | | ||
등급 | Decisive DR | ||
함종 | 중순양함 | ||
일러스트 | 云柔 | ||
원본 함선 | 아트미랄 히퍼급 중순양함 기반 창작함 | ||
성우 | 마츠이 에리코 | ||
획득 방법 | |||
입수 경로 | 개발 도크에서 개발 | ||
건조 종류 | 건조 불가 |
1. 개요
모바일 게임 벽람항로의 등장인물. 철혈 소속 중순양함이며, 월드 오브 워쉽의 힌덴부르크를 콜라보한 캐릭터다.2. 설정
지루함을 달래주지 않는다면, 당신의 그 몸을 사용하겠습니다.
철혈 소속 특별계획함, 게으른 악마
당신을 '계약자'라고 칭하며 힘을 보태준다
때때로 심심풀이가 될 무언가를 요구하지만 오랫동안 싫증을 내기는 어렵다. #
철혈 소속 특별계획함, 게으른 악마
당신을 '계약자'라고 칭하며 힘을 보태준다
때때로 심심풀이가 될 무언가를 요구하지만 오랫동안 싫증을 내기는 어렵다. #
하쿠류에 이은 월드 오브 워쉽 출신의 2번째 정규 트리 10티어 함선이다.[1] 힌덴부르크는 아트미랄 히퍼급 중순양함의 설계를 기반으로 한 가상의 후속함으로, 크릭스마리네의 중순양함 계보는 히퍼 - 론 - 힌덴부르크로 이어진다. 이중에서 특별계획함 1기생이자 바로 이전 티어의 함선인 론과는 같은 함대에 편성해서 출격시 "위험한 냄새가 나네"라고 담백하게 평가하는 특수 대사가 있는데, 모나크처럼 월드 오브 워쉽의 원본과 관련한 네타를 적극적으로 대사에 반영하진 않아서 아쉽다는 의견도 있다.
이전 티어의 론이 겉으로 보기엔 무해하나 사실은 얀데레 전투광이라는 캐릭터성을 가진데 비해 반대로 힌덴부르크는 겉으로 보기엔 위험하나 사실은 나른하고 느긋한 태도가 부각되는 함선인데, 재미있게도 월드 오브 워쉽의 론은 뉘른베르크처럼 대다수의 주포가 후미부에 위치한 후방집중형 구조를 가진 탓에 적함과 거리를 두고 수비적으로 운용하기 좋은 반면, 힌덴부르크는 균형잡힌 스펙과 전천후로 활용가능한 무난한 성능으로 인해 적극적으로 나서서 적함과 교전하는 공격적인 운용이 주가 되는 함선이다. 둘 다 원본과는 정 반대의 캐릭터성을 가진 셈.
사족으로 힌덴부르크라는 이름은 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육군참모총장이었던 파울 폰 힌덴부르크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인데, 후에 바이마르 공화국의 대통령직을 지낼 정도로 인기가 높았던 인물인지라 카이저마리네에서 당시 아직 생존해서 활동중이던 힌덴부르크의 이름을 냅다 데어플링어급 순양전함 3번함에 붙여버렸다. 이후에는 나치 독일 산하의 크릭스마리네에서 구상한 H급 전함 계획의 함명 중 하나로 고려되기도 했으며, 역사적으로 순양함급에는 쓰인 적이 없는 함명이다. 다만 벽람항로의 힌덴부르크는 중순양함 주제에 전함급의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졸지에 월드 오브 워쉽의 원본보다 고증에 충실해졌다.
3. 성능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캐릭터 능력치
SSR 이상 중순양함 ||
}}}}}}}}} ||
SSR 이상 중순양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내구 | 장갑 | 장전 | 포격 | 뇌장 | 회피 | 대공 | 소비 | 주포 | 부포or 어뢰 | 대공포 | |
SSR 중순 | 미니애폴리스 | 4152 | 중형 (中) | 182 | 258 | 0 | 57 | 248 | 12 | 125% | 70%부 | 125% |
뉴올리언스 | 4831 | 179 | 255 | 68 | 266 | 75%^부^ | ||||||
샌프란시스코 | ||||||||||||
볼티모어 | 4591 | 184 | 270 | 57 | 260 | 130% | 135% | |||||
브레머튼 | 4828 | 267 | 266 | 125% | 70%부 | 140% | ||||||
노샘프턴 II | 4654 | 187 | 225 | 293 | 130% | |||||||
타카오 | 4295 | 175 | 270 | 245 | 79 | 178 | 125% | 175% | 100% | |||
아타고 | 135% | 170% | ||||||||||
마야 | 125% | 120% | ||||||||||
초카이 | 261 | 221 | 130% | 110% | ||||||||
치쿠마 | 4392 | 181 | 263 | 248 | 75 | 189 | 130% | 175% | 100% | |||
프린츠 오이겐 | 6252 | 182 | 226 | 153 | 62 | 205 | 125% | 160% | 120% | |||
프린츠 오이겐(μ장비) | 6183 | 185 | 283 | 237 | 61 | 178 | ||||||
프린츠 하인리히 | 5946 | 182 | 310 | 245 | 66 | 219 | 160% | 130% | 100% | |||
프린츠 아달베르트 | 6007 | 299 | 255 | 215 | 150% | 140% | ||||||
프리드리히 카를 | 5958 | 297 | 244 | 155% (대순포) | 135% | |||||||
블뤼허 | 4612 | 289 | 240 | 61 | 208 | 135% | 160% | |||||
론(μ장비) | 6055 | 171 | 283 | 215 | 78 | 233 | 130% | 110% | 110% | |||
차라 | 4941 | 182 | 252 | 0 | 57 | 229 | 120% | 55%부 | 100% | |||
폴라 | 243 | 125% | 60%부 | |||||||||
고리치아 | 4942 | 175 | 226 | 130% | 55%부 | |||||||
탈린 | 5614 | 182 | 261 | 197 | 61 | 221 | 155% | 125% | 115% | |||
쿠르스크 | 4777 | 경 (軽) | 187 | 279 | 212 | 65 | 126 | 120% | 120% | 100% | ||
알제리 | 5021 | 중형 (中) | 195 | 279 | 223 | 66 | 244 | 125% | 175% | |||
브렌누스 | 5230 | 197 | 285 | 68 | 247 | 130% | 120% | 125% | ||||
SSR 중순 (개장) | 런던改 | 3841 | 경 (軽) | 165 | 233 | 82 | 297 | 11 | 150% | 160%구 | 115% | |
요크改 | 3916 | 중형 (中) | 191 | 286 | 193 | 92 | 258 | 155% | 165% | 105% | ||
엑세터改 | 3945 | 266 | 72 | 145% | 115% | |||||||
모가미改 | 4623 | 188 | 264 | 202 | 80 | 233 | 125% | 160% | 105% | |||
SR 중순 (개장) | 포틀랜드改 | 5355 | 170 | 234 | 0 | 78 | 260 | 10 | 115% | 65%부 | 135% | |
UR 중순 | 운젠 | 4683 | 190 | 295 | 297 | 79 | 226 | 15 | 140% | 150% | 130% | |
UR 대형순 | 괌 | 7652 | 170 | 297 | 0 | 53 | 449 | 115% (대순포) | 65%경 | 150% | ||
크론슈타트 | 7286 | 294 | 38 | 226 | 110% (대순포) | 55%경 | 100% | |||||
PR 중순 | 이부키 | 4793 | 187 | 270 | 289 | 86 | 194 | 13 | 140% | 185% | 110% | |
론 | 5920 | 171 | 283 | 215 | 78 | 233 | 130% | 110% | ||||
생 루이 | 5363 | 190 | 276 | 226 | 80 | 248 | 120% | 125% | ||||
체셔 | 5141 | 156 | 282 | 208 | 76 | 409 | 140% | 155% | 165% | |||
앵커리지 | 6256 | 163 | 252 | 215 | 80 | 227 | 130% | 115% | 115% | |||
DR 중순 | 드레이크 | 5668 | 139 | 289 | 245 | 75 | 289 | 15 | 120% | 125% | ||
힌덴부르크 | 5899 | 174 | 313 | 256 | 80 | 232 | 110% | 130% (경순포) | ||||
DR 대형순 | 아즈마 | 7541 | 170 | 307 | 0 | 50 | 226 | 16 | 100% (대순포) | 60%부 | 110% | |
에기르 | 7877 | 중 (重) | 168 | 282 | 202 | 52 | 252 | 120% (대순포) | 110% | |||
브레스트 | 7354 | 중형 (中) | 190 | 299 | 0 | 50 | 254 | 110% (대순포) | 120% | |||
구분 | 내구 | 장갑 | 장전 | 포격 | 뇌장 | 회피 | 대공 | 소비 | 주포 | 부포or 어뢰 | 대공포 | |
|
매우 높은 포격수치와 주포 보정률, 쉴드를 무시하는 포격 등으로 완전 극딜형 중순의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3번 슬롯에 주포 장비시 DPS는 중~대형순을 통틀어서 1위고, 이론상 전열 최강이라 평가받던 플리머스를 앞선다. 가장 최근 나온 어뢰중순 최강인 운젠과도 비슷하거나 근소하게 앞서고 있다. 24년 1월 기준, 메타 키로프 잔불전[2]에 힌덴부르크,운젠,플리머스가 극딜 셋팅으로 같이 채용되고 있는데, 셋이 거의 비슷비슷한 딜량을 보여주고 있다. 스탯도 대공을 제외하면 드레이크보다 높은 능력치를 보유하고 있는 수준. 하지만 스킬로 인해 주포 장비시의 얻는 메리트가 압도적으로 크기 때문에 대공을 안쓰는게 낫다는 아이러니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플리머스와 비슷하게 2스킬로 발사하는 특수 탄막은 2회에 걸쳐 발사하는데 명중률이 높다. 또한 대공포 칸에 주포를 장착하면 1스킬로 발동되는 주포 모드에서는 무려 적함의 쉴드를 무시할 수 있게 된다. 힌덴부르크는 전탄 발사가 쉴드를 뚫지 못하는 것을 제외하면 주포 모드시 매우 높은 지속 화력을 지니고 있으며, 엄청난 풀강화 성능, 주포 포좌 3개 및 우수한 특수 탄막 덕분에 편성만 하면 선봉 함대의 순수 화력 1인자가 되므로 일반적으로 헬레나처럼 디버프를 걸어줄 함선이 없는 편성에서 안정적으로 높은 주포딜을 때려박아 딜찍누를 내는 해결사처럼 운용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패러미터상으로는 론과 동일한 구성과 수치를 지닌 후속함임에도 불구하고 유저들에게는 사실상 플리머스의 등장으로 입지를 위협받던 HMS 드레이크를 확실하게 퇴역시켜버린 함선이라는 평가를 받는데, 주포를 사용하지 않고 대공포를 사용해도 기본적으로 딜링이 용골편찬을 한 드레이크와 비슷한 수준인데다 생존력은 드레이크보다 더 높다. 실제로 주포 장비 사양이 딜링 때문에 더 주목을 받아서 그렇지 대공포 장비 사양의 힌덴도 아즈마, 치쿠마와 같이 최상위권의 생존력을 지닌다는 이점이 있다.
여러모로 중순 최고의 딜링을 뽐내고 있지만, 풀강화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6기 DR함인데다 풀강을 해야 가장 강점이라 할 수 있는 주포 두개를 쓸수있고, 고점을 찍기 위해서는 무딱 중순포가 둘씩이나 필요하고, 딜링 외에 유틸적인 능력이 전무하다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주포를 두개 쓰면 대공포가 없는 관계로 대공은 못해서 대공수치가 0인거나 마찬가지다. 하지만 역시 딜 하나는 압도적이기 때문에 한동안은 플리머스, 운젠과 함께 전열 딜탱 3대장 자리를 지킬 것으로 보인다.
3.1. 능력치 / 장비 정보 / 개발 효과 / 함대 기술
능력치 (레벨1/호감도50 → 레벨125/호감도100) | |||||||||||
내구 | 1037 → 6033 | 장갑 | 중형(中) | 장전 | 64 → 174 | ||||||
포격 | 59 → 320 | 뇌장 | 48 → 261 | 기동 | 10 → 83 | ||||||
대공 | 43 → 237 | 항공 | 0 | 명중 | 50 → 149 | ||||||
대잠 | 0 | 항속 | 25 | ||||||||
행운 | 0 | 소모 | 8 → 15 | ||||||||
<colbgcolor=#e13b60> 장비 정보 | |||||||||||
번호 | 장비 종류 | 공격 횟수 (MIN/MAX) | 장비 효율 (MIN/MAX) | ||||||||
1 | 중순양함주포 | 1 / 2 | 110% / 130% | ||||||||
2 | 어뢰 | 1 / 1 | 110% / 120% | ||||||||
3 | 대공포/(중순양함주포)[3] | 1 / 1 | 120% / 130% | ||||||||
4 | 설비 | - | - | ||||||||
5 | 설비 | - | - | ||||||||
개발 효과[4]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v.5 | 내구 +253 / 대공 +11 / 기동 +5 / 주포 발사 수 +1 | |||||||||
Lv.10 | 스킬 습득 -【안티 세이렌】/ 스킬 습득 -특수 탄막Ⅰ/ 모든 무기 효율 +5% | ||||||||||
Lv.15 | 내구 +506 / 대공 +21 / 주포 효율 +10% | ||||||||||
Lv.20 | 【안티 세이렌】스킬 강화 / 모든 무기 효율 +3% | ||||||||||
Lv.25 | 내구 +759 / 대공 +32 / 기동 +10 | ||||||||||
Lv.30 | 【안티 세이렌】스킬 강화 / 특수 탄막 스킬 강화 / 모든 무기 효율 +5% / 대공포 슬롯에 중순양함 주포 장착 가능 | ||||||||||
함대 기술 | |||||||||||
함대 기술점수 | 획득 | 돌파MAX | Lv.120 | ||||||||
52 | 104 | 78 | |||||||||
함대 추가 능력치 | 중순양함, 대형순양함, 모니터함 내구 +1 | 중순양함, 대형순양함, 모니터함 포격 +1 | }}} |
3.2. 스킬
스킬 | |
환희를 구하는 피의 희롱 | 자신의 포격 스탯이 5%, 기동, 명중 스탯이 5(15)% 상승한다. 자신의 세번째 장비 슬롯에 주포 장착 시
자신의 세번째 장비 슬롯에 대공포 장착 시
|
쾌락을 욕망하는 멸렵의 추격 | 전투 개시 3초 후, 이후 15초 마다 특수 탄막 Lv.1(10) 을 전개한다(위력은 스킬 레벨에 비례).
|
안티 세이렌Ⅰ/Ⅱ/Ⅲ | 자신이 세이렌에게 주는 대미지가 5(15)% 상승한다. |
특수 탄막 - 힌덴부르크Ⅰ/Ⅱ | 자신의 주포로 15(10)회 공격할 때마다 특수탄막(힌덴부르크Ⅰ/Ⅱ)를 전개한다. |
4. 스킨
4.1. 패럴리틱 버서스
| |||
가격 | 1180다이아 | 스킨 소개 | # |
"꽤나 위태로운 싸움이었지? 후후, 계약자, 절대적인 힘 앞에 굴복하는 것보다, 이리저리 뒤바뀌는 좋은 승부쪽이.. 좀 더 유열에 젖을 수 있을거야."
5. 대사
<nopad> | |
기본 | |
<nopad> | |
패럴리틱 버서스 | |
도감-자기소개 | |
鉄血巡洋艦ヒンデンブルク。どうやら私のような艦船は「特別計画艦」とでも呼称されているようだが…全くどうでもいいことだわ。力を証明して、退屈させないでいてくれる限り、あなたとの契約を守ってあげるわ 철혈 순양함 힌덴부르크. 나와 같은 함선을 「특별 계획함」이라고 부르는 모양이지만… 전혀 상관없는 일이네. 힘을 증명하고, 지루하지 않게 해주는 한 당신과의 계약을 지켜줄게 | |
<colbgcolor=#e13b60> 일반 대사 | |
입수 | <colbgcolor=#ffffff,#1c1d1f> 私を呼び出したのはあなた?人間であるあなたが私の「指揮官」?……いいわ。「艦船と指揮官」の契約を一旦認めよう 나를 부른건 당신? 인간인 당신이 나의 「지휘관」이라고? ……좋아. 「함선과 지휘관」의 계약을 일단 인정하지 |
로그인 | 日常のために奔走し続ける…契約者、これがあなたが選んだ運命? 일상을 위해 계속 분주히 움직이는군… 계약자, 이게 당신이 선택한 운명인가? |
상세확인 | 翼?尻尾?そんなに気を引くようなものか?契約者、あなたの心象は時々解せないものね 날개? 꼬리? 그렇게까지 신경 쓰이는 것인가? 계약자, 당신의 심상은 때때로 이해하기 어렵군 |
메인1 | 時に契約者、あなたとほかの艦船をつなぎとめるのは?信頼?取引?……そう。面白そうね 그런데 계약자, 당신과 다른 함선을 연결하는 것은 무엇이지? 신뢰? 거래? …그래. 재미있을 것 같네 |
메인2 | 日常は退屈に満ちあふれている。契約者、紛らわせてくれないなら、あなたのその体を使わせてもらうわ 일상은 지루함으로 가득 차 있지. 계약자, 지루함을 달래주지 않는다면, 당신의 그 몸으로 장난칠지도 몰라 |
메인3 | 飲みたいものはないかって?気を使われるのは嫌いじゃないわ。…コーヒーよ。あまり苦すぎないやつね 마시고 싶은 것은 없냐고? 신경써주는건 싫어하지 않아. …커피. 너무 쓰지 않은 녀석으로 |
터치1 | 話しなさい。あなたへの興味がどこかに失せないうちに 이야기하도록 해. 당신에 대한 관심이 어디론가 사라지기 전에 |
터치2 | そろそろ教訓をその体に叩き込ませてもらうわ。契約者 슬슬 교훈을 그 몸에 주입시켜줄게. 계약자 |
터치3 | ツノ?好きなだけ見るといいわ。触ればどんな事象をもたらすか、あなたにとって既知の事柄のはずだが 뿔? 좋을 대로 보도록 해. 만지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당신에게 있어선 뻔히 알고 있을 일이겠지만 |
임무 | すべきことをしなさい。契約者。…任された任務のことよ 해야 할 것을 하도록 해. 계약자. …맡겨진 임무 말이지 |
임무완료 | 任務完了。ちっぽけな成果で見返りへの期待を高める、そんな者と契約した覚えはないはずだけど? 임무 완료. 작은 성과로 대가에 대한 기대치를 높이는, 그런 사람과 계약한 기억은 따로 없다만? |
메일 | 契約者、手紙の確認は早いうちにしなさい。言われてからするものじゃないわ 계약자, 편지의 확인은 빠른 시일 내로 하도록. 말만 듣고 하는 것이 아니야 |
모항귀환 | 契約者、さっきの戦闘にまだ気を取られている?気になる敵でもいた?それとも私の戦いぶりに不満でも? 계약자, 방금 전의 전투에 아직 정신을 빼앗기고 있나? 신경이 쓰이는 적이라도 있었나? 아니면, 나의 싸움에 불만이 있는 건가? |
의뢰완료 | 委託物資が届いた?ほかの人に任せなさい。自ら進んで全てをこなすなど、限りある時間がもったいないわ 위탁 물자가 도착했다고? 다른 사람에게 맡기도록 해. 스스로 모든 것을 다 해내는 것 따위는 한정된 시간이 아깝지 |
강화성공 | 自らの精進を忘れないで。契約者 스스로의 정진을 잊지 말도록 해. 계약자 |
전투개시 | 勇気、あなたたちの始発点にして終焉である 용기, 당신들의 시작점이자 종말이지 |
승리 | 不届き者にとって、痛みこそが最高のレッスンよ 괘씸한 녀석에게 있어서는 아픔이야말로 최고의 레슨이지 |
패배 | 歯応えのある相手ね。次相見えるときも私を失望させないでほしいわ 싸울 맛이 있었던 상대로군. 다음에 다시 만날 때도 나를 실망시키지 않았으면 좋겠어 |
스킬 | 虫けらは頭を垂れなさい 벌레는 고개를 숙이도록 해 |
HP 경고 | 少し乗り気にさせるとは……なかなかね 조금 마음에 들게 하다니… 꽤하는군 |
호감도 대사 | |
실망 | いいわ。契約なんてなかったことにする。あなたが今やっていること、いつかそのままやり返してあげる 좋아. 계약 같은 건 없던 것으로 하지. 당신이 지금 하고 있는 것, 언젠간 다시 갚아주도록 하지 |
낯섦 | 私に用?怖気づいてこっちを避けていると思っていたが。……まあいいわ。この機に乗じてあなたのことをもっと知れれば 나에게 용무라고? 겁먹은 채 이쪽을 피하고 있다고 생각했다만… 뭐, 좋아. 이번 기회에 당신을 좀 더 알아보도록 하지 |
호감 | 呼び出したのは公務のためではない、と。ならばこれはあなたという個体の欲求からくる行為と見ていいかしら。…そう。認めるならそれでいい。私も「指揮官の艦船」ではなく、ヒンデンブルクという個体を見せられるわ 불러낸 것은 공무를 위해서가 아니라고? 그렇다면 이것은 당신이라고 하는 개체의 욕구로부터 오는 행위라고 봐도 좋을까. …그래. 인정한다면 그걸로 좋아. 나도 「지휘관과 함선」이 아니라 힌덴부르크라는 개체를 보여주도록 하지 |
기쁨 | 悪魔を操ろうとしていても、逆に操られている可能性も否定できない。答えを知りたければ探求しなさい。私はあなたがたどり着くその先で待っている。…心を惑わしているわけではないわ。これはあくまで契約者、あなた自身が選ぶ道よ 악마를 사역하려고 해도, 역으로 사역당하고 있을 가능성도 부정할 수 없지. 대답을 알고 싶다면 탐구하도록 해. 나는 당신이 가까스로 도착하는 그 앞에 기다리고 있을거야. …마음을 현혹하고 있는 것은 아니야. 이것은 어디까지나 계약자, 당신이 선택하는 길이지 |
사랑 | ここまで至れるとは喜ばしいことね契約者。過程や方法などどうでもよく、この結果――あなたという個体は私の手中にあるという結果だけが全てよ。悔しい?膝を地につかせるのは、そう苦ではないはずだけど? 여기까지 도달할 수 있다니 기쁜 일이네 계약자. 과정이나 방법 따위는 아무래도 좋아. 이 결과 ―――당신이라는 개체는 내 수중에 있다는 결과만이 전부이지. 분하다고? 무릎을 땅에 꿇는다는 건 그리 힘든일이 아니다만? |
서약 | 今の契約に満足するどころか、さらにその先に進もうとしていると?契約者、ますます傲慢になったようね。……あなたの願いを叶え、あなたが求めるものを授けよう。その体と魂、いつか貪られる覚悟ができているのならば 지금 계약에 만족하기는커녕, 여기서 더 나아가겠다고? 계약자, 이거 점점 더 오만방자해지는걸? ......당신의 소원대로 당신이 바라는 걸 줄게. 언젠가 그 몸도 영혼도 내게 바칠 각오가 되어있다면 말이야. |
특수 편성 대사 | |
론 | 危険な匂いがするわね 위험한 냄새가 나는군 |
6. 기타
- 누가 철혈함 아니랄까봐 대사중에 지휘관에게 커피를 부탁하기도 하는데, 힌덴부르크의 취향은 의외로 외형과 달리 설탕을 넣어 달게 마시는 편이다. 이전급 함선인 히퍼도 쥬스타그램에서 달달한 커피를 좋아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히퍼급의 주포 변경 설계안을 기반으로 한 마인츠는 우유도 설탕도 용납하지 않는 블랙커피파이다. 아쉽게도 이와 관련한 상호작용 대사는 없다. 바리스타 컨셉 스킨을 가지고 있는 키로프와도 마찬가지.
- 철혈함의 의장을 군함이 아니라 도이치 사이버 드래곤(...) 비스무리한 무언가로 그리는 최근의 기조에 따라 힌덴부르크도 전형적인 철혈다운 의장을 데리고 다니는데, 힌덴부르크의 의장의 형태는 날개가 없는 대신 앞다리가 달려있고 꼬리가 짧아 몬스터버스의 스컬크롤러를 닮았다. 10티어 함선은 10티어인지
탈경순양함인레겐스부르크나 대형순양함인 에기르에 맞먹는 거대한 사이즈가 특징으로, 분명 등에 주포가 달려있지만 전투시에는 쏘라는 함포는 안쏘고 입에서 브레스를 내뿜는다.
- 철혈 함선들 중 외모적으로 기계적인 뿔이 달린 다른 철혈 함선들과 달리 힌덴부르크는 에기르와 더불어 실제 악마의 뿔을 달고 있다.[5] 그래서인지 특유의 말투와 외모 때문에 서큐버스 처럼 보인다는 의견이 많은편.
- 색기가 극에 달한 서큐버스 같은 외형과 복장[6], 그리고 압도적인 성능까지 더해져 실장되자마자 전례없는 수준의 엄청난 인기몰이를 했는데, 23년 12월에 열린 한국서버 3차 인기투표에서 예선부터 시작해 A조까지 1위를 독식하며 압도적인 화력을 보여주는가 싶더니 결승전까지도 118만이라는 표를 받으며 1위를 석권해버렸다. 같은 6차 DR인 키어사지가 15만 표에 그친것을 생각하면 경이로운 수치. 한국 서버에서 유일하게 명예의 전당을 기록함으로써 지난 인기투표의 모나크, 에기르[7], 체셔에 이어 개발 도크 출신 캐릭터들이 명예의 전당에 올라갔으며 2위를 한 임플래커블, 우승후보였던 시나노를 꺾고 3위를 한 다이호와[8] 함께 한국 서버 한정 명예의 전당 기록을 이어나가게 되었다.
- 여담으로 최근 SNS에 올라온 시프트업의 김형태 대표이사의 개인사진(왼쪽은 소니의 요시다 슈헤이)에서 힌덴부르크 바니걸 스킨이 참고자료(?)로 모니터에 띄워져 있는 것이 발견되어 화제가 되었다. 아마도 니케 관련해서 뭔가 참고하려고 가져온 걸로 추정되나, 정확한 건 모르는 상황.#
7. 둘러보기
||<rowbgcolor=#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
×![파일:external/gamingwithdaopa.ellatha.com/World-of-Warships-Logo-300.png]()
특별계획함 ||
특별계획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기수 | 등급 | 함선 |
<colbgcolor=#fff,#1f2023> 1기 | PR | 넵튠* | 모나크* | 이부키* | 이즈모* | 론* | 생 루이* | |
2기 | DR | 아즈마* |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세* | |
PR | 시애틀* | 조지아* | 키타카제* | 가스코뉴* | ||
3기 | DR | 드레이크* | |
PR | 체셔* | 마인츠* | 오딘* | 샹파뉴* | ||
4기 | DR | 하쿠류* | 에기르 | |
PR | 앵커리지* |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 | 마르코 폴로* | ||
5기 | DR | 플리머스 | 브레스트 | |
PR | 프린츠 루프레히트* | 치칼로프* | 하얼빈* | ||
6기 | DR | 힌덴부르크 | 키어사지 | |
PR | 시만토* | 플랑드르* | 펠릭스 슐츠* | ||
7기 | DR | 나폴리 | 어드미럴 나히모프 | |
PR | 다이센 | 할포드 | 바야르 | ||
8기 | DR | 하우덴 리우 | 메클렌부르크 | |
PR | 드미트리 돈스코이 | 캔자스 | 비토리오 쿠니베르티 | ||
| }}}}}}}}}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7FFF,#0060BF><bgcolor=#007FFF,#0060BF>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7FFF,#0060BF><tablebgcolor=#007FFF,#0060BF><width=40%> ||<width=6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color=#fff> 함종 | 등급 | 함선 |
중순양함 | DR | HMS 드레이크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힌덴부르크 · RN 나폴리· HNLMS 하우덴 리우 | |
UR | IJN 운젠 | ||
PR | USS 앵커리지 · HMS 체셔 · IJN 이부키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론 · FFNF 생 루이 | ||
SSR | USS 노샘프턴 II · 뉴올리언스 · 미니애폴리스 · 볼티모어 · 브레머튼 · 샌프란시스코 · 피츠버그 · IJN 마야 · 아사마 · 아타고 · 초카이 · 치쿠마 · 타카오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론(μ장비) · 블뤼허 · 프리드리히 카를 · 프린츠 아달베르트 · 프린츠 오이겐 · 프린츠 오이겐(μ장비) · 프린츠 하인리히 · ROC 지엔우 · FFNF 브렌누스 · MNF 알제리 · RN 고리치아 · 차라 · 폴라 · SN 쿠르스크 · 탈린 · META 알제리(META) · 어드미럴 히퍼(META) · 위치타(META) · 기타 라라 사타린 데빌룩E · 미나미 유메E · 미우라 아즈사E · 블랙 하트E · 이카루가E · 카스미E · 쿠온E · 키즈나 아이 엘레강트E | ||
SR | USS 꼬마 앵커리지 · 볼티모어(μ장비) · 빈센스 · 아스토리아 · 위치타 · 인디애나폴리스 · 퀸시 · 휴스턴 · 루이빌 · HMS 꼬마 체셔 · 데본셔 · 도셋셔 · 런던改 · 요크改 · 엑세터改 · IJN 모가미改 · 스즈야 · 아시가라 · 쿠마노 · 하구로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아드미랄 그라프 슈피 · 꼬마 그라프 슈피 · 꼬마 프린츠 오이겐 · 도이칠란트 · 어드미럴 히퍼 · 어드미럴 히퍼(μ장비) · 요르크 · FFNF 뒤켄 · 쉬프랑 · MNF 뒤플렉스ㆍ포슈 · RN 볼차노 · 트리에스테 · META 볼차노(META) · 트렌토(META) · 포슈(META) · 기타 나미코E · 나키리 아야메E · 느와르E · 릴라 디자이어스E · 사이렌지 하루나E · 유우야키E | ||
R | USS 노샘프턴 · 시카고 · 포틀랜드改 · HMS 노포크 · 서섹스 · 서포크改 · 슈롭셔改 · 켄트 · IJN 나치改 · 묘코 · RN 트렌토 | ||
N | USS 솔트레이크 시티 · 펜사콜라 · IJN 아오바 · 카코改 · 키누가사 · 후루타카改 | ||
미구현 | IJN 토네 · META 타카오(META) | ||
대형순양함 | DR | IJN 아즈마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에기르 · FFNF 브레스트 | |
UR | USS 괌 · SN 크론슈타트 | ||
SSR | 기타 칼라 이데아스E | ||
SR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꼬마 에기르 | ||
모니터함 | SR | HMS 에레버스 · 애버크롬비 · 테러 · META 에레버스(META) | |
구축함 | |||
경순양함 | |||
전함ㆍ순양전함ㆍ항공전함 | |||
경항공모함ㆍ항공모함 | |||
운송함ㆍ공작함 | |||
범선ㆍ잠수함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