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0 10:45:52

𠬸에서 넘어옴
빠질 몰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7획
고등학교
일본어 음독
ボツ, モツ
일본어 훈독
おぼ-れる, しず-む, し-ぬ, な-い
표준 중국어
méi, mò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沒은 '빠질 몰'이라는 한자로, '빠지다', '잠기다', '없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C9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水弓水(ENE)로 입력한다.

소전부터 등장하는 데 (물 수)와 소용돌이를 나타내는 勹 , 손을 나타내는 로 이루어진 회의자이다.[1] 사람이 물에 빠진 모습을 나타내어 "잠기다"(to sink), "물에 빠지다"(to drown)라는 뜻을 나타냈다. 이에 의미가 파생되어 "죽다"(to die), "사라지다"(to disappear)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후자의 뜻은 歿(죽을 몰)로 쓰기도 한다.

沒는 이외에도 "부정"(not)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당나라 때부터 그 용법이 등장하다가 명~청나라 때가 되면 보편화된다. 이는 기존의 중국어에서 어두가 m-인 부정사 역할을 하던 의 독음이 만다린에서 바뀌어[2] 부정사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고 같은 성모를 가지고 있던 沒로 대체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표준중국어에서는 다음자(多音字)로 부정사의 의미로 쓰일 때는 méi로, 잠기다, 사망하다의 뜻으로 쓰일 때는 mò로 읽는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성부를 𠬛로 하는 형성자로 볼 수 있지만 독음이 동일하여 사실상 沒와 동자(同字)이다.[2] 광운에서 無의 반절은 武夫切로 성모가 /m/이였으나 음운변화를 거쳐 wú로 바뀐다.[3] 歿(죽을 몰)로 바꿔 쓸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