設 베풀 설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言,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セツ | ||||||
일본어 훈독 | もう-ける, しつら-える | ||||||
设 | |||||||
표준 중국어 | shè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設은 '베풀 설'이라는 한자로, '베풀다', '세우다', '설립(設立)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베풀다 |
음 | 설 | |
중국어 | 표준어 | shè |
광동어 | cit3 | |
객가어 | sat | |
민북어 | siĕ | |
민동어 | siék | |
민남어 | siat | |
오어 | seq (T4) | |
일본어 | 음독 | セツ |
훈독 | もう-ける, しつら-う, しつら-える | |
베트남어 | thiết |
유니코드에는 U+8A2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口竹弓水(YRHNE)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殳(몽둥이 수)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羖(염소 고)
- 穀(곡식 곡)
- 觳(곱송그릴 곡)
- 轂(수레바퀴통 곡)
- 彀(활당길 구)
- 祋(창 대)
- 詜(조리 없을 도)
- 般(가지/일반 반)
- 說(말씀 설)
- 蔎(향초 설)
- 豛(돼지 역)
- 役(부릴 역)
- 炈(옹기 가마 굴뚝 역)
- 投(던질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