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衡 저울대 형 |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行, 1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16획 |
| 고등학교[1] | |||
| - | |||
| 일본어 음독 | コウ | ||
| 일본어 훈독 | くびき, はかり, はか-る | ||
| - | |||
| 표준 중국어 | héng | ||
1. 개요
衡은 '저울대 형'이라는 한자로, '저울대', '저울질하다', '평평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fff,#1c1d1f>저울대 |
| 음 | 형 | |
| 중국어 | 표준어 | héng |
| 광동어 | hang4 | |
| 객가어 | fèn | |
| 민북어 | ǎing | |
| 민동어 | hèng | |
| 민남어 | hêng | |
| 오어 | hhen (T3) | |
| 일본어 | 음독 | コウ |
| 훈독 | くびき, はかり, はか-る | |
| 베트남어 | hành | |
유니코드에는 U+886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人弓大弓(HONKN)으로 입력한다.
角(뿔 각)과 大(큰 대)가 합쳐진 회의자에 소리를 나타내는 行(다닐 행)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예서와 해서를 거치면서 角의 아랫부분이 잘려 魚(물고기 어)의 윗부분 같은 형태로 변했는데, 이 자형이 大와 합쳐지면 魚의 이체자가 된다. 실제로 衡의 𩵋 부분을 鱼나 魚처럼 쓴 이체자도 고문서에서 종종 나온다.
이 글자는 橫(가로 횡)의 통자로도 쓰일 수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구형왕(仇衡王)
- 권도형(權渡衡)
- 김사형(金士衡)
- 김원형(金圓衡): 야구인
- 김재형(金在衡): PD
- 무원형(武元衡)
- 민형식(閔衡植): 조선 귀족 자작
- 예형(禰衡)
- 윤치형(尹致衡): 1893년생
- 윤철형(尹喆衡)
- 이기형(李奇衡): 1971년생
- 조시형(趙始衡)
- 조윤형(趙尹衡)
- 최형경(崔衡京)
- 충세형(种世衡)
- 후루야 쓰네히라(古谷 経衡)
- 후지와라노 야스히라(藤原 泰衡)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1972년 최초 지정 당시엔 미배정 한자였으나, 2000년 개정 시 추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