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00:18:08

2025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파일:FISU 엠블럼.svg역대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1960 샤모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62 빌라스
파일:체코 국기.svg
1964 슈펜틀레류픔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66 세스트리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1968 인스브루크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핀란드 국기.svg
1970 로바니에미
파일:미국 국기.svg
1972 레이크플래시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75 리비그노
파일:체코 국기.svg
1978 슈펜틀레류픔린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1 하카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1983 소피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5 벨루노
파일:체코 국기.svg
1987 스트르브게플레소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1989 소피아
파일:일본 국기.svg
1991 삿포로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파일:폴란드 국기.svg
1993 자코파네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5 하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 무주·전주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1999 포포라트·타트리
파일:폴란드 국기.svg
2001 자코파네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03 타르비시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2005 인스브루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07 토리노
파일:중국 국기.svg
2009 하얼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1 에르주룸
26회 27회 28회 29회 30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13 트렌티노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5 그라나다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2017 알마티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2021 루체른
31회 32회 33회 34회 35회
파일:미국 국기.svg
2023 레이크플래시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5 토리노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rowcolor=#fff> 둘러보기 : 역대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colcolor=#fff> 제32회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XXXII Winter World University Games
2025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Torino 2025 FISU World University Games Winter
파일:토리노 2025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엠블럼 가로.png
<colbgcolor=#48aee0> 대회기간 2025년 1월 13일 ~ 2025년 1월 23일
개최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 토리노
슬로건 Piemonte land of Sport
마스코트 TO Tag
참가국 54개국
참가선수 1,657명
경기종목 11개 종목 - 90개 세부종목
개회 선언 안드레아 아보디
,체육부장관,
선수 선서 Giulia Zardini Lacedelli
성화 점화 조르조 키엘리니
개·폐회식장 Palasport Olimpico (개막식)
카스텔로 광장 (폐막식)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대회 상징
2.1. 엠블럼2.2. 마스코트2.3. 픽토그램
3. 참가국4. 경기장5. 경기 종목6. 대회 진행
6.1. 경기 일정6.2. 개·폐막식6.3. 경기 결과
7. 메달 집계
7.1. 대한민국의 메달리스트
8. 기타

[clearfix]

1. 개요

<colbgcolor=#48aee0><colcolor=#fff>
토리노 2025

2025년 1월 13일부터 1월 23일까지 이탈리아 토리노를 중심으로 피에몬테 일대에서 개최된 제32회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2. 대회 상징

2.1. 엠블럼

<colcolor=#fff>
파일:토리노 2025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엠블럼.webp
엠블럼

2.2. 마스코트

<colcolor=#fff>
파일:토리노 2025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마스코트.png
마스코트 TO Tag

2.3. 픽토그램

<colbgcolor=#48aee0><colcolor=#fff>
픽토그램

3. 참가국

54개국이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총 79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참가국 명단 (총 54개국)알파벳 순

[[아르헨티나|]][[틀:국기|]][[틀:국기|]]

[[아르메니아|]][[틀:국기|]][[틀:국기|]]

[[호주|]][[틀:국기|]][[틀:국기|]]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벨기에|]][[틀:국기|]][[틀:국기|]]

[[브라질|]][[틀:국기|]][[틀:국기|]]

[[불가리아|]][[틀:국기|]][[틀:국기|]]

[[캐나다|]][[틀:국기|]][[틀:국기|]]

[[칠레|]][[틀:국기|]][[틀:국기|]]

[[중국|]][[틀:국기|]][[틀:국기|]]

[[크로아티아|]][[틀:국기|]][[틀:국기|]]

[[체코|]][[틀:국기|]][[틀:국기|]]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에스토니아|]][[틀:국기|]][[틀:국기|]]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아|]][[틀:국기|]][[틀:국기|]]

[[독일|]][[틀:국기|]][[틀:국기|]]

[[홍콩|]][[틀:국기|]][[틀:국기|]]

[[헝가리|]][[틀:국기|]][[틀:국기|]]

[[아일랜드|]][[틀:국기|]][[틀:국기|]]

[[이스라엘|]][[틀:국기|]][[틀:국기|]]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개최국)

[[일본|]][[틀:국기|]][[틀:국기|]]

[[카자흐스탄|]][[틀:국기|]][[틀:국기|]]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코소보|]][[틀:국기|]][[틀:국기|]]

[[라트비아|]][[틀:국기|]][[틀:국기|]]

[[레바논|]][[틀:국기|]][[틀:국기|]]

[[리히텐슈타인|]][[틀:국기|]][[틀:국기|]]

[[리투아니아|]][[틀:국기|]][[틀:국기|]]

[[룩셈부르크|]][[틀:국기|]][[틀:국기|]]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멕시코|]][[틀:국기|]][[틀:국기|]]

[[몽골|]][[틀:국기|]][[틀:국기|]]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네팔|]][[틀:국기|]][[틀:국기|]]

[[노르웨이|]][[틀:국기|]][[틀:국기|]]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필리핀|]][[틀:국기|]][[틀:국기|]]

[[폴란드|]][[틀:국기|]][[틀:국기|]]

[[포르투갈|]][[틀:국기|]][[틀:국기|]]

[[루마니아|]][[틀:국기|]][[틀:국기|]]

[[싱가포르|]][[틀:국기|]][[틀:국기|]]

[[슬로베니아|]][[틀:국기|]][[틀:국기|]]

[[스위스|]][[틀:국기|]][[틀:국기|]]

[[슬로바키아|]][[틀:국기|]][[틀:국기|]]

[[스웨덴|]][[틀:국기|]][[틀:국기|]]

[[태국|]][[틀:국기|]][[틀:국기|]]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대만
]][[틀:국기|]][[틀:국기|
속령
대만
]][1]

[[튀르키예|]][[틀:국기|]][[틀:국기|]]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미국|]][[틀:국기|]][[틀:국기|]]

4. 경기장

5. 경기 종목

필수종목(9개 종목)
선택종목(2개 종목)
파라스포츠(2개 종목): 이외에 패럴림픽 종목 2개가 함께 열린다.

6. 대회 진행

6.1. 경기 일정

종목 1월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메달 이벤트(90) <colcolor=#fff> 7 <colcolor=#fff> 8 <colcolor=#fff> 10 <colcolor=#fff> 13 <colcolor=#fff> 11 <colcolor=#fff> 10 <colcolor=#fff> 4 <colcolor=#fff> 8 <colcolor=#fff> 11 <colcolor=#fff> 8
개막식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2 3 4
피겨 스케이팅 1 2
알파인 스키 1 1 2 1 1 1 1 1
크로스컨트리 스키 2 2 1 2 2
프리스타일 스키 2 2 2 2 2
스노보드 2 2 2 2 2
바이애슬론 2 1 2 2 2
컬링 1 2
아이스하키 1 1
산악 스키 2 1 2
스키 오리엔터링 2 1
파라 알파인 스키 6 6
파라 크로스컨트리 스키 3 3
폐막식

6.2. 개·폐막식

<colbgcolor=#48aee0><colcolor=#fff>
개막식 하이라이트
<colbgcolor=#48aee0><colcolor=#fff>
폐막식 하이라이트

6.3. 경기 결과

7. 메달 집계

파일:FISU 엠블럼.svg 2025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메달 순위
순위 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총합
1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8 8 14 40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 8 6 6 20
3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8 3 4 15
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7 8 4 19
5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6 9 8 23
6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6 3 5 14
7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4 7 2 13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4 5 6 15
9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4 5 5 14
1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4 4 4 12
11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4 1 1 6
12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3 4 7 14
13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3 1 0 4
14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2 7 0 9
1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2 2 2 6
16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 3 0 4
17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1 3 0 4
18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 2 6 9
19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 2 0 3
20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1 1 3 5
21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1 1 0 2
22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1 0 2 3
23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0 1 1 2
2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0 1 0 1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0 1 0 1
26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0 0 1 1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0 0 1 1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0 0 1 1
총합 90 88 84 262

7.1. 대한민국의 메달리스트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금메달 김태성
금 4
남자 1500m
금메달 남자 500m
금메달 혼성 2000m 계주
금메달 남자 1000m
금메달 이동현
금 1 은 1 동 2
혼성 2000m 계주
은메달 남자 1500m
동메달 남자 1000m
동메달 남자 500m
금메달 배서찬
금 1 은 1 동 1
혼성 2000m 계주
은메달 남자 1000m
동메달 남자 1500m
금메달 김길리
금 5
여자 1500m
금메달 여자 500m
금메달 2000m 혼성 계주
금메달 여자 1000m
금메달 여자 3000m 계주
금메달 김건희
금 2 동 1
혼성 2000m 계주
금메달 여자 3000m 계주
동메달 여자 1500m
금메달 서휘민
금 2 은 2 동 1
혼성 2000m 계주
금메달 여자 3000m 계주
은메달 여자 1500m
은메달 여자 1000m
동메달 여자 500m
금메달 김은서
금 1
여자 3000m 계주
금메달 이지아
금 1
여자 3000m 계주
합계 금 8 은 4 동 5
스노보드
은메달 마준호
은 1
남자 평행 대회전
합계 은 1
피겨 스케이팅
동메달 차준환
동 1
남자 싱글
합계 동 1
컬링
은메달 강보배
은 1
여자부
은메달 김지수
은 1
여자부
은메달 심유정
은 1
여자부
은메달 김민서
은 1
여자부
은메달 정재희
은 1
여자부
합계 은 1

8. 기타



[1] 대만 대표팀은 국제대회에 출전할 때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 Chinese Taipei)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