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21:48:18

3식 12.7cm 50 구경장 함포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화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곡사포 <colbgcolor=#fefefe,#191919>91식 10cm 곡사포, 92식 10cm 캐논포, 12cm 캐논포, 96식 150mm 곡사포
야포/산포 90식 75mm 야포, 41식 산포, 94식 산포
대전차포/전차포 90/97식 57mm 전차포, 94식 37mm 속사포, 1식 기동 47mm 속사포, 시제 57mm 대전차포, 시제 105mm 전차포
보병포 11식 37mm 보병포, 92식 70mm 보병포
대공포 96식 25mm 고각기총, 98식 20mm 기관포, 5식 40mm 중대공포, 88식 75mm 대공포, 99식 88mm 대공포, 5식 15cm 대공포
함포 98식 10cm 65구경장 함포, 3식 12.7cm 50 구경장 함포, 89식 12.7cm 40 구경장 함포, 3년식 155mm 60구경장 함포, 3년식 20cm 50구경장 함포, 41식 36cm 45구경장 함포, 3년식 40cm 45구경장 함포, 94식 40cm 45구경장 함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giri.jpg
후부키급 구축함 사기리함에 장착된 모습

1. 개요2. 제원3. 상세4. 운용5. 단점6. 미디어7. 둘러보기

1. 개요

일본 제국 해군에서 운용한 중간 구경의 함포이다. 양용포로도 설계가 전환된 모델이 있었으나 실제 대공 능력은 그리 우수하지 못했다.

2. 제원

이름 3식 12.7cm 50 구경장 함포
중량 4,205kg
길이 6.483m
포신 길이 6.265m
탄약 분리식 장전, 후장식
구경 127mm
상하각 C형 모델은 -7° ~ +55° D형 모델은 -7° ~ +75°
상승률 초당 6°
발사속도 분당 5~10발
최대 사정거리 18,400m

3. 상세

1928년부터 1940년까지 일본 구축함의 표준 주포로 사용된 함포이며 양용포로도 사용할 수 있으나 대공사격 능력은 실질적인 효과보다는 명목상의 효과에 더 가까웠다. 이 포는 연장포의 형식인 모델A가 후부키급 구축함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모델 A는 좌우로 초당 6°를 움직일 수 있었으며 상하로는 초당 6° ~ 12°를 움직일 수 있었다. 이들은 9~12mm의 포방패를 갖추고 있었으나 이 상하각은 -5°~+40° 수준이었다. 이후 모델 B에서 앙각이 75°까지 올라가게 되며 이는 아카츠키급 구축함에 적용된다. 모델 B는 무게를 줄일 목적으로 포방패의 두께를 3.2mm까지 줄였으나 이것이 너무 얇다는 것이 드러나자 이후에 보강하게 된다. 모델 C에서는 상하각이 -7°~55°로 변경되어 앙각이 20°정도 감소하였다. 이후 모델 D에서는 앙각이 다시 75°로 돌아오게 된다. 단장포 형식인 A형은 -7°~75°의 상하각을 가지고 있으며 B형에서는 -7°~55°으로 변경된다.

4. 운용

하츠하루급 구축함, 카게로급 구축함, 시라츠유급 구축함, 아사시오급 구축함등 일본 구축함의 주포로 사용되었다.

5. 단점

장전을 하기 위해서는 포신을 5°~10°로 내려서 장전을 해야 했기 때문에 실제 발사속도는 5~10발이라는 비교적 느린 속도였으며 포신을 움직이는 것도 실전에서는 거의 초당 6° 수준이었기에 대공사격에 문제가 많았다. 그리고 89식 12.7cm 40 구경장 함포와 달리 이쪽은 순수하게 인력으로 장전하는 방식이었다.

6. 미디어

에반게리온: 서에서 야시마 작전의 일환으로 등장. 시선분산을 위해 발사한 오토멜라라 127mm 함포, 하푼같은 무기와 함께 어디서 구한건지 여러대가 등장하여 일제사격을 하지만, AT필드에 무력화.

박물관에나 있을법한 물건이 어째서 사용된지는 의문이다, 야마토급 전함의 46cm 포는 구경이 구경이니 그렇다 쳐도, 동일 구경에 휠씬 좋은 오토멜라라 127mm나 상위호환인 89식 12.7cm 대공포도 있으므로 재생산할 이유도 없다. 아마도 구판 2호기 대뷔전 처럼 안노의 밀리터리 동호인 취향으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7. 둘러보기

화포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292d>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추축군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냉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현대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