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Apple Pay/대한민국
관련 문서: Apple Pay/대한민국/현대카드 출시
{{{#!wiki style="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SF Pro KR, Pretendard, Inter, HelveticaNeue, Arial, sans-serif"
1. 개요
2024년이후의 Apple Pay 국내 도입 소식을 정리한 문서이다.2. 2024년
2.1. 1분기
- 1월 4일, SF Symbols 5.0 최신 버전에서 교통카드 관련 아이콘으로 보이는 원화 충전 아이콘, 원화 자동충전 또는 환불 아이콘이 새롭게 올라온 것이 발견[1]되었고 결제 관련 애플릿에 ‘대한민국 교통’이 추가[2]되었다. #
- 1월 8일, IT 팁스터 란즈크에 의하면 '조건을 두고 기업간 상호 경쟁하는' 내부적인 요인과 'A사가 국내 기업에게 더 좋은 조건 일부가 들어가면서 추가 영향도를 분석 중'이라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도입이 미뤄지고 있다고 한다. 다만 요인과는 별개로 필드 테스트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함과 동시에, 교통카드도 지속적으로 작업 중이라고 한다.[3] 동시기에 신한카드에서 공식적으로 도입 검토 중이며, 신중하게 판단하겠다는 보도가 있었기에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 #
- 1월 말에 삼성페이에 등록된 KB국민카드의 노리 체크카드(Visa, 펭수노리 포함)의 이미지가 EMV Contactless 심볼이 포함된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이를 두고 컨택리스 심볼[4]이 EMV Contactless를 국내에서 지원하지 않는 국내용 삼성페이에 적용한 점, 현대카드의 Apple Pay 전용 카드 이미지와의 심볼 위치가 유사한 점을 들어 Apple Pay를 도입하기 위한 물밑작업이 아니냐는 루머가 나오고 있다. 설령 Apple Pay와 관련이 없을지라도 KB국민카드는 이전까지 EMV Contactless, 특히 Visa 탭 투 페이를 꺼리던 카드사였음을 고려하면 의외의 행보라고 볼 수 있다.[변경디자인]
- 3월 2일, IT 팁스터 란즈크에 의하면 3월 초 관련 업체 간의 모임이 있으며 정보의 확인과 공개 가능 범위의 검토로 소식 전달이 지연되고 있음을 알렸다. 전달한 내용에 의하면 론칭 일정이 계속 연기되는 듯하며, 특정 업체가 아닌 여러 곳에서 서로 도입과 관련하여 눈치를 엄청 보고 있다는 말 또한 전했다.#
- 3월 8일, KB국민카드가 Apple Pay에 대한 적극적인 사업 참여 의사를 밝혔다는 기사가 나왔다. 기사 중 KB국민카드의 고위 관계자에 의하면 "수익성 측면에서는 도움이 되지 않지만 고객 기반 확보 차원에서는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확정은 아니지만 다각도로 준비하는 중이다"란 말을 덧붙였다.#
- 3월 중순, 현대카드가 자영업자에게 Apple Pay 홍보물을 재발송했다. 예전과 달리 현대카드 로고, M BOOST 카드 예시 이미지, QR코드 그리고 현대카드 약관 내용까지 제거되었다. 홍보 문구는 특이하게 현대카드 폰트는 유지되나 현대카드 언급이 빠진 채로 변경되었다.[이전][이후]
2.2. 2분기
- 5월 13일, IT 팁스터 란즈크가 Apple Pay에 대해 언급했다. ‘포기 아님’, ‘진행중’ 단어와 함께 여러 곳이 하다보니 늦어지게 되며, 2년 전부터 계획한 것이기에 EU의 NFC 개방이랑 상관없다는 내용 그리고 내부적, 신규 추가 대상 기업 간 정치적 요인이 더 크다고 언급하였다.#
- 6월 24일, 팁스터 란즈크는 Apple Pay 교통카드는 다음 달이라도 바로 론칭이 가능한 수준이라며 론칭이 지연되는 데에는 기술적 요인보다는 외부적 요인이 더 크다고 언급했다.#
- 6월 26일, 서울특별시가 기후동행카드를 정식 출시를 앞두고, 애플의 아이폰에서도 모바일 기후동행카드를 쓸 수 있도록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능과 관련해 실무진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Apple Pay 방식인지, 단순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식인지는 불명.
2.3. 3분기
- 7월 11일 오후, 티머니페이 앱이 모바일티머니로 개편되며 앱이 업데이트(v2.2.6) 되었는데, App Store 앱 정보 하단에 ‘Apple 지갑’ 지원 표시가 추가되었다. 또한 Apple Pay 교통카드 관련 정보 및 홍보 자료들이 앱 내부 소스에서 발견되었다.#1 #2 #3 그러나 그 다음 날인 12일 새벽, 다시 한 번 업데이트(v2.2.7)되면서 해당 소스들이 삭제되었다.
- 그러나 App Store 앱 정보 하단의 Apple 지갑 지원 표시는 없어지지 않았는데, 이는 최신 버전에도 아직 Apple Wallet 관련 API가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9]
- 9월 5일, 팁스터 란즈크는 Apple의 나의 찾기 서비스 한국 지원예정 글에 “교통 카드랑 추가 카드사도 저번에 말씀 드린대로 준비 끝 그냥 시점[11]만 보고 확 나올수 있어요”라는 댓글을 남겼다.#
- 9월 6일, 서울시의회 제326회 임시회 제4차 교통위원회에서 업무 보고차 출석한 김태극 티머니 대표이사가 윤영희 서울시의원의 "아이폰의 교통카드 기능 도입을 적극 검토해달라"라는 질의에 "빠른 시간 내에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열심히 하고 있고, 좋은 소식을 곧 전해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3. 2025년
3.1. 1분기
- 1월 7일
- 1월 8일
- 전자신문의 단독 기사에 따르면, 신한카드, 내달부터 애플페이 연동 현재 신한카드는 Apple Pay 연동을 위해 막바지 테스트 작업을 진행 중이며, 이미 현대카드에서 애플페이를 도입할 때 인프라 개발을 모두 했기 때문에 신한카드와 기술적인 연동은 빠른 시일 내에 마무리될 것으로 빠르면 2월부터 Apple Pay 사용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 디지털데일리의 기사에 따르면, 현대카드 이어 신한카드도 '애플페이' 서비스 추진…이르면 2월부터, 수익 배분율 등은 비공개 이르면 2월 연동 예정이라는 내용은 동일하며, 카드 수수료 및 수익 배분율등은 현대카드와 마찬가지로 비공개라고 밝혔다.
- 1월 9일
- 1월 10일
- 메트로신문의 기사에 따르면, 애플페이 놓고 '동상이몽'…신한카드 애플페이 진입 "판 흔들까?" 금융업계에 따르면 이르면 내달 신한카드의 애플페이 도입 관측을 하고 있는 상황이며 신한카드는 "이와 관련해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 없다"라고 의견을 밝혔으나 업계에서는 과거 현대카드 사레처럼 애플과의 비밀유지조항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최근 취임한 박창훈 신한카드 사장의 취임식에서 결제시장 내 경쟁력 구축을 강조한 것이 도입설에 힘을 더 한다고 밝혔다.
- 데일리한국의 기사에 따르면, 신한카드도 국민카드도 애플페이 도입 만지작..고객 니즈 매년 증가 앞선 매체들의 2월 신한카드 애플페이 도입설에 신한카드 관계자는 관련부서에 확인했지만, 관련부서에서는 금시초문이라고 답변했으며 카드사 관계자는 애플페이 도입에 대한 필요성은 느끼지만, 수수료 부담과 애플과의 협상이 지지부진하여 타 카드사의 진출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 뷰어스의 기사에 따르면, "좀 늦었지만"... 애플페이 노리는 카드사들 신한카드 애플페이 도입을 기정사실로 관측하고 있고 카드사들의 플랫폼 경쟁을 두고 삼성카드와의 순이익 차이가 200억원 가량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페이먼트 분야의 위기감을 느껴 박창훈 신한카드 사장의 취임사 발언 중 "과거의 모든 정책들이 앞으로도 유효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고객 관점에서 작은 불편함도 없애는 페이먼트 프로세스 혁신, 스캔들 제로, 시장 지위의 확대에 따른 지속 가능한 수익성 창출 세 가지만이 카드사의 존재 이유"라고 강조했다.
- KPI뉴스의 기사에 따르면, 신한카드, 다음달 '애플페이' 도입할 듯…"신규 고객 효과" 카드업계 관계자는 "신한카드가 애플페이 연동을 위해 막바지 작업에 돌입한 것으로 안다"며 "애플에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율이 높아 카드사들이 도입을 망설여왔지만, 애플페이 지원 단말기 수가 늘고 새로운 고객층 확보를 위해 타 카드사들도 점차 도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으며 "애플페이를 도입해도 수수료가 높아 수익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며 "신한카드가 애플페이 도입을 확정지으면 신규 고객 유입에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1월 12일
- 전자신문의 기사에 따르면, 애플페이, 국내 교통카드 연동 '좌초'…수수료 협상이 관건 티머니 애플페이 도입이 수수료 문제로 인하여 사실상 좌초된 것으로 보인다. 교통카드 결제 구조는 이미 역마진 문제로 카드사가 적자를 보고 있는데다 티머니의 주요 주주인 서울특별시는 외국계 기업인 애플에게 정부 예산이 흘러가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업계 관계자는 “애플, 카드사, 티머니가 모두 양보해도 협상 체결은 쉽지 않다”며 “만약 애플이 낮은 수수료를 제시하더라도 카드사는 추가 손해를 이어가야 하고, 티머니는 수익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1월 13일
- 시사오늘의 기사에 따르면, 신한카드, 애플페이 도입하나?…수수료 장벽은 여전 국내 카드사들이 현재 블루오션인 애플페이 시장 선점을 위해 도입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높은 수수료와 저조한 NFC 지원 단말기 보급률등의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신한카드의 애플페이 도입이 지연 될 가능성이 있고, 신한카드 관련 부서는 "사실관계 확인이 어렵다"고 밝혔다.
- 1월 16일
- 뉴시스의 기사에 따르면, 신한도 애플페이 된다…교통카드는? 신한카드가 이르면 다음 달부터 애플페이를 서비스 할 계획이며, KB국민카드 또한 애플페이 연동을 검토하고 있지만, 교통카드 도입에 관해서 기술적인 과제는 모두 해결했지만 티머니와 카드업계간의 수수료 협상 문제로 연동이 지연되고 있다고 밝혔다.
- 1월 17일
- 1월 22일
- 1월 28일
- 2월 4일
- 전자신문 기사에 따르면, 토스뱅크, 상반기 애플페이 도입…인뱅 최초 연동 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토스뱅크와 하나카드가 애플과 협의를 마쳤으며, 이르면 상반기 내 애플페이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토스뱅크 카드는 하나카드가 대행 발급하고 있어, 토스뱅크는 하나카드의 결제망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카카오뱅크는 KB국민카드와 협업하고 있으나, 애플페이 연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KB국민카드가 애플페이 서비스를 시작하더라도 카카오뱅크 카드는 등록이 불가능하다. 업계에 따르면 교통카드 기능 부재가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1] 다른 아이콘은 4.0 버전에도 있었는데, 5.0 최신 버전에서 새로운 아이콘(wonsign.arrow.circlepath)이 하나 더 추가된 것이다.[2] 이 로케일 애플릿이 추가된 것은 iOS 17 베타 당시 tmoney 속성과 함께 추가됨.[3] 실제로 한국 추가 도입에 대해 부정적으로 다룬 기사에서도 교통카드 기능은 티머니와 협력해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고 언급하였다.[4] 와이파이 아이콘을 옆으로 눕힌 듯한 아이콘을 칭한다.[변경디자인] [이전]
iPhone 안의 현대카드로
쉽고 안전하고 재빠르게
Apple Pay[이후]
이제 iPhone이 당신의 지갑
Apple Pay[8] 여담이지만 잇섭이 꿈이라고 언급한 경우는 대외비가 섞인 정보 소스인 경우가 많았다.[9] 9월 2일을 기준으로 아직도 없어지지 않았다.[10] 정황상 수수료 협상이 아닌 출시시기 조율 협상으로 보인다.수수료 협상이 안 끝난거면 준비됐다고 할 수가 없으니까 즉 출시시기 협상만 끝나면 바로 출시할 수 있다는 뜻. 어디까지나 루머지만 애플은 iPhone 16 시리즈 출시 때 론칭을, 티머니 측은 11월 후불 기후동행카드 정식출시 때 론칭을 원하는 카더라가 있다.[11] 바로 위의 잇섭 댓글처럼 출시시기 협상만 남았다는 기조로 보인다.[12] 1월 7일에 해당 공문을 발송했고, 기사는 8일에 발표 되었다.[13] 기술적 협력 방안 마련, 정책적 지원(수수료 조율 등), 서비스 도입 일정 계획 수립 및 발표 등에 대한 협조 요청 공문이다. 다만, Apple Wallet내 기술적인 부분은 이미 Apple이 티머니규격을 수용한 상태이다.[14] 위 사진은 FANtastic S 체크 (LoL) 카드를 PayPal에 등록시킨 화면이다.
iPhone 안의 현대카드로
쉽고 안전하고 재빠르게
Apple Pay[이후]
이제 iPhone이 당신의 지갑
Apple Pay[8] 여담이지만 잇섭이 꿈이라고 언급한 경우는 대외비가 섞인 정보 소스인 경우가 많았다.[9] 9월 2일을 기준으로 아직도 없어지지 않았다.[10] 정황상 수수료 협상이 아닌 출시시기 조율 협상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