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TUS/스타크래프트 | |
2008년 이전 · 08-09 · 09-10 · 10-11 · 프로리그 시즌 1 · 프로리그 시즌 2 · 12-13 · 2014 · 2015 · 2016 |
1. 2003년 프로리그 원년 KTF EVER 프로리그 ~ 2004년 스카이 프로리그 3라운드
이 때는 슈마 GO 및 GO 시절까지였다. 임성춘이 KTF와 GO를 오가고, 김근백, 최인규가 삼성전자 칸으로 이적하고 김정민이 KTF로 이적하는 등 은근히 멤버 교체가 많았다.프로리그 원년에는 준플레이오프에서 KTF에 패하여 시즌을 마감했지만, 그래도 바로 다음 리그인 네오위즈 피망 프로리그에서 정규시즌 2위에 포스트시즌 우승까지 차지하였고 팀리그에서는 계몽사 팀리그와 라이프존 팀리그에서 연속 우승을 하면서 GO는 당대 최강의 팀으로 유명세를 떨친다. 하지만 프로토스의 한 축이던 강민이 KTF로 이적한 것은 팀에게 있어 큰 타격이었다. 강민은 개인전도 잘했지만, 무엇보다 박태민 - 강민의 무시무시한 팀플레이 조합이었고 서지훈 - 강민이라는 변칙 조합도 큰 성공을 할 만큼 팀플에서도 맹활약하는 등[1] 팀 우승의 원동력이었기 때문이다.
SKY 프로리그 2004 1Round는 4위로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2Round는 머큐리리그[2] 4위, 3Round는 새턴리그 1위를 했음에도 플레이오프에서 KOR을 만나서 2 대 0으로 앞서다가 2 대 3으로 역전패당하여 결승전엔 구경도 못했다... 하지만 LG IBM 팀리그에서는 3위, 투싼 팀리그 준우승, MBC MOVIES 팀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GO는 강건함을 여러모로 자랑했다.
2. 2005년
이때도 GO 시절. 전상욱과 박태민이 SKT T1으로 이적했다. KTF와 SKT의 영입러시와 고연봉 계약 소식이 연이어 들려왔지만, GO는 여전히 스폰서를 못 잡아서 우승 상금과 감독 사비로 연명하는 팀이었다. 조규남은 "패션에서만큼은 기 죽으면 안 된다."라는 지론을 내세웠고, 가난해도, 유니폼은 멋있는 구단이란 이미지가 강했다. GO가 가장 우승을 많이 했던 팀리그가 폐지되고 프로리그만 남았던 것도 GO 입장에서 나름 아쉬울 수밖에 없었다.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는 정규시즌 3위를 하였고, 플레이오프에서 SKT T1을 만나서 탈락하였다. 그리고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에서는 또 정규시즌 3위를 하였음에도 이번에는 삼성전자 칸을 만나서 4대3으로 석패하였다... 그리고 그랜드 파이널 포스트시즌[3]에서는 준플레이오프에서 삼성전자에게 4 대 0으로 복수를 하였지만 플레이오프에서 KTF 매직엔스를 만나서 2대4로 져서 그랜드 파이널 진출에는 실패한다.3. 2006년
조규남 감독은 올 해도 스폰서를 못 잡으면 팀을 해체하겠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서지훈이 "중소기업보다는 반드시 대기업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감독에게 말을 했다. 폭탄 선언이자 배수진이었지만, 다행히도 이 방법이 먹혔다. 그래서 2006년은 1~4월까지만 GO였고, 이후부터는 CJ 엔투스란 이름으로 시즌을 시작하게 된다. 전기리그는 정규시즌 2위를 차지하였으나 플레이오프에서 MBC GAME HERO를 만나서 패배하여 결승 진출에 실패하였고, 후기리그에서는 정규시즌 1위를 하였지만 또 MBC GAME HERO를 만나 2대4로 패배하여 준우승을 차지하였다.[4]4. 2007년 ~ 2008년 상반기
2007년에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에서는 이재훈, 김환중, 이주영 등의 군입대로 인한 공백 때문이었는지 6위를 기록하며 포스트시즌 진출에 아쉽게 실패하였다. 하지만 후기리그에서는 3위로 마감함과 동시에 2시즌만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으며, 하이트 스파키즈와의 준플옵에서 마서스의 역전으로 4대3으로 승리. 기세를 몰아 MBC GAME HERO와의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플레이오프에서는 1대3으로 매치포인트로까지 크게 뒤지게 됨과 동시에 한판만 더 내면 결승에 못 올라갈 수 있었으나, 박영민의 승리[5]로 반전의 기회를 잡음과 동시에 팀플레이에서의 승리, 김자X가 1세트에서 염보성에게 패배한 것을 그대로 돌려주며 4대3으로 기적에 가까운 대역전승을 이루며 2006년에 물먹인 것에 대한 복수로 결승에 진출.[6] 결승전인 르까프 오즈 전에서는 모두가 선전했음에도 불구하고 4대2로 패배했지만, 선수단의 눈물은 많은 이들로부터 감동받았다고 전해진다.시즌이 끝난 뒤 장육이 은퇴하였고,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에서는 CJ를 상징했던 고참 선수들인 마재윤, 변형태, 서지훈, 박영민 등이 부진을 면치 못하였으며[7], 또한 이 때는 부족한 토스라인의 영입을 하거나 신인 토스를 더 키워내야 하였었는데, 오히려 저그 라인의 영입에 고집을 부린 나머지 한빛 스타즈의 대인배 김준영을 영입하는 실수를 저질러 버렸다. 물론 그마저도 실패로 끝났으며[8], 결국 9위라는 최악의 성적표를 내고 만다.[9]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뚝이처럼 다시 일어서는 팀인 것은 확실하며, 08-09 시즌이 시작되면 어떨지 미지수.
[1] 피망컵 당시 강민 - 서지훈 팀플 조합은 4승 1패를 기록했다.[2] 2004 프로리그 시즌에는 새턴리그와 머큐리리그의 양대리그가 존재했었다.[3] 2005년 시즌은 SKT T1이 전기, 후기 통합우승을 하였지만 어째서인지 후기리그 2~4위를 모아놓고서 그랜드 파이널에서 SKT T1과 상대하게 하였다.[4] 유독 e스포츠는 정규시즌 1위를 하여 결승에 진출한 팀들이 준우승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kt 롤스터도 KTF 매직엔스 시절에 전승으로 정규시즌 우승을 차지한 적이 있음에도 포스트시즌에서 준우승을 차지할 정도니... 정규시즌 1위가 당연히 포스트시즌에서 우승한다는 생각을 팬들도 잘 안할 정도다.[5] 이 때 상대는 고석현이었다.[6] 1세트 몬티홀 전을 가끔 재방송해줬는데, 자막은 7세트처럼 써 있었다. 아마도 자막실수는 아닌 것 같고 영상을 잘못 내보내는 것 같다. 7세트의 전술적인 움직임이 상당히 볼만하니 일견을 권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이제는 의미가 다 퇴색되어 버렸다.[7] 굳이 이들이 아니더라도 CJ는 이 시즌에 대부분의 선수들이 부진하였던 상태였다. 그 와중에도 팀플레이만큼은 좋은 모습을 보였었다. 그리고 서지훈은 시즌 중반까지만 하여도 5전 전승을 기록하는 등 그나마 잘 나갔으나, 막판부터 4연패로 시즌을 마치고 말았다. 또한 마레기는 팀플레이와는 달리 개인전에서는 2전 전패만을 기록하였다. 개인리그 쪽에서는 에버 스타리그 2008에서는 24강에서 2연패로 광탈, Arena MSL 2008에서는 1승 2패로 역시 광탈하였다. 참고로,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는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으로 영구제명될 때까지 다시는 스타리그에 복귀하지 못하였다.[8] 김준영은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내내 부진하였는데, EVER 스타리그 2007 이후로 2시즌만에 온게임넷 스타리그에 복귀한 EVER 스타리그 2008에서는 16강에서 3전 전패로 광탈, 프로리그에서 승리한 경기라고는 2008년 4월 26일에 있었던 eSTRO의 김민구와의 경기 승리 하나 뿐이었다. 그나마 예외가 있다면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4강이나, 이 대회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초반에 있었던 대회였는지라... 그리고 김준영은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1라운드 중에 웅진으로 돌아갔다. 다만, 이 때 CJ가 김준영을 영입한 데에는 조규남과 이재균 간 깊은 친분을 바탕으로다가 위탁 형식으로 맡았었다고 한다. 이후 김준영은 기존 소속팀이 웅진으로 재창단한 이후로 안정화가 되면서 다시 돌아갔다.[9] 이전에도 CJ는 선술하였듯이 신한은행 전기리그 2007에서 4위권 밖으로 밀려나며 탈락한 적이 있었다. 이때 4강 진출자는 STX SouL, MBC GAME HERO, 르까프 오즈(現 화승 오즈), 삼성전자 칸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