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22:02:54

Creatures of Sonaria/이벤트/2022


||<-3><width=100%><table bordercolor=#000080><tablebgcolor=white><tablealign=center><#000080> 파일:CoS_newlogo.png
||
[ 크리처 ]
🦖크리처 목록
(1티어2티어3티어4티어5티어)
[ 능력 및 효과 ]
⚔️액티브 능력 ・ 🛡️패시브 효과
(상태이상)
[ 게임 플레이 ]
🎮공략 ・ 🧬돌연변이 ・ 📋임무
⛈️계절 및 날씨 ・ 🍖먹이 ・ ⛰️지형
🤝거래 ・ 🛍️상점
[ 수집 요소 ]
🔥아티팩트 ・ 🧸인형 ・ 🍄재화
🏅칭호 ・ ❤️토큰 ・ 🎨팔레트
[ 이벤트 ]
🎄이벤트
(2020~20212022
20232024)
[ 기타 ]
🛠️리코드 출시 이전 정보 ・ 🗑️삭제 및 취소 콘텐츠

1. 개요2. 목록
2.1. 2022 밸런타인 이벤트2.2. 2022 부활절 이벤트
2.2.1. 에그2.2.2. 보스전
2.3. 2022 LSS 이벤트
2.3.1. 임무 시스템
2.4. 2022 여름 낙원 이벤트2.5. 2022 핼러윈 이벤트
2.5.1. 보스전
2.6. 2022-2023 겨울 이벤트
2.6.1. 기프트

1. 개요

Creatures of Sonaria에서 2022년에 시작된 이벤트를 나열한 목록.

2. 목록

2.1. 2022 밸런타인 이벤트

파일:CoS_2022Valentines_icon.png 파일:CoS_2022Valentines_icon_pt2.png
시작일: 2022년 2월 12일
종료일: 2022년 2월 26일

2022년 2월 12일에 시작된 이벤트. 2021년 밸런타인 이벤트 때 나왔던 세 종류의 밸런타인 테마 크리처가 복각될 예정이며 2종류의 신규 이벤트 크리처가 추가되었다.

핼러윈 이벤트와 2021 겨울 이벤트처럼 이벤트 전용 재화가 나올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 달리 2021 밸런타인 이벤트 때와 동일하게 뽑기를 사용하며, 크리처 보유 수를 제외한 해금 조건 또한 존재하지 않아 그저 슘을 사용해 뽑기만 하면 된다.

비록 이전 밸런타인 이벤트의 시스템을 그대로 가져왔지만 이전의 핼러윈 및 겨울 이벤트를 생각하면 심히 간소화된 수준인데, 이에 대해서 게임 관계자 한 명이 "이번 이벤트는 개발자들에게 충분한 휴식을 주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또한 다른 이벤트와 달리 오직 파트 2까지만 진행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는데 대신 파트 2를 2주 이상 진행할 것이라 밝혔다.

2.2. 2022 부활절 이벤트

파일:CoS_2022Easter_icon.png 파일:CoS_2022Easter_icon_pt2.png
파일:CoS_2022Easter_icon_pt3.png
시작일: 2022년 4월 16일
종료일: 2022년 5월 7일

2022년 4월 16일에 시작된 이벤트. 2021년 부활절 이벤트 때 나왔던 세 종류의 부활절 테마 크리처가 복각될 예정이며 세 종류의 신규 이벤트 크리처가 추가될 예정이다. 이벤트는 파트 3까지 진행된다.

2022 밸런타인 이벤트 때 사라졌던 이벤트 전용 재화가 다시 부활하였으며 플레이어들은 게임 플레이 중 얻을 수 있는 이벤트 전용 재화를 이용하여 이벤트 크리처, 이벤트 인형, 스페셜 팔레트를 구매할 수 있다. 보스전 또한 새로운 형태로 부활하였다.

부활절 이벤트의 주요 콘텐츠인 보스전은 원래 이벤트 시작과 함께 열릴 예정이었으나 개발 도중 버그와 최적화 문제 등으로 인해 일주일 미뤄진 뒤에야 열렸다.

2.2.1. 에그

파일:CoS_EventEggs.png
이벤트 전용 재화인 에그

에그(Egg)는 부활절 이벤트에 사용할 수 있는 이벤트 전용 재화이다. 일반적으로 에그는 맵 곳곳에 무작위로 스폰되며 각각 다양한 색상을 띠고 있다. 맵에 존재하는 에그 하나를 주울 때마다 2에그를 얻을 수 있으며, 부활절 이벤트 인형인 봄숫양을 착용한 상태라면 5에그를 얻을 수 있다.

에그는 둥지를 만들어 다른 플레이어를 초대하는 것으로도 얻을 수 있다.[2] 둥지 초대 시 50에그를 얻을 수 있으며, 부활절 이벤트 인형인 봄숫양을 착용한 상태라면 60에그를 얻을 수 있다. 만약 알 껍데기 인형도 착용한 상태라면 둥지 생성 시 부화 가능한 알 2개를 즉시 충전해주기 때문에 효율이 더욱 좋아진다.

다만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인지 부활절 이벤트 이후로 둥지 생성 후 10분 가량의 쿨타임이 지나야 다시 둥지를 만들 수 있는 패널티가 생겨버렸다. 이벤트 1주차 때는 게임에 재접속한다면 버그로 인해 둥지 재생성 쿨타임이 초기화되기도 했었는데 이를 활용하여 더 많은 에그를 얻을 수도 있었지만 2주차 업데이트 이후 막혔다.

보스전 클리어 시에도 에그를 얻을 수 있다.

2.2.2. 보스전

파일:CoS_2022EasterBoss.png
부활절 보스(큰 쪽)와 미니언(작은 쪽)

2021년 때와 달리 거대한 버프 율로피 대신 토끼와 전갈을 합친 듯한 형태의 보스 및 미니언이 보스전에 나온다. 미니언은 2~3티어 크리처만큼 작지만 보스는 5티어 수준으로 상당히 거대하다. 보스는 기다란 꼬리를 통해 상대를 찍어누르는 듯이 공격한다.

안타깝게도 보스와 미니언은 보스전 보상으로 나오지 않는다. 이는 보스와 미니언의 모델이 플레이 가능한 크리처와 달리 메시(Mesh) 기법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이 플레이 가능한 크리처로 나온다 해도 게임 내 여러 시스템들과 호환되기 힘들 것이다.[3]그런데 진짜로 플레이어블 크리쳐로 출시됐다![4]
파일:CoS_BossPortal.png 파일:CoS_PortalEgg.png
보스전 아레나 포탈 포탈에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전용 에그

2021년 때와 마찬가지로 보스전을 하기 위해서는 맵 중앙에 위치한 포탈에 진입할 필요가 있다. 다만 바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줄무늬가 그려져 있고 일반 에그보다 조금 더 큰 특수한 에그를 5개 이상 수집해야 포탈에 들어갈 자격이 생긴다. H키를 눌러 냄새 맡기를 하면 노랑색 줄이 표시되는데 이를 따라가면 특수 에그를 찾을 수 있다.

일단 특수 에그 5개를 전부 모았다면 메뉴로 들어가거나 크리처가 사망한 뒤에도 얼마든지 포탈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게임 재접속 시 수집한 에그가 초기화되기 때문에 다시 수집해야 할 필요가 있다.

2.3. 2022 LSS 이벤트

파일:CoS_LSS_icon.png 파일:소나리아.png
시작일: 2022년 5월 21일
종료일: 2022년 6월 4일

2022년 5월 21일에 시작된 이벤트. LSS는 Land, Sea, Sky의 약자이다. 의역하면 육해공인 셈. 제목처럼 육지, 바다, 하늘과 관련된 크리처 3종류를 얻을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육해공(하늘 반수생) 속성의 노부스 워든을 해금할 수 있다.

이벤트 크리처 4종류를 전부 해금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임무와 함께 누적 35,000슘이라는 어마어마한 액수가 필요한데, 이는 이전 부활절 이벤트에서 잘못 설정된 보스전 보상으로 인해 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자 이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부활절 이벤트에 참여하지 못한 유저나 신규 유저라면 당연히 이만한 금액을 모았을리 전무하므로 논란이 많은 이벤트이기도 하다. 일단 개발자들은 슘이 부족한 유저들을 위한 별도의 구제용 퀘스트 콘텐츠를 업데이트할 예정이라고 하니 이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2.3.1. 임무 시스템

파일:CoS_LSSmenu.png
왼쪽부터 테라, 운다, 아이리우스, 옴니스 임무

메인 메뉴의 "DONATE FOR REWARDS" 또는 게임 화면의 별 모양 아이콘을 누르면 LSS 임무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LSS 크리처를 얻기 위해서 슘 기부가 반드시 필요하며, 누적 35,000슘을 기부하면 모든 LSS 크리처를 얻을 수 있는 조건 중 하나를 달성하게 된다. 또한 기부 금액은 누적되기 때문에 모든 LSS 크리처가 동일하게 공유한다. 예를 들어 위그드라그스틱스를 얻기 위해 2,500슘을 기부했다면 2,500슘이 그대로 누적되며, 이에 따라 오라론을 얻기 위해서는 7,500슘을 기부하면 된다는 것.

4종류의 임무를 모두 달성한다면 임무가 초기화되며, 다시 슘을 기부하고 임무를 재완수하는 것으로 LSS 크리처를 다시 얻을 수 있다. 다만 노부스 워든은 오직 하나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재도전해도 다시 얻을 수 없다.

5,000슘을 기부할 때마다 랜덤한 종류의 일회용 팔레트 또는 토큰을 받을 수 있다.

LSS 임무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4. 2022 여름 낙원 이벤트

파일:CoS_Summer_icon.png 파일:CoS_Summer_icon_pt2.png
파일:CoS_Summer_icon_pt3.png
시작일: 2022년 7월 9일
종료일: 2022년 7월 30일

2022년 7월 9일에 시작된 이벤트. 공휴일 이벤트가 아니지만 신규 이벤트 크리처 4종이 추가되었다.

이벤트 크리처들은 따로 슘이나 이벤트 재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예냐샤와 함께 추가되었던 임무 시스템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각 크리처마다 배정된 4개의 임무를 전부 완수하기만 하면 바로 얻을 수 있으며, 임무 완수 후 24시간이 지난 뒤에 다시 도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벤트 평가는 좋은 편이다.

여담으로 파트 3의 아이콘을 담당한 크리처는 이벤트 크리처인 덴지가 아니라 같이 나왔던 로테이션 상점 전용 크리처인 파라헥실리안이다.

2.5. 2022 핼러윈 이벤트

파일:CoS_2022Halloween_icon.png 파일:CoS_2022Halloween_icon_pt2.png
파일:CoS_2022Halloween_icon_pt3.png 파일:CoS_2022Halloween_icon_pt4.png
시작일: 2022년 10월 16일
종료일: 2022년 11월 12일

2022년 10월 16일에 시작된 이벤트. 2021년에 나왔던 4종류의 핼러윈 크리처, 인형 및 팔레트가 복각될 예정이며, 2종류의 신규 핼러윈 크리처가 추가된다고 한다.

기본적으로 2021년 때와 같이 위스프를 이벤트 재화로 사용하지만 몇 가지 변경점이 존재한다.

여담으로 이벤트 1주차에는 신규 핼러윈 크리처가 없어서인지 이벤트 시작과 함께 출시되었던 로벅스 상점 크리처인 바젤리가 게임 아이콘을 담당하였다. 4주차에는 돌연변이 뽑기 크리처인 제놀리프가 담당.

2.5.1. 보스전

파일:CoS_HalloweenBoss.png
핼러윈 보스와 미니언 콘셉트 아트

부활절 이벤트 때와 마찬가지로 2022 핼러윈 이벤트에도 보스전이 추가되었다. 보스의 이름은 로사(Rosa)이며 설정 상 미혼모이면서 무성애자라고.(...) 2022 부활절 보스와 마찬가지로 메시 형태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플레이 가능한 크리처로 나올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보스전 개발을 담당한 프로그래머가 1명이었던 관계로 이벤트 내내 계속 미루다가 4주차가 돼서야 겨우 추가되었다. 그럼에도 버그가 상당히 많은 편이라서 평가는 좋지 않은 편. 특히 위스프를 얻기 위해 보스전을 플레이하는 거라면 차라리 맵을 돌아다니면서 줍는 게 더 빠를 정도다.
파일:CoS_Halloween_BossGate.png
보스전 아레나 포탈

보스전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맵 중앙에 위치한 포탈 근처에 있어야 한다. 보스전 진입 전 따로 수집해야 할 오브젝트 같은 건 없지만 대신 다른 유형의 조건이 붙는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공략 내용 참조.

2.6. 2022-2023 겨울 이벤트

파일:CoS_2022Christmas_icon.png 파일:CoS_2022Christmas_icon_pt2.png
파일:CoS_2022Christmas_icon_pt3.png
시작일: 2022년 12월 17일
종료일: 2023년 1월 7일

2022년 12월 17일에 열린 이벤트. 이전 2021년 겨울 이벤트와 비슷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몇몇 차이점이 존재한다.

맵 일부가 눈이 쌓인 것처럼 하얗게 변경되었으며, 맵 중앙에 산타 썰매와 순록 장식이 배치되어 있다.

2.6.1. 기프트

파일:CoS_Gift.png 파일:CoS_FallenStar.png
기프트를 얻을 수 있는 선물상자 2종류(왼쪽)와 별똥별(오른쪽)

2021년 겨울 이벤트 때와 마찬가지로 맵 곳곳에 스폰되는 선물상자를 먹거나 희귀하게 스폰되는 별똥별을 부수는 것으로 이벤트 재화를 얻을 수 있지만 이번에는 벨이 아닌 기프트(Gift)라는 재화가 나온다.

또한 선물상자는 서로 색이 다른 2종류의 유형이 나오는데,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퀴즈 유형은 아래와 같다.

파일:CoS_Eventquiz_unscrambler.png파일:CoS_ShapeGuessing.png
[1] 한 번 뽑으면 뽑기 목록에서 사라진다.[2] 둥지에 초대받은 플레이어는 에그를 얻지 않는다.[3] 색상 커스텀을 예로 들면, 일반 크리처들의 경우 모델이 도형 파츠 여러 개가 합쳐진 형태이기 때문에 파츠별로 자유로운 색상 커스텀이 가능하지만 메시 모델은 일종의 "통짜" 모델이기 때문에 게임 내 색상 커스텀 시스템과 호환될 수가 없다.[4] 기존에 통짜 형태의 모델로 나오진 않았고 시스템과 호환돼게끔 만들어 출시했다[5] 라틴어로 '땅'을 뜻한다.[6] 라틴어로 '파도'를 뜻한다.[7] 라틴어로 '공중'을 뜻한다.[8] 화면 왼쪽 하단에 밝은 녹색 집 모양의 아이콘이 뜨는 곳이 대피처이며, 주로 동굴과 같이 좁은 공간에 들어가면 쉽게 뜬다.[주의] 계절 및 날씨가 다른 종류로 변경되어야만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그러니깐 계절이 봄으로 바뀌었다고 바로 봄을 겪은 것으로 취급되는 게 아니라 봄에서 다른 계절로 넘어가야지 봄을 겪은 것으로 취급된다.[10] 라틴어로 '모든 것'을 뜻한다.[11] 옆이나 뒤에 있어도 맞는다(...)[12] "별똥별이 맵 어딘가에 스폰되었습니다. 기프트를 얻기 위해 찾아서 부수세요(a fallen star has spawned somewhere on the map, find it and break it for gifts)"[13] 그런데 퍼프웜프나 파라헥실리안의 경우 아이콘을 자기 얼굴로 꽉 채우고 있는지라(...) 퀴즈에 나올 때 거의 시꺼먼 상자마냥 나와 헷갈릴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