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닌자고 시리즈 & 마스코트 |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닌자고 (2011) | 그린 닌자고 (2012) | 골드 닌자고 (2013) | 리부티드 (2014) | 티타늄 닌자고 (2015) |
| 카이 | 로이드 | 로이드 | 쟌 | 카이 | |
| 고스트 닌자고 (2015) | 스카이 해적 (2016) | 유령의 날 (2016) | 타임 블레이드 (2017) | 마스터즈 (2018) | |
| 로이드 | 제이 | 콜 | 카이 니야 | 가마돈 | |
| 드래곤 헌터 (2018) | 도깨비 습격! (2019) | 불의 닌자 VS 얼음의 황제 (2019) | 게임 속으로 레벨 업! (2020) | 스컬 던전 속으로! (2020) | |
| 마스터 우 | 카이 | 카이 | 제이 | 콜 | |
| 미지의 섬 (2021) | 미지의 바다 (2021) | 어둠의 크리스털 (2022) | 드래곤 라이징 시즌 1 (2023) | 드래곤 라이징 시즌 2 (2024) | |
| 로이드 | 니야 | 로이드 | 아린 지로 | 카이 에갈트 로이드 모션의 근원의 드래곤 | |
| 드래곤 라이징 시즌 3 (2025) | 닌자고 레전드: 괴물들 (2025) | 카이의 괴물스러운 여정 (2025) | |||
| 쟌 소라 포커스 드래곤 | 카이 | 카이 | }}}}}}}}} |
| <colbgcolor=#c80000>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2023~) Ninjago: Dragons Rising | |
| <nopad> | |
| 장르 | 애니메이션, 액션, 모험, 판타지, 전쟁 |
| 원작 | 레고 닌자고 (레고의 제품 테마)[1] |
| 방송 기간 | 2023년 6월 13일 ~ |
| 방송 횟수 | 미정 |
| 제작 | WildBrain Studios |
| 채널 | 넷플릭스 투니버스 |
| 기획 | 리치 존슨 |
| 더빙 스튜디오 | IYUNO |
| 우리말 연출 | 전소라 |
| 극본 | 크리스 "닥" 와이엇 케빈 버크 |
| 음악 | NinjagoMusic |
| 번역 | 김윤희[2][3], 안인경[4] |
| 우리말 출연 | 김보민, 이새아, 남도형, 신용우, 박지윤, 전숙경, 이광수, 정재헌, 이윤선, 박요한, 방시우, 김도영, 김두희, 엄상현, 소정환, 류승곤, 박성태, 이호산, 윤미나, 이현, 이규창, 김현욱 |
| [[영상물 등급 제도|{{{#fff 시청 등급 }}}]] | |
| |
1. 개요2. 작품 목록
2.1. 시즌 12.2. 원소의 로봇들 쇼츠2.3. 병합된 차원들에서의 이야기2.4. 시즌 22.5. 섀터스핀(만화)2.6. 와일드파이어(시리즈)2.7. 시즌 32.8. 닌자고 레전드: 괴물들2.9. 카이의 괴물스러운 여정2.10. 크로스로드 크로스토크
3. 등장인물4. 평가1. 개요
레고 닌자고의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하나. 레고 닌자고의 리런치 시리즈이다.2. 작품 목록
2.1. 시즌 1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ew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ew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원소의 로봇들 쇼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원소의 로봇들#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원소의 로봇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병합된 차원들에서의 이야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ales from the Merged Realms#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ales from the Merged Realm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4. 시즌 2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시즌 2#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시즌 2#|]]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 섀터스핀(만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섀터스핀(만화)#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섀터스핀(만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6. 와일드파이어(시리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와일드파이어(시리즈)#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와일드파이어(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7. 시즌 3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시즌 3#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시즌 3#|]]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8. 닌자고 레전드: 괴물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닌자고 레전드: 괴물들#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닌자고 레전드: 괴물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9. 카이의 괴물스러운 여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이의 괴물스러운 여정#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이의 괴물스러운 여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0. 크로스로드 크로스토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로스로드 크로스토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로스로드 크로스토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등장인물
- 미스테리움
- 진자고
- 토너먼트 템플 시티
- 로비
- 블렉트
- 스펙트럴 랜드
4. 평가
기존 시리즈의 최종장이였지만 한 순간에 팬들의 민심을 등돌리게 한 전작의 부진을 만회한다는 평을 듣는다. 물론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장점이 대부분이기에 큰 지적을 받지는 않는다.국내 한정으로 비판받는 점은 중복 캐스팅이 예전보다 심해졌으며, 번역의 질도 안 좋아졌다.
[1] 다만 드래곤 라이징부터는 완전히 제품이 원작이다라고 보기 힘든게, 썬더팽 제품의 디자이너가 "그래서 금지된 다섯은 쇼가 제품으로 된거죠? 어떻게 두 팀의 콜라보가 이루어진건가요?"라는 질문에 "디미가 주로 작가들과 협업을 했으며 저희 디자인팀의 리더인 스팬이 스토리를 확인하며 적절하게 디자인을 제작하고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라는 답을 하여 제품이 만들어지기 전, 이미 스토리와 캐릭터들의 설정들이 짜여져있다는것이 밝혀졌기 때문이다.[2] 시즌 1~2[3] 기존 리부티드부터 닌자고를 번역했던 오동희에서 8년 만에 번역가가 바뀌었다.[4] 시즌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