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06:31:31

MBC M

MBC뮤직에서 넘어옴
파일:MBC 플러스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MBC every1 로고 세로형.svg
파일:MBC SPORTS+ 로고 세로형.svg
파일:MBC 드라마넷 로고 세로형.svg
파일:MBC ON 로고 세로형.svg
파일:MBC M 로고.svg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음악채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엠넷 로고.svg 파일:MBC M 로고.svg 파일:SBS M 로고.svg
파일:TV CHOSUN3.png 파일:국악방송 로고.svg파일:국악방송 화이트.svg 파일:mezzo live HD 로고.png파일:mezzo live HD 로고 화이트.png
파일:아이넷TV 로고.png 파일:GMTV 로고.svg 파일:가요TV 로고.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파일:MBC M 로고.svg엠비씨플러스 예능제작센터
MBC PLUS Entertainment Center
}}} ||
<colcolor=#ffffff>
내 손안의 즐거움
<colbgcolor=#00d5e3> 개국 2020년 2월 18일
운영 유형 공영방송, 유료방송
장르 음악 및 예능 전반
본사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596 (장항동)[1]
방송
책임
<colbgcolor=#00d5e3><colcolor=#ffffff>
편성
한백교
광고 김범준
방송
품질
화질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d5e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HD 1080/60i)]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d5e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돌비 디지털 스테레오)]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d5e3,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4 AAC)]
소유 파일:MBC 플러스 로고.svg파일:MBC 플러스 로고 화이트.svg
외부 링크 파일:MBC M 아이콘.svg |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
1. 개요2. 로고3. 연혁4. 프로그램
4.1. MBC 방영 프로그램4.2. 자체 제작 프로그램
5. 비판 및 논란
5.1. MBC GAME 폐국 문제5.2. MBC MUSIC의 대실패5.3. 해외 음악 편성 부실
6. 사건 사고
6.1. ALL THE K-POP 선정성 논란6.2. 어느 멋진 날 VIXX 낙마 사고6.3. 쇼챔피언 투표 초기화 사고6.4. 팬픽(FAN PICK) 오프라인 총점 조작 의혹
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12년 2월 1일에 MBC MUSIC으로 개국해서 2020년 2월 18일에 MBC M으로 브랜드를 바꿔 출범한 MBC 플러스의 음악, 예능 전문 채널.

2. 로고

파일:MBC MUSIC 로고 2012.svg 파일:MBC MUSIC 로고 세로형 2012.svg 파일:MBC MUSIC 로고.svg 파일:MBC MUSIC 로고 세로형.svg 파일:MBC M 로고.svg
1세대 로고 2세대 로고 3세대 로고
2012~2013 2013~2020 2020~

3. 연혁

2011년부터 개국이 논의됐으며, 당시 MBC 사장 김재철과 그의 측근인 MBC PLUS 사장[2]이 음악 채널을 만들기 위해[3] MBC GAME을 폐국하고 그 자리에 MBC MUSIC이라는 이름으로 개국했다. 개국 기념 슬로건은 'I MUSIC U(음악으로 교감하는 너와 나)'. 2012년 2월 1일 오전 5시에 뮤직비디오를 송출하며 개국했다. 이후 오후 6시에 '뮤직 매거진'으로 첫 방송이 이루어졌으며, 1시간 뒤에 '음악의 시대'라는 특집 프로그램을 최초로 방송했다. 링크

이어 2020년 2월 18일부터는 MBC MUSIC을 폐국하고 그 자리에 MBC M으로 재개국했다. 이에 따라 슬로건도 '내 손안의 즐거움'으로 바뀌었다. M이라는 말은 Mobile, Music, More, Media를 뜻하는 표현이다. MBC MUSIC에서 보다 확장된 장르의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채널로 뮤직&엔터테인먼트 콘텐츠와 웹예능, 1인 미디어를 선보이며 주요 타깃층인 디지털 세대에게 크게 어필하겠다는 계획이라고 하며, '동방숲격'을 필두로 한 디지털 오리지널 콘텐츠를 비롯해서 '쇼챔피언'과 '주간 아이돌'[4] 등 기존 MBC MUSIC의 대표 콘텐츠들을 더욱 더 모바일 친화적, 디지털 친화적으로 개편함과 동시에 MBC 플러스가 보유한 여러 채널의 광고 사업과 제작 역량 등을 더해 다양한 파생 콘텐츠를 제작해 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

4. 프로그램

4.1. MBC 방영 프로그램

4.2. 자체 제작 프로그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BC 플러스/프로그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비판 및 논란

5.1. MBC GAME 폐국 문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BC GAME 폐국 사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채널은 개국 초기부터 MBC GAME 폐국 사태로 홍역을 치렀고, 현재까지도 e스포츠 팬들에게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채널로 케이블 방송의 장르 전환은 이전에도 흔히 있어 온 일이지만, 어찌 보면 장르 전환을 두고 기존의 시청자들에게 반감을 사는 등 가장 큰 논란을 일으킨 사례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5.2. MBC MUSIC의 대실패

MBC MUSIC은 개국 자체가 심각한 무리수라는 반응이 많았다. 애초에 사내에서 개국을 추진할 때부터 사내 반대여론도 적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당시 엠넷, MTV, KM 등 선발 음악 채널들이 이미 음악채널계를 선점하고 있었으며, 음악채널과 교집합이 있는 연예/오락 채널에서도 다수의 채널들이 안정적으로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레드 오션인 음악/예능 채널 시장에 무리하게 발을 집어넣는 상황. 또한 이런 선발 주자들조차 음악 콘텐츠 부족으로 인해 아이돌 예능이나 지상파 프로그램 같은 것만 몇 차례씩 재방송으로 우려먹거나, 약간의 자체 음악 프로그램 몇 개만 틀면서 음악 방송이라는 이름값만 간신히 지키고 있는 실정이며, 그 외의 여러 연예/오락 채널도 이런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결국 MBC MUSIC도 이런 선발 주자들의 행보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었다.

2018년 12월에는 재방송이 80%였다가, 2019년 1월 말에서 2020년 2월 MBC MUSIC 폐국 전까지 95%가 재방송이었다. 위에 방영중인 프로그램을 뺀 MBC 예능 프로그램과 자체 제작 예능 프로그램을 재방송으로 계속 때우고 있는 듯했다. 게다가 2019년 들어 연예계의 계속되는 사건사고들, 한국 아이돌 업계의 부조리, 음원 사재기 논란, 아이돌(특히 걸그룹)들의 화제성이 떨어지면서 시청률 등의 지표에서 지속적으로 부진하였다. 결국 MBC every1의 하위 채널 수준으로 전락했다.

결국 2020년 2월 18일에 MBC MUSIC을 폐국하고 그 자리에 MBC M을 재개국했다. 방탄소년단, BLACKPINK 같은 최정상급 아이돌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이돌들의 부진(음원, 화제성, 갤럽 등),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고, 더군더나 아이돌 팬덤의 주 구성층인 10~20대의 TV 이용률은 끝도 없는 하락세이므로 더 이상의 시청률 상승은 기대할 순 없는데다 유튜브에서 돈을 벌어온다고 한들 본 채널은 여전히 적자를 내고 있는 것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보여주는 것이 주간 아이돌, 쇼챔피언 등 음악 방송들도 관심, 화제성이 하락하면서 점점 이 채널의 존재 의의가 사라져 가는게 현실이다.

재개국 이후에도 음악 방송 시절의 흔적은 남아 있었으나 2021년 들어서는 주간 아이돌[6], 쇼챔피언 및 비하인드를 제외한 모든 음악방송을 중단하고 무한도전이나 나 혼자 산다 재방송만 편성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일주일 동안 방송되는 음악방송은 주간 아이돌, 쇼챔피언 및 비하인드 등 2개에 불과하다. 방과후 설렘, 복면가왕 재방송이 있었지만, 방과후 설렘이야 기간 한정 오디션 프로그램이고 그나마 해 주던 복면가왕 재방송마저 편성표에서 사라졌다.[7] 이전까지는 무한도전이나 거침없이 하이킥을 방영하는 것에 대해서 그냥 재방송의 느낌으로 가는 느낌이였다면, 2022년 들어서 대놓고 '무한도전은 MBC M'이라는 광고를 하면서 무한도전 무한 재방 전문 채널로 갈 모양새이다. 이는 거침없이 하이킥도 비슷한 광고를 하는 중.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1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3. 해외 음악 편성 부실

다른 음악 채널들도 마찬가지겠지만, 브릿지 프로그램인 'POP OF THE MONTH' 정도를 제외하면 POP, J-POP 등의 해외 음악 방송이 거의 없다. 한국 음악 쿼터제 때문에 어쩔수 없었겠지만 해외 음악 팬들에게는 아쉬운 부분. 한국 음악이 그만큼 내수시장을 충족했다는 방증이기는 하겠지만. 적어도 1주일에 1시간 정도라도 틀어줬다면 그래도 다른 음악 채널과 차별화된 요소를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1
, 2.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6.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6.1. ALL THE K-POP 선정성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올 더 케이팝 문서
번 문단을
선정성 비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어느 멋진 날 VIXX 낙마 사고

어느 멋진 날 시리즈의 하나로 방송되었던 VIXX의 어느 멋진 날 4화에서는 제작진의 안전 불감증을 제대로 보여주는 사고가 일어났다. 문제가 된 해당 방송분에서 빅스의 멤버들이 승마 체험을 하는 가운데 이를 헬리캠으로 담아내려는 시도를 했는데, 문제는 이 헬리캠의 소리로 인해 작은 소리에도 민감한 말들이 놀라버린 것. 그로 인해 멤버들이 타고 있던 말들이 흥분해서 날뛰는가 하면 심지어 켄은 말에서 떨어지는 사고를 당하기까지 했다!! 다행히 엉덩방아에서 그쳐서 크게 다치지는 않은 듯 하였으나[8] 켄은 이 이후의 스킨 스쿠버 체험도 포기하고 저녁식사 때도 당시 상황에 대해 아무 것도 생각이 안 난다고 말했을 정도였으니 그 후유증이 엄청났을 듯 하다.

게다가 이런 아찔한 상황에서도 제작진은 그 낙마 사고 장면에 집중선을 집어넣는가하면 사람 걱정은 안중에도 없는 채 헬리캠 하나 못 썼다고 "망했다"란 자막을 삽입하여 장비 걱정에 자기들 촬영분량 걱정부터 하질 않나, 나중에 그 낙마 순간을 다시 보여주면서 "빵 터졌다" 라던가 "개인 소장할게" 따위의 자막을 삽입하는 등으로 자칫 잘못하면 한 사람의 생명이 위태로웠을 일을 웃음 요소랍시고 희화화시키는 짓거리를 저질러버렸다. 승마 체험 당시 안전 장비를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는 것에서도 비판을 받았지만 그보다도 한 사람의 생명이 위태로웠을 일을 재밌다고 하는 것에 당연히 여러 인터넷 기사들에서도 이에 대해 제작진의 안전 불감증을 비판했을 뿐만 아니라 해당 프로그램 홈페이지에서도 시청자들의 무수한 평점 테러를 당했다.

그리고 빅스의 어느 멋진 날 종영 후 새 시리즈가 나오지 않는 등 한동안 재방송을 돌리다가, 그것도 없어진 상태. 이후 AOA걸스데이 편이 제작, 방송되었다.

6.3. 쇼챔피언 투표 초기화 사고

2015년 8월 4일에는 자사에서 진행하는 음악 프로 쇼챔피언의 8월 2주차 투표가 초기화되는 사고가 벌어졌다. 쇼챔피언 측은 3년만에 컴백한 원더걸스의 새 앨범명(REBOOT)을 투표 항목명에 입력했는데, 이걸 컴퓨터가 프로그램 명령어로 잘못 인식하는 바람에 벌어진 일이라며 기존에 투표한 ID의 재투표가 가능하다는 공지를 올렸다. 기사 바로가기

6.4. 팬픽(FAN PICK) 오프라인 총점 조작 의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구현 문서
번 문단을
오프라인 총점 조작 의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기타

개국 당시 후원사는 벅스였으며, 이로 인해 쇼챔피언을 비롯한 자체 프로그램에 벅스의 PPL이 삽입되었다. 이후 2013년부터는 (멜론 뮤직 어워드를 공동 개최하는) 로엔엔터테인먼트와 가까운 사이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2018년 4월부터 쇼챔피언지니뮤직의 PPL이 삽입되고 MBC 플러스 지니뮤직 어워드가 런칭되는 등 지니뮤직과 가까운 사이를 갖고 있는 듯하다.

개국 당시 홍보 모델이 박신혜였으며, 이 당시 개국을 알리는 홍보 CF에 출연했고 이후 그 여자 작사 그 남자 작곡에도 출연했다. 2013년 말 드라마 상속자들이 흥행하면서 한동안 개국 당시의 홍보 CF가 몇 차례 더 송출되기도 했다.

MBC 스포츠플러스와 분장실을 같이 사용한다고 한다. 엠스플 서형욱 해설위원 트윗.

개국 초에는 프로그램이 부족해서인지 새벽에 MBC GAME의 자체 콘텐츠인 '아이유의 스타4U'를 튼 적이 있다. 2012년 채널 중반 개편을 하면서 월~금요일에 방송하는 '루시드 폴의 리모콘'같은 주요 프로그램을 오전/오후 11시에 두 번 씩 본방송을 실시한 바 있다. 이후에는 자체 프로그램과 MBC 본사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OBS에서 방송된 '나는 전설이다'[9]TV CHOSUN에서 방송된 '이문세와 떠나요! 비밥바룰라' 등 다른 곳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이 편성되기도 했다.

2016년 3월 MBC SPORTS+ 2가 개국하기 전까지 자매 채널인 MBC 스포츠플러스, MBC QueeN[10]만으로 스포츠 중계가 감당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 채널이 스포츠 중계 셔틀을 뛰기도 했다. 이후 2017년에는 'NCT LIFE', 'VICTON's Born 아이덴티티' 등 외부에서 제작된 아이돌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iMBC에서 제작한' TWICE TV 5'도 편성되었다. 4월에는 영암모터락페스티벌을 중계했다.

아침에 시계가 노출되고 있는 MBC 플러스의 채널 중 하나이다. 하나는 MBC 드라마넷이며 이 채널도 역시 음악, 엔터테인먼트 채널인데도 아침에 시계를 따로 노출한다.

2021년부터는 무한도전 전편,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나 혼자 산다 재방송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특히 무한도전은 거의 모든 시간대에 방송한다. 결론적으로 MBC every1MBC ON의 중간 포지션으로 완벽히 전락, 채널의 정체성이 모호해진 상태이다. 2022년 하반기부터는 심야 시간대에 심야괴담회를 파일럿부터 전회 연속 방송중이다.[11]

8. 둘러보기

MBC MUSIC
MBC M

[1] MBC 일산 드림센터. MBC PLUS의 본사이기도 하다.[2] 당시 사장은 안현덕이다.[3] 1.23 정전사건, 피디팝 MSL,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 스타크래프트 저작권 분쟁 등의 사건이 MBC GAME의 폐국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다.[4] 주간 아이돌은 MBC every1에 있던 걸 가져왔다.[5] 말 그대로 한 심야의 시간대인 최소 오후 11시부터 오전 5시까지 연속 방송하며 특정 회차만 하는 것이 아니라 며칠에 걸쳐 전편을 무한 반복으로 방송한다.[6] 그마저도 주간 아이돌은 MBC every1에서 계속 방영하고 있다.[7] 다만 이쪽도 올케팝콘으로 하루종일 틀어주는 것으로 봐서 재방송은 사실상 없는 것이 되었다.[8] 어디까지나 운이 좋았던 것이지 낙마사고로 인하여 불구가 되어버리거나 목숨을 잃는 사람들이 많다는 걸 알아야 한다. 실제로 낙마 사고로 인해 사망하는 승마 선수들도 적지 않고, 2006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도 이로 인하여 당시 승마 국가대표였던 김형칠 선수가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다. 또한 배우 크리스토퍼 리브도 낙마 사고로 인해 전신 마비를 당하였다.[9] MBC QueeN에서도 편성된 바 있다.[10] 주 장르는 여성/생활정보 채널이지만, 전체 방송 분량의 20%(법적으로 허용된 할당량) 내에서 MBC 스포츠플러스가 미처 중계하지 못하는 스포츠 중계를 했었다. 스포츠 중계 외에도 사실상 예능/드라마 재방이 주를 이루다가 2016년 3월 28일부터 스포츠 채널로 장르가 전환되어 MBC 스포츠플러스 2로 재개국했다. 하지만 3년 만에 드라마/교양 위주로 하는 MBC ON으로 재개국하여 바뀌었다.[11] 다만 심야괴담회는 수도권과 지역 MBC 자체방송을 송출하지 않는 일부 지방을 제외하고는 지상파 본방으로는 시청이 불가하며, MBC M 이외의 타 케이블/위성 채널에서는 MBC 드라마넷에서 주당 1회 방영하는 것이 전부라, 지방 시청자 입장에서는 MBC M을 통해 심야괴담회를 접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