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순자산 (Net Asset Value)}}}에 대한 내용은 [[자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자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자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걸그룹 VIVIZ의 팬덤}}}에 대한 내용은 [[Na.V]]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Na.V#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Na.V#|]]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순자산 (Net Asset Value): }}}[[자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자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자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걸그룹 VIVIZ의 팬덤: }}}[[Na.V]]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Na.V#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Na.V#|]]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f3f3f, #000000 40%, #000000 60%, #3f3f3f)" |
The Weeknd | NAV | Belly | Chxrry22 |
| |
| |
이름 | NAV (나브) |
본명 | Navraj Singh Goraya (나브라지 싱 고라야) |
출생 | 1989년 11월 3일 ([age(1989-11-03)]세) 캐나다 온타리오 주 토론토 |
국적 | |
직업 | 래퍼, 프로듀서 |
신장 | 173cm |
소속 | XO, Republic Records |
데뷔 | 2018년 1집 <Reckless> |
링크 | 공식 홈페이지 |
1. 개요
최근 유행하는 싱잉 랩과 트랩 사운드를 주력으로하는 음악을 만들고 있는 펀자브계 캐나다 출신의 프로듀서 겸 래퍼.1.1. 상세 및 활동
2015년 사운드 클라우드에 음악을 올리며 활동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캐나다 출신 래퍼 Drake의 Meek Mill 디스곡인 'Back to Back'의 프로듀서로 참여하며 이름을 알렸다. 이후 2016년 XO 레이블의 수장 The Weeknd에게 영입된 뒤 2년 동안 믹스테잎과 정규 1집을 연달아 공개하며 스튜디오 데뷔를 시작했다. Metro Boomin과 Guap Tarantino와의 콜라보 믹스테잎들도 공개했으며, 이후 지속적인 위켄드의 샷아웃과 지원으로 정규 2집과 3집으로 Billboard 200 차트 1위, 4집으로 2위를 차지했고, Billboard Hot 100 차트에서도 Top 10 최고 순위를 달성하는 등 확실한 인기의 기반도 다지고 있다.래퍼 Lil Uzi Vert의 절친한 음악적 동료로 유명한데, 서로 콜라보 싱글을 자주 내놓기도 했으며 서로의 앨범이 공개되면 항상 자신들의 SNS로 샷아웃해주기도 한다. 또한 Nav는 2019년 초, 우지 버트의 은퇴 소식에 "우지가 은퇴하면 나도 은퇴하겠다"는 선언을 하기도 했고, 우지가 자신의 레이블 사장 DJ Drama와의 갈등이 있을 때는 직접 각종 인터뷰와 SNS에 #FreeUzi를 외치며 그를 두둔했다. 현재는 우지가 나브를 인터뷰에서 "과소평가된" 아티스트라고 꼽으며, 그는 훨씬 재능 많은 아티스트라고 자주 치켜세워주고 있다.
2018년 XXL Freshman Class에 이름을 올릴 수 있었으나, 뛰어난 루키들이 있음에도 팬이 적다는 이유로 뽑히지 않는 등의 선정 방식을 비판하며 동시에 XXL Freshman 리스트는 쓰레기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이후 절대로 참여하지 않을 거라 밝히기도 했다. 자신의 정규 1집 <Reckless>엔 아예 디스 곡까지 수록했다.
래퍼이기 이전에 프로듀서로서도 충실한데, The Weeknd, Kodak Black, Lil Uzi Vert, Travis Scott, Drake, Young Thug, Gunna, Lil Baby 등의 많은 아티스트들에게 곡을 써주거나 콜라보 활동을 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스캇과 함께한 'Beibs In The Trap'은 15분 만에 앉은 자리에서 비트를 만들었다고 하며, 자리에 함께 있던 Cash[1]가 그 비트를 곧바로 스캇에게 이메일로 보냈다고 한다.
XO에 영입되게 된 계기가 독특한데, 2015년 OVO 라디오에 나브의 노래가 소개되며 많은 레이블들이 그에게 계약을 위해 전화를 걸어오거나 미팅을 위해 LA로 초대되었다고 한다. 그 중에 마음에 드는 계약이 없어 모두 거절하고, LA에서 다시 캐나다로 돌아왔는데 그러고나서 더 이상 레이블들이 연락이 오지 않아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고 한다. 돌아온 날 스튜디오로 가려고 운전 중에 마침 웬디스가 있어 신용카드를 긁었다고 한다. 그 때 책을 하나 읽고 있었는데 끌어당김의 법칙 같은 내용이 담겨있었다고 한다. 거기선 "돈을 쓸 때 두려워 말고, 자신이 풍족한 것 처럼 행동해라" 같은 문구가 있었다고. 그런데 신용카드 한도 초과로 결제가 거부되자 어이 없어하며 흔한 패스트푸드점 식사 가격도 못낼 정도인가, 책이 날 속였다며 한탄[2]을 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 때 마침 운명처럼 The Weeknd가 전화를 걸어왔다고 한다. XO는 아무나 계약하지 않는 레이블인데 Cash랑 위켄드가 직접 전화를 걸었다고 해서 정말 미쳤다 생각했다고. 곧바로 LA로 갔고, 그대로 계약하게 되었다는 후문.
2. 디스코그래피
2.1. 정규 앨범
2.1.1. 1집 Reckless (2018)
2.1.2. 2집 Bad Habits (2019)
앤서니 판타노 2010년대 15대 최악의 앨범 | |||||
<rowcolor=#050609>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Angelic 2 The Core | Total Xanarchy | Nostalgia Critic's the Wall | Graveyard Classics IV: The Number of the Priest | The Big Day | |
코리 펠드만 | 릴 잰 | 노스탤지어 크리틱 | 식스 피트 언더 | 챈스 더 래퍼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Revival | Miley Cyrus & Her Dead Petz | Rebirth | Bad Vibes Forever | Will Never Die | |
에미넴 | 마일리 사이러스 | 릴 웨인 | XXXTENTACION | 브로큰사이드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93PUNX | Bad Habits | Supermarket | Origins | Professional Rapper | |
93PUNX | 나브(NAV) | 로직 | 이매진 드래곤스 | 릴 디키 | |
선외가작: 키드 커디 - Speedin' Bullet 2 Heaven |
빌보드 200 역대 1위 | ||||
Death Race For Love Juice WRLD | → | Bad Habits NAV (1주) | → | WHEN WE ALL FALL ASLEEP, WHERE DO WE GO? Billie Eilish |
2.1.3. 3집 Good Intentions (2020)
빌보드 200 역대 1위 | ||||
Here And Now Kenny Chesney | → | Good Intentions NAV (1주) | → | High Off Life Future |
2.1.4. 4집 Demons Protected By Angels (2022)
2.1.5. 5집 OMW 2 Rexdale (2025)
이번 앨범엔 프로듀서 마이크 딘, 메트로 부민, 오지볼타, 트위스코, Wheezy 등이 참여했으며 피처링 게스트로 Playboi Carti, The Weeknd[4], Don Toliver가 참여했다. 이 중 카티와 위켄드가 참여한 "Unlimited"[5]는 앨범 공개 직후 많은 이들의 추측과 달리 마이크 딘이 참여한 곡이 아니다. 마이크 딘은 앨범의 마지막 트랙 "Pain Away"에만 참여했다.
나브의 스튜디오 앨범들 중에선 그나마 나은 평가를 받고 있다. 워낙 앨범들을 형편없이 뽑아내던 나브였지만, 이번 앨범 만큼은 트랜지션 정도는 들어줄 만 했기 때문인데 사실상 장점은 이정도 뿐이고 초반 몇 트랙부터 곧바로 지루해진다는 평이 상당히 많다. AOTY 유저 평가는 4점대 스타트로, 역시 나브구나 싶은 정도의 앨범이다. 불행 중 다행으로 앨범의 길이가 39분 정도로 짧은 편이라는 점.
빌보드 200에서 3위로 데뷔했으며, 약 7만 장 가량 판매했다. 차트 순위는 3위지만, 나브의 모든 디스코그래피를 통틀어 첫 주 최대 판매량을 달성했다.
2.2. 믹스테잎
- The Introduction (2016)
- NAV (2017)
- Perfect Timing (with Metro Boomin) (2017)
- 1 Night (with Guap Tarantino) (2018)
- Emergency Tsunami (with Wheezy) (2020)
2.3. EP
- Brown Boy (2019)
3. 싱글
3.1. 빌보드 핫 100 2~10위
- Lemonade[6] - 6위
3.2. 빌보드 핫 100 11~20위
- Turks[7] - 17위
3.3. 빌보드 핫 100 51위~100위
- Calling[8] - 41위
- Off White VLONE[9] - 54위
- Wanted You[10] - 64위
- Price On My Head[11] - 72위
- Leaders[12] - 72위
- Champion[13] - 86위
- Tap[14] - 87위
- Baguettes In The Face[15] - 88위
4. 평가
릴 잰, 릴 디키 등과 함께 음악적으로 매우 낮은 평가를 받는 래퍼 중 한 명이다. 애초에 프로듀서로서 이름을 날렸었기 때문인지 자신의 곡은 자신이 프로듀싱하거나 종종 다른 아티스트들의 곡에 프로듀서로만 참여하기도 한다. 그의 정규 앨범들은 대체로 지나치게 천편일률적인 비트로 점철되어있고, 래핑 역시 플로우가 단조로운데다 가사 역시 깊이가 전혀 없어서 최악으로 평가받는다. 평점 역시 50점대 초반에 머물러 있는데, 보통 60점대 정도는 받아야 평작인 것을 감안하면 NAV의 앨범은 평론가들에게 확실히 혹평받는다고 할 수 있다. 앤서니 판타노는 그의 래핑이 마치 TTS를 켜놓은 듯한 AI같은 래핑이며, 음악 스타일부터 무색무취에 무미건조 그 자체라 좋게 평가할 여지가 없다고 비판했다.[16]그러나 단순히 래핑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앨범들의 비트 역시 양산형이라 더욱 까이는 면이 있다. 앤서니 판타노의 영상 댓글에는 똑같이 매우 낮은 평가를 받는 'White Boy' 톰 맥도날드[17]와 'Brown Boy' NAV가 협업하면 전세계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글이 올라올 정도이다.NAV가 프로듀서임에도 불구하고 본인이 프로듀싱하지 않은 앨범들은 더 나은 평가를 받는다. 특히 Metro Boomin과 함께한 Perfect Timing이나 Wheezy와 함께한 Emergency Tsunami는 역대급 비트는 물론 앨범과 곡들의 엄청난 퀄리티로 고평가를 받았다. 나브 특유의 국어책 읽는듯한 심심한 플로우까지도 살려내는 곡들이 많다.
이와는 별개로 NAV가 참여한 곡들 중 대중적인 Lemonade는 좋은 평가와 흥행 두 마리 토끼를 잡았으며 NAV의 벌스 역시 괜찮은 평가를 받았다.
평가와는 달리 상업적으로는 크게 성공했다. 그의 곡들이 전반적으로 무색무취라는 비난이 있지만, 반대로 말하자면 무난해서 대중들이 많이 듣기 때문이다.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2번이나 달성했고, 다른 믹스테잎들도 전반적으로 성공했다. 물론 당연히 The Weeknd와 XO 레이블의 전폭적인 지지 때문이다.
5. 여담
- 밝은 톤의 피부색과 생김새, 그리고 헤어스타일 때문에 미니 DJ Khaled 등의 별명을 갖고 있다.
- XO 레이블의 수장 The Weeknd가 Justin Bieber, Drake와의 디스전이 있을 때 Nav의 곡들(Some Way, Price On My Head)을 통해 디스를 진행했다. 그러나 나브 본인은 이들과 원만한 관계를 갖고 있고, 아예 라디오나 인터뷰에서는 이들을 캐나다의 음악적 동료들로서 항상 샷아웃 한다. 이후 위켄드와 드레이크의 관계가 원만해진 것을 보면, Nav를 포함한 다른 XO 크루들의 도움이 많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 Nav는 거의 대부분의 아티스트들과 항상 원만한 관계를 가지려고 한다. Drake의 Meek Mill 디스곡인 'Back to Back'은 아예 프로듀서로까지 참여했지만, 자신의 정규 2집 <Bad Habits>에서 Meek Mill을 피처링 게스트로 넣기도 했다.[18] 또한 굉장히 많은 힙합 아티스트들과 친한 것으로 보이는데, Young Thug, Lil Pump, 21 Savage, Rick Ross, Gunna 등은 아예 자신의 뮤직비디오에도 출연을 시켰다.
- 나브는 거의 많은 아티스트들을 듣고, 지켜보고 있으며 콜라보 할 생각도 갖고있지만 그럼에도 6ix9ine만큼은 절대로 함께 작업을 하지 않을 것이라 인스타그램 라이브 인터뷰에서 밝혔다.
[1] XO의 공동 창업자이자 The Weeknd의 오랜 친구 중 한 명.[2] 저 끌어당김의 법칙이라는게 사실상 사이비 종교와 맞먹을 정도의 헛소리나 마찬가지지만, 나브가 책을 읽던 당시엔 아직까지 그 사실이 여러 대중에게 알려지기 전이라, 당시 웬만한 자기계발서들에는 꼭 저런 이야기를 담은 책들이 전 세계적으로 많았었다. XO와의 계약으로 결과론적으론 별 도움도 안되는 헛이론임을 깨달았을 것으로 보인다.[3] 가사에서 나브를 샷아웃 하는 것으로 보아 사망 전에 이미 나브의 프로젝트에 함께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4] 백 그라운드 보컬로만 참여해 크레딧에 이름을 올리진 않았다.[5] 이 곡은 카티 소유의 곡이나, 기존에는 Offset이 참여했었다. 그러나 카티가 곡 발매 허가를 하지 않았는데 Offset이 이에 서운해했다. 정작 시간이 흐른 뒤 나브가 자기 앨범에 수록시키면서 Offset만 애매해진 상황이 됐다.[6] Internet Money와 Gunna의 곡을 Don Toliver와 함께 피처링. 이 노래는 여담으로 영국차트에선 1위를 차지했다.[7] Travis Scott이 피처링으로 참여한 Gunna와의 콜라보 곡[8] 영화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의 사운드트랙 앨범 총괄 프로듀서 Metro Boomin의 곡에 A Boogie Wit da Hoodie, Swae Lee와 함께 피처링.[9] Lil Baby & Gunna의 곡에 Lil Durk와 함께 피처링.[10] Lil Uzi Vert가 피처링.[11] The Weeknd가 피처링.[12] Lil Uzi Vert의 곡에 피처링.[13] Travis Scott가 피처링.[14] Meek Mill이 피처링.[15] DJ Mustard의 곡에 Playboi Carti, A Boogie wit da Hoodie와 함께 피처링.[16] 그래서 그의 앨범들은 판타노로 부터 '평가할 가치 없음'을 뜻하는 NOT GOOD 평을 받았고 아예 판타노가 13분 정도의 총집편 영상을 만들기도 했다.# 그러다가 4집은 처음으로 판타노로부터 점수를 받았고10점만점이 아니라 온 우주의 별의 갯수 만점 기준 4점이지만 판타노의 팬들도 NAV가 Illmatic을 만들어왔다고 드립을 쳤다. 그럼에도 재생목록 분류에는 NOT GOOD에 들어가 있지만.[17] 이쪽은 노래 퀄리티도 무난하게 좋지 않지만, 극우적인 성향으로 인하여 더욱 심하게 혹평받는 면이 크다.[18] 하지만 이땐 드레이크와 믹밀이 화해를 한 상태라서 그런것일수도 있다.애초에 당시 디스곡에 프로듀싱으로 참여한거면 나브도 감정이 있었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