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7 12:45:36

OSK 일본 가극단

<colbgcolor=#ffefe7>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fefe7> 파일:OSK 일본 가극단 로고.pngOSK 일본 가극단
OSK日本歌劇団
OSK Nippon Revue Company
}}}
<colcolor=#d30f51> 국가
[[일본|]][[틀:국기|]][[틀:국기|]]
창단 1922년 4월
(창단일로부터 [dday(1922-04-01)]일, [age(1922-04-01)]주년)
본사 오사카부 오사카시
설립자 시라이 마츠지로
톱스타 츠바사 카즈키 (89기)
톱 여역 치사키 에미 (89기)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및 발전과정
2.1. 쇼치쿠 시대2.2. 긴테쓰 시대2.3. NEW OSK 시대
3. 운영 시스템4. 소속 스타
4.1. OSK 일본가극연구소4.2. 역대 톱스타4.3. 역대 여역 톱스타
5. 여담6.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에서 시작된, 일본의 여성 뮤지컬 극단으로 쇼치쿠의 창립자중 한 명인 시라이 마츠지로가 1922년 4월에 창단했다.

2. 역사 및 발전과정

테마송 '벚꽃 피는 나라'(桜咲く国)
2003년 OSK가극단 재출발까지

2.1. 쇼치쿠 시대


1922년 4월, 쇼치쿠악극부로 창설되어 동년 12월 오사카·나카노시마 공회당에서 댄스 피로 및 다음 해 2월의 교토·미나미자에서의 시연을 거쳐, 1923년 5월, 오사카 쇼치쿠좌에 전속되어 「아를의 여자」[1]를 상연하였다. 창설 초기에는 영화와 병연하여 일무•양무를 선보였지만 실력과 인기는 별로였다. 큰 전환점이 된 것이 일무가 중심이 되었던 쇼 1926년 4월의 '봄의 춤 꽃달력'[2]이었다.

타이틀은 간사이의 명물이었던 화류계의 「나니와오도리」[3]와 「도오도리」에 지지 않도록 이름이 붙여졌다. 특히 당시의 가명 사용에서는 "をどり(오도리)"가 옳음에도 불구하고, 시라이 마츠지로의 의견으로 의도적으로 "おどり"라고 표기한 이후 오늘날까지 일관되게 "おどり"로 표기하고 있다.

게다가 다카라즈카 소녀가극단의 프랑스풍 레뷰 「몽·파리」가 성공으로 악극부에서도 양무를 도입하였다. 시행착오가 거듭되면서 서서히 인기를 얻었다. 1928년 「봄의 춤」으로 레뷰 양식이 확립되어, 동년 8월의 「무지개의 춤」[4]으로 도쿄 공연을 실시했다. 이를 계기로 도쿄 쇼치쿠 악극부(훗날 쇼치쿠 가극단)가 탄생하였다.

1933년 도색쟁의[5]가 발생하여 당시 스타 클래스의 극단원을 대량으로 잃고 부진에 빠졌었으나 카시와 하루에, 미스즈 아사코, 미카사 시즈코 등의 새로운 스타들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음해인 1934년 심기일전하여 오사카 쇼치쿠 소녀가극단(OSSK)으로 개칭해 천일전[6]의 오사카 극장을 본거지로 한다.

개칭 후 첫 공연이었던 「카예 다무르」는 콜롬비아 레코드와 타이업(tie up)해 음반을 발매하는 등 대대적으로 선전한 결과 인기를 되찾아 갔다. 같은 해 마츠구미·다케구미 2개 조로 나누어 공연이 열리게 되었고, 미카사 시즈코·미스즈 아사코가 인기를 끌었다. 1936년, 마츠구미·타케구미는 해소되어 신예 아키즈키 에미코와 아시하라 치즈코가 스타로서 도약했다.

1943년, 오사카 쇼치쿠 가극단(OSK)으로 개칭. 1945년 3월 13일 오사카 대공습으로 본거지의 오사카 극장이 파괴되었지만, 기적적으로 불 타다 남은 오사카 쇼치쿠좌에서 4월 12일부터 신작 공연 「필승선창」[7]을 상연하였다. 오사카 극장은 공사가 강행되어 7월 26일부터 「여름축제」[8]의 공연을 재개하였다.

전후에는 기존에 있던 마츠구미•다케구미에 이어 매화구미를 발족하여 3개 조가 되었다. 이 무렵 아키즈키와 아시하라가 인기를 끌면서 다양한 유닛이 결성되었다. 1950년대까지는 OSK와 SKD의 합동 공연도 있었다. 1957년에는 쇼치쿠로부터 독립하여 「주식회사 오사카 쇼치쿠 가극단」이 되었다.

1963년 3월 3일 오전 2시경, 오사카극장에서 대계단 최상단과 분장실 2층에서 통하는 통로를 연결하는 다리가 낙하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단원·스태프 44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공연 직전 심야 무대연습이 당시 노동기준법에서 금지되었던 ‘여자의 심야 노동’에 해당될 가능성이 드러나, 연예계의 심야 연습이 문제시되었다. 노동성은 다음 3월 4일에 주요 극장의 불시 사찰을 실시해 전국에 파문이 확산되는 사태가 되었다.

같은 해에 일본가극단(NKD)으로 개칭하였으나, 이미 OSK라는 이름이 정착되고 있었기 때문에 1970년에 OSK 일본가극단이라고 개칭한다.

2.2. 긴테쓰 시대


1971년 이후 긴키 닛폰 철도그룹의 자회사가 된다. 본거지는 긴테쓰 연선이기도 한 나라시의 긴테쓰 아야메이케 유원지의 원형 대극장으로 옮겼다. 다카라즈카 가극단과 마찬가지로 철도회사의 지원 아래 유원지를 본거지로 하게 된다.

소녀가극의 인기가 침체되던 중 다카라즈카 가극단이 「베르사이유의 장미」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등의 뮤지컬화로 기사회생의 대박을 터뜨려 현재까지 이어지는 인기를 쌓은 것과는 대조적으로, OSK는 침체의 길을 걷게 된다.

특히 1970년대 후반에는 극단원의 수와 신규 입단자가 격감하였다. '노래는 다카라즈카, 춤은 OSK'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OSK 댄스의 수준이 높다는 특징이 있는데, 그것이 1980년대 뮤지컬 붐을 놓치는 원인이 되었다.

1982년, 창립 60주년 기념 공연 「양귀비」가 호평을 받아 관객도 6할 증가하였다. 아야메이케 유원지로부터의 철퇴와 신극장(후의 긴테츠 극장)에서의 상설 공연의 계획도 제기되었다. 극단 창립 65주년을 계기로 1987년부터 긴테쓰 극장에서 뮤지컬 공연을 규칙적으로 상연하여 오사카 중심부에서의 공연을 겨우 재개시키지만, 당초의 발표와는 달리 상시가 아닌 연 1회의 공연에 머물렀다.

1990년대에는 아야메이케 유원지에서 동화를 소재로 한 패밀리 뮤지컬 노선을 내세웠다. 2000년대에는 키타바야시 사와코등에 의한 일본물 뮤지컬 「어둠의 귀공자」가 히트작이 되었다.

1998년무렵부터 모회사인 긴테쓰의 실적 악화로 가극단에도 경영자립이 요구되게 되었다. 그러나 본래는 레뷰 극단임에도 불구하고, 극장에서의 공연 회수는 감소하였다. 이 무렵까지 긴테쓰 그룹의 테마파크인 시마 스페인 마을이나 도호텔 그룹의 연회장등에서의 쇼, 프로 야구 구단의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의 응원 퍼포먼스등이 주된 수입원이었지만 이러한 출연 기회도 격감해 실적이 악화되었다.

2002년 6월 27일, 긴테쓰로부터의 지원 중단에 따른 해산이 발표되어 다음날 극단원에게도 정식으로 전달되었다. 이 소식을 전달 받은 다음날부터 당시 최상급생이었던 요시츠 타카시와 남역스타인 다이키 마코토를 중심으로 극단의 존속활동이 개시되어 동년 8월에는 당시의 단원 71명 전원에 의해 OSK존속의 모임이 결성되었다. (*위 영상 참조) OSK존속의 모임은 다음 해인 2003년 5월까지 약 20만명분의 OSK일본가극단 존속의 탄원 서명을 모았지만 긴테츠측의 결정을 뒤집지는 못하고, 2003년 5월 긴테츠 극장 공연 「Endless Dream~끝없는 꿈~」을 마지막으로 해산하여 81년의 역사에 일단 막을 내렸다. 해산 공연 시 단원 수는 69명.

2.3. NEW OSK 시대


극단 해산 후에도 단원들은 존속 운동을 계속하여 2003년 8월에는 OSK 존속의 모임에 의한 창단 공연 「열혈가극 re-Birth~OSK 부활의 추천~」이 긴테쓰 극장에서 행해졌다. 동년 9월에는 OSK 존속 모임을 지원하던 경영 컨설턴트를 사장으로 하고 잔존 단원 전원을 주주로 하는 '주식회사 OSK 존속 모임'이 설립되었다. 긴테츠측과의 대화에서 'OSK존속회가 OSK일본가극단의 정당한 후계자인 것'이 확인되어 동월12일에 상표권 문제에 결판이 난 것이 존속회로부터 공표된 동년 9월에는 극단 부속의 연수소를 개설해, 일본 가극학교의 폐쇄 이래 끊어져 있던 신인의 육성도 재개되어 동년 12월에 쇼치쿠좌 공연 「봄의 춤」개최가 결정되었다.

2004년 4월, 오사카 쇼치쿠좌에서의 「봄의 춤」 공연 재개를 기회로 New OSK일본 가극단이 창단되었다. 이 시점에서 긴테쓰 시대부터 잔류한 단원은 23명 그 밖에 연수생이 9명이었다. 동년 7월에 긴테쓰 레저 서비스로부터 정식으로 명칭의 사용을 인정받아 동년 10월 1일자로 회사명도 「NewOSK 일본가극단」으로 변경했다. 이에 따라 구 극단 시절의 의상·음원 등을 무상으로 계승하게 되었다.

쇼치쿠좌 및 소극장·세계관에서의 정기 공연을 축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그러나 약 20개의 기업과 약 130명의 개인에 의한 기부 지원은 있었지만 큰 스폰서는 없어 당초부터 적자 경영이 계속되었다. 법인으로서의 NewOSK일본 가극단은, 2004년 12월기 결산에서 약 2,500만엔, 2006년 12월기 결산에서는 약 8,400만엔의 영업 적자가 생겼다. 그 후에도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고, 극단원에 대한 급료의 지연이 계속되었기 때문에 자주 재건을 단념하였다. 오사카 지방재판소에 민사 재생법에 의한 회생절차 개시 신청을 실시하여 2007년 9월 17일자로 회생절차 개시의 결정이 나왔다. 회생절차 개시 후에도 공연 활동은 예정대로 진행됐다.

그 후, 스이타시의 이벤트 기획 회사 「원즈 컴퍼니」에 사업이 양도되어 명칭은 다시 OSK 일본가극단이 되었다. 2009년 2월 주식회사로서 독립했다.

2010 상하이 엑스포 이후, 외국인 대상 공연의 경험을 거듭하여 2017년 1월부터 2월에 걸쳐, JTB 서일본의 주최에 의한 방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일본물 레뷰 공연 「Revue JAPAN」을 개최해 호평을 받았던 것으로부터 동년 12월 쇼치쿠의 협찬도 얻어 도톤보리 가쿠좌에서 상설 공연으로서 계속되게 되었다.

2013년, 오사카의 IT컨설턴트 기업·넥스트웨어의 지원에 의해 매니지먼트·마케팅 분야를 강화하였다. 극단원 스스로 판매하는 티켓의 판매 실적을 베이스로 극장의 크기에 따른 단원 배치·공연 회수를 설정하는 등 IT컨설팅의 수법을 도입해 관객의 증가로 연결했다. 또, 일본 예술 문화 진흥 협회나 오사카부의 조성 사업을 착수한 것에 수반해 OSK일본 가극단의 수익도 크게 개선되어 단년도의 흑자 결산을 올리기까지 하였다.

2018년 8월, 넥스트웨어와 간이 주식교환을 실시해 완전 자회사가 되었다. 2020년 2월,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확대로 긴테쓰 아트관에서 상연중인 「사랑과 죽음의 로마」가 3일째부터 상연중지되었다. 예정됐던 「봄의 춤」과 다른 공연도 불가피하게 취소 또는 연기되었다. 당초 마스크 부족에 따라 극단 단원들이 수제 마스크 전국 무료 배포를 실시했다. 또 약 7개월간에 이르는 극장 공연의 휴연시에 동영상 무료 전달 등에 적극적으로 임해 신사이바시의 Brooklyn Parlor 오사카에 전용 스페이스를 마련해 라이브 전달이나 세밀한 영상 연출의 설비를 정돈하였다.

2021년 11월에는 오사카 쇼치쿠좌에서 관객들의 앞에서 공연이 실시되었다.

2022년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3. 운영 시스템

단원 수는 총 49명으로 5개의 조로 나뉜 다카라즈카 가극단과 달리 따로 조는 없으며,[9] 남역 톱스타 1명, 여역 톱스타 1명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4. 소속 스타

파일:OSK 일본 가극단 로고.png
파일:2024_츠바사 카즈키.jpg
파일:2024_치사키 에미.jpg
파일:2024_시라후지 레이카.jpg
파일:2024_하나즈키 소우.jpg
Top
츠바사 카즈키
Top
치사키 에미
시라후지 레이카 하나즈키 소우
翼和希
파일:야마구치현 현기.svg
야마구치
千咲えみ
파일:도쿄도 도기.svg
도쿄
白藤麗華
파일:오사카부 부기.svg
오사카
華月奏
파일:아이치현 현기.svg
아이치
파일:2024_키즈키 레이.jpg
파일:2024_토우도우 유이토.jpg
파일:2024_아마키 레오.jpg
파일:2024_유이나 호노리.jpg
키즈키 레이 토도 유이토 아마키 레오 유이나 호노리
城月れい
파일:니가타현 현기.svg
니가타
登堂結斗
파일:미야기현 현기.svg
미야기
輝レオ
파일:홋카이도 도기.svg
홋카이도
結菜ほのり
파일:오사카부 부기.svg
오사카
파일:2024_이치야 유우.jpg
파일:2024_츠바키 료우.jpg
파일:2024_유시로 아리스.jpg
파일:2024_하네나 마이.jpg
이치야 유 츠바키 료 유시로 아리스 하네나 마이
壱弥ゆう
파일:니가타현 현기.svg
니가타
椿りょう
파일:미에현 현기.svg
미에
唯城ありす
[[사이타마현|
파일:사이타마현 현기.svg
]]
사이타마
羽那舞
파일:효고현 현기.svg
효고
파일:2024_유키히 우타.jpg
파일:2024_쿄우가 리쿠.jpg
파일:2024_무라사키 코코나.jpg
파일:2024_코토미 사라.jpg
유키히 우타 쿄가 리쿠 무라사키 코코나 코토미 사라
雪妃詩
파일:효고현 현기.svg
효고
京我りく
파일:도쿄도 도기.svg
도쿄
紫咲心那
파일:오카야마현 현기.svg
오카야마
琴海沙羅
[[기후현|
파일:기후현 현기.svg
]]
기후
파일:2024_란 치사토.jpg
파일:2024_세이라 준토.jpg
파일:2024_스미카 코코로.jpg
파일:2024_스바하 사에.jpg
란 치사토 세이라 준토 스미카 코코로 미즈하 사에
蘭ちさと
파일:교토부 부기.svg
교토
せいら純翔
파일:오사카부 부기.svg
오사카
純果こころ
파일:도쿄도 도기.svg
도쿄
水葉紗衣
파일:오사카부 부기.svg
오사카
파일:2024_이부키 케이나.jpg
파일:2024_아리아 마코.jpg
파일:2024_치하야 카나데.jpg
파일:2024_소라 레이토.jpg
이부키 케이나 아리아 마코 치하야 카나데 소라 레이토
依吹圭夏
[[도야마현|
파일:도야마현 현기.svg
]]
도야마
有絢まこ
파일:오사카부 부기.svg
오사카
知颯かなで
파일:효고현 현기.svg
효고
空良 玲澄
파일:도치기현 현기.svg
도치기
파일:2024_마논 코토하.jpg
파일:2024_리온 아카리.jpg
파일:2024_마오리 히나.jpg
파일:2024_나츠메 세나.jpg
마논 코토하 리온 아카리 마오리 히나 나츠메 세나
舞音ことは
파일:효고현 현기.svg
효고
璃音あかり
[[가나가와현|
파일:가나가와현 현기.svg
]]
가나가와
真織ひな
파일:오카야마현 현기.svg
오카야마
夏目せな
파일:오사카부 부기.svg
오사카
파일:2024_우메나 키호.jpg
파일:2024_히이라기 코하루.jpg
파일:2024_미나호시 토아.jpg
파일:2024_카렌 이로하.jpg
우메나 키호 히이라기 코하루 미나호시 토아 카렌 이로하
梅名希歩
파일:후쿠오카현 현기.svg
후쿠오카
柊湖春
파일:도쿄도 도기.svg
도쿄
南星杜有
파일:효고현 현기.svg
효고
華蓮いろは
파일:오사카부 부기.svg
오사카
파일:2024_미오카 사쿠라.jpg
파일:2024_아오이 키라.jpg
파일:2024_오우주 아사히.jpg
파일:2024_히요리 메이.jpg
미오카 사쿠라 아오이 키라[10] 오쥬 아사히 히요리 메이
美丘さくら
파일:아이치현 현기.svg
아이치
碧輝来
파일:오사카부 부기.svg
오사카
凰寿旭
파일:도쿄도 도기.svg
도쿄
ひより芽依
[[사이타마현|
파일:사이타마현 현기.svg
]]
사이타마
파일:2024_코하쿠 히비키.jpg
파일:2024_카나토 하루.jpg
파일:2024_키사키 노아.jpg
파일:2024_사쿠라노 히토미.jpg
코하쿠 히비키 카나토 하루 키사키 노아 사쿠라노 히토미
鼓珀響
[[가나가와현|
파일:가나가와현 현기.svg
]]
가나가와
奏叶はる
파일:효고현 현기.svg
효고
妃乃愛
파일:효고현 현기.svg
효고
桜乃ひとみ
파일:효고현 현기.svg
효고
파일:2024_쥬리 카논.jpg
파일:2024_하츠네 쿠라라.jpg
파일:2024_코유키 시호.jpg
파일:2024_코토세 이마리.jpg
쥬리 카논 하츠네 쿠라라 코유키 시호 코토세 이마리
珠凜かのん
파일:도쿄도 도기.svg
도쿄
初音くらら
파일:히로시마현 현기.svg
히로시마
香幸信帆
파일:도쿄도 도기.svg
도쿄
ことせ祈鞠
파일:아이치현 현기.svg
아이치
파일:2024_모모시로 스이.jpg
파일:2024_히나타 다이치.jpg
파일:2024_하나히 다리아.jpg
파일:2024_키류우 아사야.jpg
모모시로 스이 히나타 다이치 하나히 다리아
특별전과
키류 아사야
桃白透衣
파일:교토부 부기.svg
교토
陽向だいち
[[기후현|
파일:기후현 현기.svg
]]
기후
華妃ダリア
파일:교토부 부기.svg
교토
桐生麻耶
파일:도치기현 현기.svg
도치기
파일:2024_아사카 사쿠라코.jpg
파일:흰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흰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흰 정사각형 이미지.svg
특별전과
아사카 사쿠라코
朝香櫻子
파일:치바현 현기.svg
치바

4.1. OSK 일본가극연구소

2001년 일본가극학교가 사실상 폐교되면서[11] 이후 신규 단원의 입단이 끊겼다. 2003년 신규 단원 양성을 위한 연수소를 개설하고 동년 9월 81기생이 입소하였다. 첫해에는 1년제였기 때문에 81기생들은 2004년에 입단하였다.

현재는 오사카시 주오구에 소재하였으며 본과·연구과의 2년제다.[12] 정원 20명 수험 자격은 중졸 이상 23세 미만의 미혼 여성이다.[13]연수생은 무대 실습이 있고, 성적 상위자는 오사카 쇼치쿠좌·교토 미나미좌 등의 공연에도 출연한다. 졸업 후 입단 시험이 있으며, 그 성적에 따라 입단 여부가 결정된다.

수업시간은 한 과목에 2시간으로 하루 3과목을 배운다. (발레·일본무용·성악)
파일:OSK일본가극연구소교복.jpg
▲ OSK 일본 가극 연구소 교복

4.2. 역대 톱스타

역대 톱스타 재임기간
초대 아스카 아키코
(飛鳥 明子)
불명
2대 아-사- 미스즈
(アーサー 美鈴)
불명
3대 아키즈키 에미코
(秋月 恵美子)
불명
4대 카츠우라 치나미
(勝浦 千浪)
불명
5대 카스미 유타카
(香住 豊)
불명
6대 요네하나 마사코
(米花 真砂子)
불명
7대 마키 카오리
(牧 香織)
불명
8대 사가 미사오
(嵯峨 みさ緒)
1976년~1986년
9대 시노노메 아키라
(東雲 あきら)
1987년~1996년
10대 코우 미치루
(煌 みちる)
1996년~2000년
11대 히로 아오이
(洋 あおい)
2000년~2002년
12대 나츠키 슌
(那月 峻)
2000년~2003년
13대 다이키 마코토
(大貴 誠)
2003년~2007년
14대 오우카 노보루
(桜花 昇ぼる)
2008년~2014년
15대 타카세 마오
(高世 麻央)
2014년~2018년
16대 키류 아사야
(桐生 麻耶)
2018년~2021년
17대 양 린
(楊琳)
2021년~2024년
18대 츠바사 카즈키
(翼和希)
2024년~

4.3. 역대 여역 톱스타

역대 여역 톱스타 재임기간
초대 아시하라 치즈코
(芦原千津子)
불명
2대 하세가와 케이코
(長谷川恵子)
7년간 톱여역으로 재임하였다.
3대 코죠우 메바에[14]
(湖上 芽映)
1996년(추정)~1998년
4대 와카키 시호[15]
(若木 志帆)
2003년~2007년 (추정)
5대 아사카 사쿠라코
(朝香 櫻子)
불명
6대 마이미 리라
(舞美りら)
치사키 에미
(千咲えみ)
2021년~2024년[16]
2021년~현재

5. 여담

6. 같이 보기


[1] 아를가타카나 표기는 アルル이며, アルル는 프랑스 남동부 부슈뒤론주 서부의 관광도시이다.[2] 「春のおどり 花ごよみ」[3] 나니와는 오사카의 옛지명이다.[4] 「虹のおどり」[5] 쇼치쿠소녀가극부 (후의 쇼치쿠가극단)• 쇼치쿠악극부 (후의 osk일본가극단)에서 발생한 노동쟁의를 말한다. 중심인물인 미즈노에 타키코의 애칭을 딴 '타키 파업'이라는 별칭도 있다.[6]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79434&cid=40942&categoryId=39978[7] 「必勝音頭」[8] 「夏まつり」[9] 한 때 마츠구미/소나무조(松組), 타케구미/대나무조(竹組), 우메구미/매화조(梅組)라는 3개의 조가 있었었다.[10] 보통 남역에서 여역으로 전환하는 일이 흔하지만 아오이 키라의 경우는 여역에서 남역으로 전환한 특이 케이스이다. https://www.osk-revue.com/category/blog/aiueo/aoi[11] 2000년부터 학생 모집이 중지되었다.[12] 다카라즈카 음악학교는 본과와 예과로 이루어졌다.[13]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와 달리 모집 학생의 나이에 대한 범위가 넓은 편이다. 다카라즈카는 15세~18세까지다.[14] 코우 미치루 상대역[15] 다이키 마코토 상대역[16] 양린과 동반 퇴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