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8:55:26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파일:다카라즈카 가극단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order-radius: 0px 0px 8px 8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5bb0, #755bb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0; color: #fff; min-width: 100%"
{{{#!folding [ 관련 문서 ]
용어 논란 및 사건사고 음악학교 Pocket 기수별 목록
}}}}}}}}} ||
<colcolor=#fff>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宝塚音楽学校
TAKARAZUKA MUSIC SCHOOL
파일:다카라즈카 음악학교 로고.png
<colbgcolor=#b58fc9> 교훈 깨끗하게, 바르게, 아름답게
(清く、正しく、美しく)
국가
[[일본|]][[틀:국기|]][[틀:국기|]]
분류 사립각종학교[1]
지역 효고현
개교 1913년 ([age(1913-07-01)]주년)
다카라즈카 창가대
설립자 코바야시 이치조
교장 코바야시 코헤이
학생 수 2학급 80명[2] (예과 40명, 본과 40명)
성별 여자
학기 2학기제
주소 효고현 다카라즈카시 무코가와초 1-1호 (〒655-0844)
(兵庫県宝塚市武庫川町1-1)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주소

1. 개요2. 역사3. 교가4. 학교생활
4.1. 연간 일정4.2. 예과생의 마음가짐 (2020년 삭제)
5. 입학시험
5.1. 역대 경쟁률5.2. 입학 수험스쿨
6. 졸업 후7. 사건 및 사고
7.1. 96기생 이지메 사건7.2. 106기생 투신 자살 시도 사건 은폐
8. 출신 인물
8.1. 현역
9. 창작물에서 모티브로 삼은 학교10. 여담

[clearfix]

1. 개요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의 경관, 홍보 영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파일:다카라즈카 음교.jpg
▲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 ||

효고현 다카라즈카시에 위치한 일본사립학교로, 의무교육(중학교 졸업)을 마친 15~18세의 소녀들을 선발하여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생도로 양성한다. 한 학년의 입학정원은 40명. 보다시피 다카라즈카 대극장에 면해 있다.

2. 역사

3. 교가

TMS
입학식 교가 제창
{{{#!folding [ 가사 보기 ]

4. 학교생활

매일 성악, 발레, 고전무용 등 극단에서 필요한 예능들에 대해 깔끔한 레슨이 짜여져 있다. 그 밖의 수업으로는 모던댄스, 탭댄스, 연극, 피아노 등이 있다. 수업 후에도 기숙사에서 레슨이 있어서, 학생들은 매일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다.

1년은 "예과", 2년째는 "본과"로 불리며 대부분의 학생은 기숙사에서 생활한다. 단, 집이 학교와 멀지 않은 학생은 통학하는데 이때는 꼭 한큐전철만을 타야 한다.

2년제라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학력이 인정되는 학교는 아니다. 그럼에도 커리큘럼상 일반 학교생활과 겸업하는 것은 불가능해서 다카라즈카 학생들의 최종 학력은 (최소한의 의무교육인) 중졸이 되며, 마야 미키 등의 사례처럼 검정고시로 고졸 학력을 얻어야 했다. 2003년부터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사카에 기반을 둔 통신제 고등학교인 코요다이 고등학교와 협력해, 단위이수제를 통한 고등학교 학력이수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코바야시 이치조에 의한 "깨끗하게, 바르게, 아름답게"의 가르침에 근거하여 예의범절이나 매너도 엄격하고, 이른 아침부터 예과생이 연습실을 열심히 청소하고 있는 것은 유명하다. 졸업생인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출신자들의 인터뷰를 들어 보면, 이 청소는 본인이 맡은 구역을 예과생 1년 동안 하루도 빠짐 없이 하며, 청소하는 데만 시간이 무려 1시간이나 걸린다고 한다. 이후 본과생이 검사를 했을때, 먼지가 보이면 혼나기도 한다고.

입학 때부터 남역(男役, 오토코야쿠)과 여역(女役, 무스메야쿠) 중 하나를 택해 그에 맞는 교육을 받지만, 재학 중 바꾸는 경우도 있고 본과생이 문화제(졸업공연)을 하면 예명을 발표하면서 정식으로 역할을 결정한다. 역할은 대체로 키 160cm대 중후반을 기준으로 나뉘지만 지금은 본인의 선택이고 개성(얼굴, 목소리 등)을 따라가는 경우도 그에 따라 늘었다.

진급 및 졸업은 무조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급 조치도 존재한다.

4.1. 연간 일정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연간 일정
예과생 / 본과생
<rowcolor=#fff> 4월 5월 6월 7월
입학식
코바야시 이치조묘 성묘
초무대생 공연 관극
스미레 모금 중간고사 상반기 시험
합창콩쿨 게스트 출연
학년여행
수학여행
여름방학
<rowcolor=#fff> 8월 9월 10월 11월
기말고사 가을 음악회
공연 연습 현장 견학
<rowcolor=#fff> 12월 1월 2월 3월
중간고사
극장실습
겨울방학
졸업시험
무대화장 강습
문화제
문화제 도우미
기말고사
졸업식
봄방학
극단 입단

4.2. 예과생의 마음가짐 (2020년 삭제)

이하는 교칙이 아닌 예과생의 불문율이었으나, 2008년부터 본과생이 예과생을 엄격히 지도하는 것이 금지되면서 완화되었고 2020년에 완전히 사라졌다.#

5. 입학시험

TMS
입학시험 최종 합격자 발표 현장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입학시험 (2025년도 기준)
<rowcolor=#fff> 내용 평균 경쟁률 비고
<colbgcolor=#b58fc9><colcolor=#fff> 1차 면접 30초간 자신의 데이터 말하기
(수험번호, 출신지, 키, 몸무게, 수험 횟수)
2-300 / 1000
2차 가창 과제곡 + 신곡
(과제곡의 경우 원서와 함께 배포)
100 / 2-300 [4]
무용 안무 예시 숙지 후 시험
(시험장에서 본과생이 모범 연기를 선보임)
[5]
3차 면접 및 건강진단 40 / 100
입학시험 상세일정 (2025년도 기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일정 장소 합격 발표 비고
<colbgcolor=#b58fc9><colcolor=#fff> 1차 도쿄 2025년 3월 20일 센조쿠가쿠엔음악대학 2025년 3월 22일 웹사이트[6]
다카라즈카 2025년 3월 23일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2025년 3월 24일
2차 다카라즈카 2025년 3월 26일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2025년 3월 28일
도쿄 2025년 3월 27일
3차 2025년 3월 29일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2025년 3월 30일
}}}}}}}}} ||

가극단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다카라즈카 음악학교를 졸업해야 한다. 입학시험 경쟁률이 굉장히 높아서 합격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학교의 명성이 명성인지라 재수, 심지어는 3~4수를 해서 입학하는 학생까지 존재한다.[7] 교풍도 엄격하기 때문에 입학 후의 학교생활도 까다롭다. 간사이 지방에선 입학식이나 졸업식이 뉴스에 나올 정도. 외국인도 지원이 가능한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8] 다만 역사적으로는 김능자와 홍청자 등 한국인이 단원으로 활동한 사례는 있다. 저고리 시스터즈 항목 참조. 2023년 기준으로 한국 국적의 지원자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입학시험은 매년 3월 말에 이뤄진다. 2000년 이후의 학생 정원은 50명이었으나, 2008년 이후부터 합격자 수는 약 40명으로 줄었다. 2016년 제104기생 입학시험에서 응시자 수는 1,079명, 배율은 27.0배로 이전 7년간 실시한 시험 중 경쟁률이 가장 높았다. 1960년대까지는 평균 3배 정도였으나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공연으로 다카라즈카 가극 붐이 일어나 이후 빠르게 늘어 "동의 도쿄대학, 서의 다카라즈카"로 알려질 정도로 경쟁률이 높아졌다.

사상 최고 경쟁률은 1994년에 시행된 82기생 입학시험으로, 그 배수는 무려 48.2배. 2004년 이후에는 응시자 수가 줄어 20배 안팎의 경쟁률을 유지했으나, 2009년에 증가했고 당시 배율은 27.65배가 됐다. 그 후는 보통 1천 명 정도 응시하며 배율은 25배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104기생 이후 수험생 수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코로나바이러스-19의 여파도 있지만 2023년 9월경 발생한 극단 내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인해 극단 내 이지메, 과로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밝혀지며 수험생 수가 반등할 가능성이 희박한 상태가 되었다. 실제로 해당 사건 발생 후 첫 입학자인 112기생은 총 480명이 응시, 12:1의 경쟁률로 평균 경쟁률에서 절반이 훅 떨어졌다.

남역 배우도 여자가 담당하는 극단 시스템으로 인해 170cm 이상의 수험생을 일정 비율로 항상 선발[9]하여 남역 지망생인 경우 키가 클수록 경쟁률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진다. 2024년 11월 기준, 다카라즈카 가극단 단원 최장신은 180cm의 102기생 오쿠스 테라이다.

응모 요건 중 "단아한 외모"이라는 요건이 있었으나 2025년도 113기생 입학 수험부터 해당 요건을 삭제, "심신이 모두 건강"으로 변경되었다. #

5.1. 역대 경쟁률

역대 입학시험 경쟁률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rowcolor=#fff> 연호 기수별 경쟁률
헤이세이 77기생(-) 78기생(-) 79기생(-) 80기생(-) 81기생(-) 82기생(48.1) 83기생(-) 84기생(-) 85기생(-) 86기생(-) 87기생(-) 88기생(20.1) 89기생(19.5) 90기생(19.76) 91기생(20.4) 92기생(21.32) 93기생(19.68) 94기생(20.48) 95기생(19.8) 96기생(21.38) 97기생(27.75) 98기생(25.7) 99기생(23.5) 100기생(23.1) 101기생(22.0) 102기생(26.7) 103기생(26.6) 104기생(26.9) 105기생(26.1) 106기생(24.1) 107기생(22.9)
레이와 108기생(21.3) 109기생(17.4) 110기생(17.3) 111기생(15.6) 112기생(12.0)
}}}}}}}}} ||

5.2. 입학 수험스쿨

음악학교 수험 합격을 위해 발레, 모던댄스, 면접 등 다양한 부분에 있어 수업 및 관리를 해주는 음악학교 수험전문학원이다.

수험스쿨 설립 및 운영자는 대부분이 극단 출신 OG들로, 수업을 진행하는 강사들 또한 OG로 구성되어 있어 음악학교 및 극단에서 원하는 인재상에 관한 비결과 경험담 등을 접하고 배울 수 있기에 많은 수험생들이 수험스쿨을 다니고 있다. 현재는 입학생 중 절반 혹은 그 이상이 수험스쿨을 다닌 경험이 있을 정도로 입지가 높아졌으며 주로 도쿄도, 오사카부, 효고현에 집중적으로 분포해 있다 보니, 이와 먼 지방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방학을 이용해 잠시 타지에서 생활하며 수험스쿨을 다니기도 한다.

가장 유명한 스쿨은 도쿄에 위치한 KIE 뮤지컬스쿨로, 전 타카라젠느인 코지마 키에가 운영하고 있다. 해당 스쿨 출신자는 총 184명으로, 2019년에는 총 10명이 음악학교 수험에 합격했다. 대표적인 출신 생도는 화조의 전 톱 여역 란노 하나, 전 월조 톱 여역 미소노 사쿠라, 전 성조 남역 스타 나나미 히로키가 있으며 이외에도 많은 생도들이 있다.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수험스쿨 목록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도쿄도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Jeuness-ジュネス-
전 월조 톱스타 세나 준(瀬名じゅん)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Shining☆Stars
나루미 준(鳴海じゅん), 아야카 레이(綺華れい)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KIE
코지마 키에(小嶋希恵) 운영 / 통산 최다 합격자 배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川路真瑳バレエスタジオ和泉教室
카와지 마사(川路真瑳) 운영 / 통산 최다 합격자 배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東京アートスクール
미츠이 마코(三井まこ)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atsune
하츠네 마요(初嶺麿代) 운영 / 수험 밀착 프로그램 다수 출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Classy Lesson
토노 아스카(遠野あすか) 운영 / OG 출신 강사 구성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ゆめ芸術学園
유메 마도카(夢まどか)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ジェンヌVBM
카아이 모토(花愛望都)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原みつ子音楽教室
하라 미츠코(原みつ子)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AKIKO音楽教室
이치무라 아키코(市村明子)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べっらぼーちぇ音楽院
아키야마 카코(秋山佳子)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鳳蘭レビューアカデミー
오토리 란(鳳蘭)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宝塚スタジオOB
노노 히카리(野々ひかり) 등 운영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清水ジャズダンススタジオ
시미즈 마코(清水眞子)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文月玲バレエスタジオ宝塚受験スクール
몬즈키 레이(文月玲) 운영
오사카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KIE
코지마 키에(小嶋希恵) 운영 / 도쿄 소재 학원 분원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Classy Lesson
이치죠 아즈사(壱城あずさ) 운영 / 도쿄 소재 학원 분원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スズキ・バレエアート・スタジオ
스즈키 리카(鈴木里佳)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STUDIO WIND HEART
타카미야 리나(高宮里菜) 운영
효고현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薫玲奈レッスン教室
카오루 레나(薫玲奈)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スタジオトップハット
히비노 모모코(日比野桃子)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ラヴニール未来
미카제 리자(美風りざ)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千城恵ミュージックストリート
치시로 케이(千城恵) 운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リリナミュージックスタジオ
마츠오카 리미(松岡理美) 운영
}}}}}}}}} ||

6. 졸업 후

TMS
본과생 졸업식 현장

예과와 본과를 합쳐 2년간 학교생활을 마친 후 극단에 입단할 수 있다. 학교에 입학할 때부터 아예 남역과 여역을 구분한다.[10] 학교에서는 성악, 발레, 일본무용 등 이상적인 다카라젠느가 되기 위한 모든 것을 엄격한 지도 아래 배우며, 혹독한 교습과 수련생활이 계속된다. 그래서 이렇게 힘든 과정을 함께 견디며 성장해 온 젠느들간의 동기애와 선후배 애(愛)는 매우 끈끈하며, 퇴단 후에도 후배나 동기생의 공연을 보러 오고, 공연장에 꽃을 보내거나 무대 활동을 함께 하기도 하는 등 훈훈한 관계를 유지한다.

다카라즈카 음악학교는 졸업 과정을 거치고 정식으로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단원이 되어도 연구과의 '생도'로 불린다. 한마디로 퇴단할 때까지는 이 학교의 생도이며, 공연은 어디까지나 생도가 배운 성과이자 발표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으로 인해 항상 새로운 출연자를 확보할 수 있고 양성 커리큘럼도 충실하며 교육의 질이 뛰어나다 보니 재능 있는 인재를 발굴하기도 용이하며 같은 교육과정을 거치므로 일관성 있는 장르 구성이 가능해진다. 또 이런 시스템은 급여나 계약인 측면에서도 인건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 다카라즈카 음악학교를 졸업하지 않으면 다카라즈카 무대에 설 수 없기 때문에 일반 뮤지컬이나 연극처럼 캐스팅 시 오디션이나 출연자 모집이 필요없다.

7. 사건 및 사고

7.1. 96기생 이지메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96기생 이지메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106기생 투신 자살 시도 사건 은폐


다카라즈카 가극단 소속 배우 자살 사건의 연장선으로 2023년 10월 26일, 주간문춘을 통해 106기생의 음악학교 예과생 시절 기숙사 발코니에서 한 학생이 투신자살을 시도했던 것을 은폐한 정황이 밝혀졌다.

2018년 6월, 다카라즈카 음악학교에 갓 입학한 예과생(106기생) A양이 선배들의 가혹한 갑질로 인해 기숙사 발코니에서 투신을 시도했다. 투신 직후 효고현 내 병원 중환자실로 옮겨져 전치 3주의 전신 타박상을 진단을 받았으며, 사건 다음 날 음악학교 교장 대리인은 본과생인 105기생과 예과생 106기생을 모두 모아 해당 사건을 입 밖으로 내지 말 것을 당부했다. 당시 A양의 가족은 학교 측에 재발 방지를 위해 학부모회의 개최와 제3자 위원회를 설치한 뒤 조사할 것을 여러 차례 요구했으나, 음악학교 측은 이를 묵살한 채 소극적인 대응을 이어갔고, A양은 그해 말 조용히 자퇴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건이 공표되지 않은 것과 원인 규명 요구를 묵살한 이유에 대해서 음악학교 측은 "학생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위해"라고 답했으며, "학생의 자주성을 존중한 나머지 지도 상황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했고, 그 결과 해당 예과생 뿐만 아니라 학생 전체에게 과도한 부담이 주어진 것에 대해 학교로서의 관리 책임을 강하게 느끼고 있다"고 덧붙였다.

A양의 아버지는 기사를 통해 "한 가지 말할 수 있는 것은, 다카라즈카의 은폐 체질은 당시부터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주간문춘 기자가 A양의 아버지에게 취재를 신청하자 아버지는 처음에 거절하였으나, 이후 다카라즈카 가극단 소속 배우 자살 사건으로 인해 취재에 응하게 되었다고 한다.

8. 출신 인물

기수 및 가나다 순으로 정렬합니다. 단, 동기생일 경우 입단 성적을 기준으로 하며 같은 조에 소속되어 있을 시 공식 사이트 정렬 순을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 퇴단자 #===

8.1. 현역

9. 창작물에서 모티브로 삼은 학교

10.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 때문에 정식학력이 부여되지 않았으나, 2000년대부터 희망자를 대상으로 고교졸업 단위이수제를 시행하고 있다.[2] 중퇴자가 있을 경우 변동 있음[3] 쿠로키 히토미의 증언에 따르면 타카라즈카대교 건너편 멀리에서도 인사를 했다고 하는데, 방송에 같이 나온 코미디언들이 "무슨 헤드뱅잉이냐"고 디스했다(...). 심지어 코미디언들의 소속사 요시모토 흥업은 코미디언 선후배간 군기가 센 것으로 유명함에도 불구하고 다카라즈카처럼 빡센 규칙을 적용하지는 않으며, 동년배인 NMB48도 이런 식의 군기는 없다.[4] 과제곡은 성량, 음정 등을 심사하고 신곡으로는 악보를 보고 이해하여 즉시 가창할 수 있는 능력을 심사한다.[5] 리듬감 등 기본적인 운동 능력이나 유연성, 서양 춤의 적절성 등을 심사한다.[6] 3차 시험 합격 발표의 경우 변경 가능성 있음[7] 나이 제한이 딱 4살 범위라 5수 이상은 불가능하다.[8] 101기생 사야카 린과 같이 출신지가 미국인 경우는 있다. 단, 사야카가 미국 국적인지는 불명.[9] 40명 선발에서 대략 6~10명 사이[10] 재학 중 지망하는 역할을 바꾸는 경우도 있다.[11] 황백 혼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