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세대 콘솔 게임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가정용 | 하이브리드 | 휴대용 | |
PS5 (Pro) | Xbox Series X | S | Nintendo Switch 2 | Playdate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13791><tablebgcolor=#013791> | PlayStation 콘솔 게임기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가정용 | ||||
{{{#!wiki style="margin:-16px -10px" | | | | ||
one · Classic | Slim | Slim · Super Slim | }}} | ||
| | ||||
Slim · Pro | Slim · Pro | ||||
휴대용 | |||||
| | ||||
2 · 3 · MHB · Go · Street | 2 · TV | ||||
VR | |||||
| | ||||
PlayStation 관련 문서 | }}}}}}}}} |
| ||
PlayStation 5 Pro 모델과 DualSense 컨트롤러 | ||
<colbgcolor=#013791><colcolor=#ffffff> 개발사 | ||
제조사 | ||
종류 | 가정용 거치형 게임기 | |
출시일 | 1차 출시국 - 2024년 11월 7일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유럽| ]][[틀:국기| ]][[틀:국기| ]]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홈페이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미국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가격[1] | ||
<rowcolor=#000000,#ddd> 지역 | PS5 Pro | |
| ₩1,118,000 | |
| $699.99 | |
| ¥119,980 | |
| €799.99 | |
| £699.99 |
[clearfix]
1. 개요
2024년 11월 7일 출시한 PlayStation 5의 고성능형 모델. 개발 코드네임은 Trinity다. 디스크와 디지털 에디션으로 나뉘어서 출시되었던 오리지널 모델들과는 달리 디지털 에디션으로만 출시. 따라서 물리 매체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별매 악세사리 상품인 PS5용 디스크 드라이브(출시가 158,000원)를 별도로 구입해야 한다.2. 트레일러
공개 트레일러 |
게임 라인업 |
==# 출시 전 정보 #==
PS5가 출시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이른 시에 Pro 관련 루머가 나왔다. # 2020년 7월 30일, 소니가 GPU가 2개가 탑재되는 새로운 특허를 취득했는데 이게 사실이라는 가정하에 더 높은 성능을 통한 프레임레이트 안정성, 그래픽 옵션 확장 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멀티 GPU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는가이다. 현실적인 시점에선 두 가지로 보고 있는데, 과거 AMD CrossFire처럼 물리적 2GPU를 묶어서 처리를 하는지, 아니면 AMD 측에서 RDNA3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하는 멀티 칩렛 구조를 적용시키는지이다. 일단 Pro의 출시 예상 기간을 3~4년 이내임을 고려한다면 후자 쪽이 유력할 것으로 추정된다. SLi나 크로스파이어와 같은 그래픽카드 다중 처리 방식은 개발사에서 따로 멀티 GPU에 대한 소프트웨어적으로 지원을 해야 하기 때문에 갈수록 적용되는 게임이 줄고 있고, 단일 GPU 성능 향상과 더불어 작업 등을 제외하면 도태되는 추세이다. 때문에 Pro가 출시되는 시기에는 적용되는 SoC의 구조는 기존과 제품과 확연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콘솔과 PC의 가격적인 합의점이 있어야 한다. 다만 PS5 출시 2달 전에 출시한 RTX 3000번대 그래픽카드는 성능상 이미 PS5보다 월등히 앞서있어[7] 3~4년뒤 차세대 그래픽카드가 등장한다는 가정하에 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이 지속되지 않는 한 그때쯤이면 PS5의 성능은 좋은 수준이 아니다. 따라서 Pro가 나오지 않으면 가격 대비 그래픽카드의 성능보다 도태될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이 주장은 콘솔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는 점도 있다. 콘솔의 경우 개발의 중점이 된다는 점에서 게임의 사양이 역으로 콘솔 쪽에 종속된다는 점, 그리고 성능 활용에 있어서도 PC에 비하면 게임에 사용되는 리소스 활용 수준이 다르며 PC 시장은 하드웨어 파편화로 인해 최적화가 상당히 빡빡한 반면 콘솔에서는 일정한 환경에서 일정한 사양으로 구동되는 만큼 최적화 면에서 유리하다. 전 시리즈인 PS4도 이후 Pro 모델이 나오는 등 성능 논란이 있었음에도 빡빡한 사양으로 AAA급 게임을 문제 없이 돌리는 등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또한 PS5가 발매된 지 3~4년이 지난 시점인 2023년 기준 4000번대 GPU의 가성비가 각 네이밍에 맞지 않게 최악의 가성비로 출시되면서 위의 주장은 별 의미를 가지지 않게 되었다. 즉, 2023년을 기준으로는 PS5보다 조금 더 나은 수준으로 평가받는 RTX4060 가격이 PS5 디지털 에디션의 오픈마켓 가격보다 조금 더 저렴한 수준이라 사실상 PC 게이밍의 성능과 비교하는 게 큰 의미가 없어진 것. 오히려 PC 게이밍 가격이 지나치게 올라버린 나머지 콘솔 게이밍의 가성비가 엄청나게 오르게 된 상황이라 순전히 게이밍을 목적으로 돈을 지출하고자 한다면 콘솔 기기를 사는 것이 가성비적인 측면에선 압도적으로 좋아진 셈.[8] 때문에 추후 Pro 모델이 기존 모델과 성능 차이가 미미한 수준으로 출시되지 않는 이상 Pro 모델도 어느 정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2021년 9월 8일, 반도체 업계쪽 루머를 다루는 유튜버 Moore's Law Is Dead에 따르면 PS5 Pro는 2024년 상반기에 출시될 예정이며 가격은 600~700달러에 AMD의 FSR 기술, 차세대 RDNA와 차세대 AMD ZEN 시리즈를 탑재해 평균 TDP가 300W를 넘는 8K 게이밍을 목표로 하는 게임기가 될 것이라 전했다. #
2023년 5월, 신뢰받는 업계 내부유출자인 톰 핸더슨은 PS5 Pro는 100% 개발 중에 있으며 이미 퍼스트 파티에 개발킷 배포를 준비 중으로 2024년 4분기에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
2023년 8월, PS5 Pro 관련 코드명과 대략적인 사양 루머가 나왔다. PS5 Pro의 개발 코드명은 '트리니티', APU 코드명은 '비올라'로, TSMC의 3나노(N4P) 공정을 사용하며, GPU는 Radeon RX 7000 시리즈를 기반으로 30개의 컴퓨팅 그룹 프로세서(WGP), 60개의 컴퓨팅 유닛(CU)이 탑재되고, GDDR6 메모리 속도는 18Gbps로 2024년 하반기에 출시될 예정이며 기존 PS5의 GPU는 18개의 WGP, 36개의 CU, 14Gbps의 GDDR6 속도로, Pro는 노멀 버전보다 최대 2배 가량 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4년 7월, Insider Gaming의 저널리스트 Tom Henderson에 따르면 2024년 연말로 예정된 PS5 Pro 출시가 연기되지 않았다고 한다. 2024년 봄에 개발 키트가 개발자들에게 발송되었으며, 7월 30일에 콘솔에 대한 첫 번째 지원 인증 제출이 소니에 제출될 예정이고 9월 15일부터는 PS5 출시를 위해 소니에 제출되는 모든 게임도 PS5 Pro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PS5 Pro는 레이 트레이싱 지원이 강화된 개선된 GPU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
게임 업계 인사이더 billbil-kun에 따르면 Pro 모델의 디자인은 오리지널 슬림 모델과 거의 유사한 디자인으로 출시될 것이며, 기존 오리지널 모델의 교체형 커버와도 호환이 된다. 오리지널 모델과 Pro 모델의 디자인적 차이점은 크게 1개에서 3개로 늘어난 가운데 줄과 더 커진 부피로 구별된다. 디스크 드라이브는 별도로 구매해야 하며, 가격은 600달러로 예상했다.
2024년 9월 10일 오전 8시(태평양 표준시)/오전 11시(동부 표준시)에 PS 기술 프레젠테이션 일정이 잡혔는데 PS5 Pro의 공개를 위한 프레젠테이션으로 예상되었다. 9월 16일 이후에 출시되는 모든 게임을 PS5 Pro와 호환되도록 개발자가 만들어야 한다는 소문을 보면 의외로 발표 이후 출시도 금방일 것이란 추측이 있었다.
최종적으로 해당 기술 프레젠테이션에서 PS5 Pro가 공개되었다. 공개된 성능 정보는 SIE 개발자 문서나 인사이더 발언으로 사전 유출된 정보와 동일하다. 출시 가격은 699.99달러이며 출시일은 2024년 11월 7일로 정해졌다.
3. 제원
||<tablealign=center><width=150><tablewidth=900><table bordercolor=#013791><colbgcolor=#013791><colcolor=#ffffff><table bgcolor=#ffffff,#1c1d1f> CPU ||시스템
AMD Zen 2 기반 커스텀 마이크로 아키텍처
제원: 8코어 16스레드
최대 클럭 3.5 GHz (표준 모드), 최대 클럭 3.85 GHz (높은 주파수 모드)[9] ||
AMD Zen 2 기반 커스텀 마이크로 아키텍처
제원: 8코어 16스레드
최대 클럭 3.5 GHz (표준 모드), 최대 클럭 3.85 GHz (높은 주파수 모드)[9] ||
GPU | 시스템 제원: 30 WGPs (60 CUs, - SPs, - TUs, - RAs), - ROPs, L2 캐시 메모리 4MB[10], 최대 2.18GHz 특수 부속: 캐시 메모리 일관성 엔진 |
FP16 연산 성능: 16.7 TFLOPS INT8 연산 성능 (NPU): 300 TOPS | |
메인 메모리 | GDDR6 16 GB[11] DDR5 2 GB[12] |
내장 저장 장치 | 2TB[13] |
광학 드라이브 | 없음 (탈부착 가능한 별도 디스크 드라이브 연결 가능) |
네트워크 | IEEE 802.11 a/b/g/n/ac/ax/be(Wi-Fi 7) |
크기 | PS5 pro™: 388 × 89 × 216 mm , 3.1 kg |
해당 내용은 개발자 커뮤니티와 기술분석집단을 통해 유출된 SIE 개발자 문서에 실려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오리지널 모델 대비 차이점 위주로 정리된 표이며, 해당 표에 기재되지 않은 사양 정보는 오리지널 모델(PlayStation 5) 문서를 참조할 것.
4K UHD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 및 수직 받침대는 별도로 판매된다. 듀얼센스와 플레이스테이션 포털, 탈부착 가능한 별도 구매 디스크 드라이브, 수직 받침대와 같은 액세서리는 프로 모델에서도 그대로 사용 가능하지만 콘솔 커버는 프로 모델과 호환되지 않는다. 프로용 콘솔 커버는 향후 별도 출시될 예정이다.
3.1. CPU
- 높은 CPU 주파수 모드
더 많은 전력을 CPU에 할당해 CPU 클럭을 3.5Ghz에서 3.85GHz로 10% 증가시키는 CPU 중시 작동 모드. 단, CPU에 전력이 집중되는 동안 GPU의 클럭은 약 1.5% 다운클럭된다. 개발자는 3.5GHz의 표준 모드 또는 3.85GHz의 높은 CPU 주파수 모드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표준 모드는 오리지널 PS5의 CPU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전력 예산이 허용되는 경우 3.5GHz에서 실행되고, PS5가 전력 집약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3.5GHz보다 더 낮은 클럭 주파수로 CPU가 작동한다. (AMD SmartShift)
3.2. GPU
SIE의 개발자 문서와 발표회 내용에 따르면 PS5 Pro는 오리지널 모델 대비 GPU의 컴퓨트 유닛 수가 기존 36CU에서 60CU로 증가해 최대 45% 향상된 렌더링 성능을 지닌다.그간 소문이 무성했던 PS5의 3배에 달하는 33.5 TFLOPS라는 수치가 AMD RDNA 3 마이크로아키텍처의 듀얼 이슈 디자인 아키텍처에 의해 연산성능이 2배로 뻥튀기된 FP32 연산 속도라고 한다면 33.5 TFLOPS라고 표기해도 문제는 없겠으나, 실제 소니가 공개한 사양 표에서는[14] 16.7 TFLOPS만 기재된 것으로 보아 PS5 Pro의 GPU는 RDNA 3의 듀얼 이슈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마크 서니가 기술 세미나#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PS5와의 호환성을 위해 RDNA 2 베이스로 RDNA 3의 일부 기능을 가져온 커스텀 RDNA 2.x라고 밝혔다.
- 가변 속도 음영 / 거친 픽셀 음영 (VRS, Variable Rate Shading) 지원
오리지널 모델은 VRS 기능을 하드웨어 지원하지 않아 개발자들이 포워드 렌더 과정에서 제한적으로 VRS를 흉내내는 방식으로 우회해 유사 VRS를 구현했는데 PS5 Pro는 정식으로 하드웨어가 VRS 기능을 지원한다. - 프리미티브 셰이더 보강
RDNA 1과 PS5 오리지널 모델에서 사용하던 프리미티브 셰이더가 메시 셰이더에 대한 완전한 지원 등급으로 보강되었다. SIE는 메시 셰이더의 엄격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여 PC API 표준(DirectX 12)과 비교해 더 이상 프리미티브 셰이더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 GPU 캐시메모리 증가
WGP당 4MB의 L2 캐시는 동일하게 유지되는 반면 셰이더 엔진당 더 많은 컴퓨팅 유닛을 수용하기 위해 L1 캐시는 128KB에서 256KB로 2배 늘어났다. L0 캐시도 16KB에서 32KB로 확장됐으며, 이는 더 높은 레이트레이싱 성능을 수용하기 위한 설계였다고 SIE는 문서에서 밝혔다. - 차세대 하드웨어 가속 RT 유닛
기존에 문제점이 많던 RDNA3의 RT 유닛에서 개선된 RDNA4용으로 설계된 RT유닛을 적용해 기존 모델 대비해서도 2배의 레이트레이싱 성능 향상을 보이며 최적의 조건에서는 3배 가량 차이나는 레이트레이싱 능력을 선보인다. - 울트라 부스트 모드 / 호환성을 위한 오버클럭 (추정)
PS5는 하드웨어 성능을 구형 기종의 성능치로 낮추어 구형 하드웨어를 모방해 게임을 속이는 하드웨어 스푸핑 방식으로 하위호환을 지원하고 있다. PS5 Pro의 GPU 클럭이 2.18GHz라면, 최대 2.23GHz 클럭으로 게임을 구동하는 PS5 오리지널 모델 게임이 프로와 호환되지 않거나 심각한 성능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오리지널 모델과의 게임 호환성 확보를 위해 PS5 오리지널 모델 게임 구동 시 GPU 클럭을 최대 2.35GHz로 끌어올릴 수 있단 추측이 있다.
SIE는 개발자가 별도의 지원과 패치로 기존 게임을 향상시키는 PS5 Pro Enhanced 이외에도, 개발자의 지원 없이 자동으로 기존 PS5 게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울트라 부스트 모드'를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울트라 부스트 모드의 정체가 사실은 특별한 요령 없이 GPU 클럭을 2.35GHz로 오버클럭시켜 기존 PS5 타이틀을 더 안정된 프레임, 더욱 높은 동적 해상도에서 구동 시키는 개념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다. SIE의 내부 문서에는 고정 해상도와 프레임 속도를 갖춘 패치되지 않은 게임은 울트라 부스트를 사용해도 아무런 개선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분명히 명시되어 있어서 이러한 추측이 힘을 받고 있다. 울트라 부스트 모드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타이틀은 동적 해상도와 가변 프레임을 사용하는 게임만 해당된다.
3.2.1. NPU
- 인공지능 가속기 NPU 탑재
NPU가 탑재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PS5 Pro의 INT8 연산 성능은 134 TOPS로 계산된다. 정작 기술 문서에선 300TOPS라는 수치가 나오므로, 사실 AI 가속기인 NPU의 성능이 300 TOPS인 것으로 보인다. NPU 아키텍처의 기술 수준은 스트릭스 포인트에 탑재된 것과 같은 레벨이다. (XDNA 2 아키텍처)
NPU를 활용하는 AI 솔루션(PSSR, AMD FSR 등)의 품질이 중요하지, NPU의 연산 성능이 높다고 해서 좋은 결과물도 함께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15] NPU 성능이 높으면 더 무겁고 복잡한 AI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길 뿐이나 PS5 Pro에서 이 NPU를 사용하는 기능은 PSSR말곤 없기 때문에 PSSR 전용 하드웨어라고 봐도 된다.
- PSSR(PlayStation Spectral Super Resolution)
PC 게이밍에서 이제 보편화된 DLSS 기술에 대응하는 인공지능 기반 업스케일링/안티에일리어싱 솔루션 PSSR이 탑재된다. PSSR을 사용하기 위한 전용 AI 가속기(NPU)가 GPU에 탑재되며, 아키텍처도 머신러닝에 적합하게 개조되어 300 TOPS 성능의 8비트 정수 연산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3.3. RAM
오리지널과 동일한 용량의 16GB RAM을 탑재했다.- 바뀐 RAM 용량 배분
OS용으로 DDR5 2GB가 추가되어서 개발자는 오리지널 모델 대비 1.2GB의 메모리를 추가로 더 사용할 수 있어, 게임에 총 13.7GB의 메모리를 활용할 수 있다.
- 28% 더 빨라진 RAM
3.4. 오디오
- 오리지널 모델 대비 오디오 압축 관리자의 성능이 약 35% 증가
오디오 처리 칩의 클럭이 높아져 오디오 압축 관리자의 성능이 약 35% 증가했다.
3.5. PS5 Pro Enhanced & PS5 Pro Game Boost
개발자가 게임을 기기 성능에 맞게 따로 최적화와 향상작업을 했으면 PS5 Pro Enhanced 타이틀이 되고, 따로 하지 않았으면 울트라 부스트 모드를 통해 더욱 안정된 프레임이나 높은 동적 해상도로 즐길 수 있는 것이니 성능 체감은 당연히 PS5 Pro Enhanced 타이틀 쪽이 훨씬 높다.- PS5 Pro Enhanced
전세대의 PS4 Pro Enhanced에 대응하는 PS5 Pro Enhanced 게임 타이틀을 제공할 예정이다. 개발자가 PS5 Pro의 성능에 걸맞게 별도 작업(PSSR 적용 등)을 거친 타이틀을 PS5 오리지널 모델보다 더 높은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레이싱 성능으로 즐길 수 있다. 출시 당일 약 40~50개의 Pro Enhacned 게임 타이틀을 지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출시 당일 Pro Enhanced가 적용되는 게임 타이틀은 다음과 같다.
- PS5 Pro Game Boost
8,500개 이상의 PlayStation 4 하위 호환 게임에 적용 가능한 PS5 Pro Game Boost 모드를 지원한다. 이 모드가 작동하면 해당 게임의 성능을 안정화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 개발자의 별도 지원이나 패치 없이도 기존 게임을 더 쾌적한 환경과 성능으로 즐길 수 있는 울트라 부스트 모드(ultra-boost mode)다. 고정 해상도, 고정 프레임을 사용하는 게임엔 아무런 개선이 없지만 동적 해상도와 가변 프레임을 사용하는 게임은 게임 부스트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3.6. 기타
- 내장 저장소 용량 확장
슬림 모델은 1TB였지만 Pro 모델은 내장 저장소 용량이 2TB로 확장되었다.
- 총 4개의 USB 포트 지원
전면은 USB C타입 2개, 뒷면은 A타입 2개를 지원한다.
- 너프된 듀얼센스
일부 PS5 프로에 들어간 듀얼센스의 L2, R2 버튼의 트리거 축 힌지 부품이 메탈에서 플라스틱으로 너프되었다. 제조일자가 2024년이면서 모델번호 F5로 시작되는 듀얼센스가 바로 그 너프된 듀얼센스이며 기판은 BDM-050 이다. 그러나 또 일부 PS5 프로에 들어간 듀얼센스는 해당 부품이 메탈 그대로인 경우가 있는데 제조일자 2023년이면서 모델번호 G3으로 시작하는 듀얼센스이다.
4. 발매
출시 직후 SIE의 11월 분기 보고에서 정확한 판매량에 대한 이야기는 없이 일단은 PS5 Pro의 초동 판매량이 PS4 Pro보다 높다는 COO 토토키 히로키의 보고가 있었으며 이후 시장분석가들을 통해 11월 1달간 판매량은 PS4 Pro 랑 비교했을때 50%이상의 매출향상/12% 하락한 판매량을 보였음이 밝혀져 흥행에 적신호가 켜졌다.5. 디자인 목록
6. 논란 및 문제점
7. 반응
- IGN에서 올린 투표에서도 86% 가량의 투표자들이 Pro 모델을 사지 않겠다고 답변하는 등 전체적으로 구매 의사가 낮으며, BBC와 이야기한 시장 조사 업체 암페어 사의 피어스 하딩-롤스 분석가는 "PS5 Pro의 가격대는 필연적으로 많은 논평을 불러일으킬 것입니다"라며 벌써부터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가성비 문제와 비싼 출고가에 대한 우려가 들려오고 있다. #
- 예상을 크게 넘은 가격으로 출시된 탓에, 일각에서는 콘코드로 입은 역대급 손실을 PS5 Pro의 마진으로 충당하려는게 아니냐는 추측을 하기도 하는데 이미 가격 책정은 콘코드의 흥행 실패와 상관없이 몇달 전에 끝났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현실성은 낮다. 다만 이런 루머가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소비될 만큼 PS5 Pro의 가격이 충격적으로 높다고 생각하는 의견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하필 직전의 헬다이버즈 2 사건과 콩코드의 실패에 이어 연달아 터진 이슈이기에 소니에 대한 이미지에 더욱 중대한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터무니없는 가격 때문에 과거 닌텐도 3대 회장 야마우치 히로시의 발언[16]이 주목을 받기도 했다.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前 CEO 마이크 이바라가 "기존 PS5를 팔면 350달러를 받을 수 있으므로 실제 업그레이드 비용은 350달러다"라는 소니 CEO에 빙의한듯 한 기적의 계산법을 내세워서 온갖 곳에서 욕을 먹고 있다. #
- 국내에서는 SIE의 PS 부문 담당 니시노 히데아키 CEO는 PS5 Pro의 가격 책정에 대해 가격 인상이 아닌 가격 변경이라며, PS5 Pro의 가격 인상으로 얻은 이익을 재투자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고 알려졌는데 국내 웹진에서 잘못된 정보를 바탕으로 기사를 쓴 것이다. 원본 기사에서는 플스 5와 플스 5 프로에 대한 질의응답을 각각 받았고 가격 인상과 이를 재투자 하겠다는 발언은 플스 5 프로가 아닌 2022년 8월에 있었던 기존 플스 5의 가격 인상에 대한 답변이다. 이 기사의 내용을 발췌한 글이 해당 내용을 오해한 채 올렸고 이 캡쳐본이 각종 커뮤니티를 돌아 이를 바탕으로 잘못된 내용이 웹진의 기사로까지 올라간 해프닝이다. 원본
- 2024년 9월 30일, Digital Foundry에서는 소니가 PS5 Pro를 통해 PS6를 위한 기초를 닦고 있다고 분석했다. 소니는 PSSR AI 업스케일링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여 다듬어둬야 되고 개발자들은 PC에만 집중하지 않고 이러한 기술에 익숙해져야 된다고 한다. #
- 시장분석가들도 PS5 Pro의 판매 성적에 있어 회의적인 의견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으며 판매 전망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엇갈린다. #
- 긍정적으로 보는 분석가들의 경우는 100~200달러짜리 게임 에디션이 유의미한 판매량을 보이고 199달러짜리 PlayStation Portal이 팔리는 시점에서 현대에 콘솔에 200달러 정도 더 투자하는 사람은 충분히 유의미하게 있을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으며 700달러면 현실적인 한계에 가깝긴 하나 전자기기의 가격이 점점 올라가고 유저들이 고성능 기기에 많은 지출을 하는 것을 보아 PS4 Pro수준의 판매고는 쉽게 올릴수 있다고 보고있으며 가격이 올라간 만큼 수익은 더 높을수 있다고 본다.
- 부정적인 입장은 성능향상이 가격을 납득시킬 수준이 아니라고 보는 측으로 67%가량의 성능향상으로 200달러를 요구하는 것이 합당하냐는 평가로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PS5의 가격은 체감상 PS3 80GB버전과 동일한데 차라니 PS3는 완전히 새로운 콘솔이기라도 했지 거쳐가는 세대의 기기에 그정도를 투자할 것인가 자체에 회의적인 의견으로 특히 PS5 Pro가 아무리 잘 팔려도 전체 PS5 판매에 비해 소수일수 밖에 없는데 콘솔 판매를 견인해줄 게임 개발 업체들이 PS5 Pro를 위해 적극적으로 개발해줄 가능성이 많지 않다고 보기 때문이며 판매량이 있어도 기존에 PS5 유저가 Pro로 바꾸는 정도에 그쳐 전체 플레이스테이션 플랫폼 유저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것이라고 본다.
- 시장분석 업체들은 전반적으로 PS5 Pro가 아무리 잘 팔려도 PS4 Pro와 비슷한 수준에 그칠것이라고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한 미디어 리서치도 1500만대 정도로 PS4 Pro와 비슷할것이라고 평가하며 나머지 업체들은 2024년 한해에만 150만대 팔릴지도 의문이고 전체로 봤을때도 PS4 Pro가 달성한 1450만대 수준에는 못미치고 가장 낮은 평가를 한 SJN Insight 는 2024년 한해에 100만대 판매달성도 힘들것이라는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 2024년 11월 4일, Insomniac 개발자들은 PS5 Pro의 PSSR은 시각적 충실도를 다음 단계로 끌어올리는 게임 체인저라고 언급했다. PSSR AI 업스케일링 기술은 더 이상 게이머들이 그래픽 품질과 60프레임 성능 사이에서 고민하게 하지 않을 것이라며 시각적 충실도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획기적인 기능이라고 극찬했다. #
8. 평가
성능 업그레이드의 경우 PS5 Pro Enhanced 지원이 되느냐 아니냐에 따라 평이 갈린다. PS5 Pro Enhanced 게임들은 그렇지 않은 게임보다 그래픽 화질과 프레임 성능이 확연하게 향상되었다는 것이 중론이나 그렇지 못한 게임은 이른바 깡성능으로 인한 미미한 향상 또는 아예 성능 향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이는 콘솔 특성상 게임 개발사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지 않으면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일례로 고정 해상도와 30프레임 락을 걸어놓는 레드 데드 리뎀션 2같은 경우는 PS5에서도 훨씬 나은 게이밍 환경이 가능하나, 개발사인 락스타에서 차세대 지원 업데이트를 하나도 해주지 않아 PS5 버전이나 PS4 버전이나 똑같은 해상도와 프레임으로 구동이 된다.[17]게임 자체에서 해상도와 프레임 락을 걸어놓지 않은 게임들은 PS5보다 확실히 나은 성능을 보여주며, 일례로 PS5 Pro Enhanced 업데이트를 하지 않은 엘든링은 PS5 버전보다 더 높은 해상도로 렌더링되며 프레임 역시 약 10~15프레임 가량 향상된 모습을 보여준다. 엘든링 PS5 vs PS5Pro 비교 영상
하지만 거진 1.5~2배 가까이 오른 가격을 감안하면 확실히 어딘가 부족하다는 감상을 빼놓을 수 없다고 대부분의 리뷰어들이 얘기한다. PS4 Pro때 처럼 해상도가 4배 올라간다 하는 변화도 없으며 주요 세일즈 포인트중 하나인 PSSR은 게임 제조사가 게임을 인핸스드 패치에 대응하지 않는 이상 체감할 수 없다.[18] 이런 문제 때문에 기존 PS5 보유자들이 말 그대로 기존 플스를 중고로 40쯤에 팔고 거의 70에 산다 하더라도, 그 만큼의 수고와 추가지출을 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는 의문이 든다.[19]
[1] 디스크 드라이브 및 수직 받침대 가격 별도.[A] VAT 10% 포함.[B] 세금 미포함.[C] 세금 포함.[B] [B] [7] 콘솔과 PC의 매커니즘 자체가 달라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PS5의 GPU는 RTX 2070 Super 정도로 평가된다. 역시 1대1 비교는 어렵지만 40번대 GPU 기준으로는 RTX 2070 Super와 비교해 동급 이상 쯤으로 평가받는 RTX 4060 정도로 보면 된다.[8] 4000번대 GPU가 원래 예상 네이밍대로 나왔다면 이정도까지 가성비 격차가 벌어지진 않았겠지만 A.I 등 GPU 활용 분야가 훨씬 넓어지면서 어쩌다보니 콘솔 게이밍 가성비가 상당히 압도적인 수준까지 올라오게 된 것.[9] CPU에 추가 전력을 부여해 클럭을 3.85GHz로 끌어올리는 대신 GPU를 약 1.5% 다운클럭 하는 작동 모드.[10] 오리지널 모델 대비 L0 캐시는 16KB에서 32KB로 향상. L1 캐시는 128KB에서 256KB로 향상.[11] 게임용 삼성 GDDR6 2기가 X 8개[12] 운영체제용 SK하이닉스 제조[13] 슬림 모델 1TB 대비 1TB 확장된 2TB 용량. 삼성 NAND SSD 512gb x 4개[14] PS5 Pro에 동봉된 안전 가이드[15] NPU는 범용 하드웨어가 아니고 특수 목적 하드웨어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는 솔루션이 뒷받침되어 있지 않으면 '깡성능으로 어떻게든 좋은 결과물이 나오겠지'라는 전제가 성립되지 않는다. 스마트폰 기준으로 NPU의 연산 능력이 아무리 높아봤자 ISP나 제조사의 AI 후처리 및 보정 기술이 떨어지면 사진이 좋게 찍히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다.[16] "4만엔이나 하는 게임기는 장난감이라 부를 수 없다."[17] 이부분도 사실 가성비 논란에 포함된다. 엑스박스 시리즈 콘솔들의 경우 하위호환 게임들의 경우 스마트딜리버리를 통한 차세대 버전 구동 말고도 미지원 게임들에 대한 16X 비등방성 필터링, 자동 HDR지원등을 지원하기 때문. PS5 Pro또한 미지원 게임들에 대해서 단순 프레임제한,해상도 제한 완화가 아닌 추가적인 퀄리티 향상이 있었다면 욕먹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18] 비슷한 기술인 FSR이 그래픽 드라이버 지원 SW 차원에서 강제로 게임에다가 먹일수 있다는걸 감안하면 매우 아쉬운 문제점중 하나이다. PSSR의 퀄리티가 FSR보다 뛰어나다는 점에서 PSSR이 OS차원에서 기본으로 적용 가능했다면 PS5 Pro의 가성비 논란이 애초에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미지원 게임에 강제로 인젝션할 수 있는건 FSR 1.0 뿐이고, FSR 2 이상이나 DLSS를 그렇게한 사례가 없기에, 구현했더라도 FSR 1.0/RSR처럼 Spatial (공간적) upscaling만 적용되었을 것이다.[19] 다르게 생각하면 이번 기회에 싸게나오는 중고를 잡고 1~2년 가지고 논다고 했을때 아주 가성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