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07:59:23

RMS 퀸 메리 2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RMS Queen Mary 2'''{{{#!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목포와 제주 사이를 운항하는 연안여객선}}}에 대한 내용은 [[퀸메리2]]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퀸메리2#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퀸메리2#|]]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목포와 제주 사이를 운항하는 연안여객선: }}}[[퀸메리2]]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퀸메리2#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퀸메리2#|]]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RMS_Queen_Mary_2.jpg
RMS Queen Mary 2

1. 개요2. 제원3. 특징4. 대한민국 입항5. 기타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아커 야즈 소속 프랑스 생 나제르의 아틀랑티크 조선소에서 건조하고 영국 큐나드 라인에서 운영중인 대서양 정기 여객선이자 럭셔리 크루즈선. 대서양 정기 항로가 사장된 21세기 시점에서 '최후의 대서양 정기 여객선'으로 취급되고 있다.

1934년에 건조된 총톤수 8만톤급 여객선 RMS 퀸 메리를 계승한 여객선이다. 1940년에 건조된 여객선 퀸 엘리자베스가 퇴역도 하기 1년 전인 1967년 후계선인 총톤수 7만톤급 RMS 퀸 엘리자베스 2가 나온 것과 달리, 퀸메리가 퇴역한 지는 37년, 퀸메리가 건조된 지 69년이 되는 해에 퀸 메리 2호선이 등장했다

모항은 버뮤다의 해밀턴이다.

2. 제원

파일:6900b1df427852d0efabf78e3d929aa4.gif
선적: 버뮤다
모항: 해밀턴(Hamilton)
선급: 퀸 메리 2급 여객선(Mauretania class)
소유주: 큐나드 해운(Cunard Line)
선박 제원
  • 기공: 2002년 7월 4일
  • 진수: 2003년 3월 21일
  • 취역: 2004년 1월 12일
  • 총톤수 (내부용적): 149,215 GT
  • 만재 배수량: 79,287톤
  • 전장: 1,132피트 (345.03 m)
  • 전폭: 135피트 (41 m)
  • 높이: 236.2피트 (72 m)
  • 흘수: 33.8피트 (10.3 m)
  • 갑판: 18층
  • 주기관: 4x 바르질라 16V46C-CR V형 16기통 디젤 엔진, 90,100마력 (67,200 kW) + 2x GE LM2500 가스터빈, 67,000마력 (50,000 kW)
  • 추진체계: 통합 전기식 4x 롤스로이스 plc/알스톰 머메이드 추진포드
  • 발전설비: 126.76 MW 통합 발전기
  • 순항속도: 26노트 (48 km/h, 30 mph)
  • 최대속도: 30노트 (56 km/h, 35 mph)
  • 승객: 2,695명
  • 승무원: 1,253명
  • 무선호출 부호: ZCEF6
  • 선령: 20년 3개월

3. 특징

총톤수[1]가 무려 15만톤급[2]으로 취역 당시 세계최대의 여객선 타이틀을 보유했으나, 2년 후인 2006년 4월 로얄 캐리비안 인터내셔널의 프리덤급 크루즈선인 MS 프리덤 오브 더 시즈(총톤수 15만 4천톤급)가 완공되면서 타이틀을 내주게 된다. 다만 최후의 대서양 정기 여객선답게 '세계최대의 대서양 정기 여객선' 타이틀은 여전히 유효한 상황.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대서양 정기 항로가 사장된 현 시점에서 RMS 퀸 메리 2 이후 새로운 대서양 정기 여객선이 등장할수 있을지 미지수이기 때문에 해당 기록은 계속 유효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 크루즈선들과 비교했을때 북대서양의 악명높은 악천후에 대응하기 위해 건현[3]이 상당히 높고, 상갑판 근처 측면은 밀폐식 구조를 채택했다. 같은 이유로 구명정 설치 위치도 여타 선박들보다 높게 되어있는데, 국제 해상 인명안전 협약(SOLAS)[4]의 구명정 설치 기준은 '흘수선 위 15 m'이지만 RMS 퀸 메리 2는 예외를 인정받아 흘수선 위 25 m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추진체계는 흔히 아지포드[5]라 칭하는 통합 모터 추진포드 방식이다. 롤스로이스 plc알스톰이 합작으로 개발한 머메이드 포드로, 한기당 21.5 MW의 무지막지한 출력을 자랑하는 물건. 선미 하부에 총 4기가 장착되어 있으며[6] 뒷쪽 포드 한쌍은 360도 회전이 가능해 러더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참고로 큐나드는 기존 자사의 여객선들처럼 RMS 퀸 메리 2 역시 둥근 선미 디자인[7]을 적용하려 했으나, 추진포드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직각으로 떨어지는 트랜섬식 선미 디자인이 필요했다. 결국 트랜섬식 디자인을 적용하되 그 뒷부분에 추가 선체를 이어 어라운드 디자인을 합친 방식으로 완성시키게 된다.

4. 대한민국 입항

파일:Queen Mary II Busan Port.jpg

2017년 3월 24일에 처음으로[8]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 관광 목적으로 입항했던 기록이 있다. # 이는 국내 사상 최대크기 여객선박 입항기록이다.
파일:Queen Mary II Incheon Port.jpg

이후 부산항에서 10시간 가량 기항했고, 오후 6시 쯤 중간 기착지인 나가사키에 잠시 들렀다가 27일 오전 8시에 인천항에 정박, 당일 오후 10시에 인천항을 출발해 상하이항으로 뱃머리를 돌렸다.

5. 기타

여담으로 이 배엔 1934년 선대 퀸 메리가 건조될때 생산되어 퀸 메리에 달린 기적이 달려있다. 이 기적은 RMS 퀸 메리 2호에게는 매우 의미있는 기적으로, 도합 2개가 달려있는데, 이 중 1개는 정품 Tyfon 575이고 나머지 하나는 그 복제품인데, 이 중 하나는 퀸 메리 2가 프랑스에서 건조가 한창 진행되던 2002년, 선샤인 큐나드 라인이 롱비치항에 정박되어있는 퀸 메리 2의 선대인 RMS 퀸 메리의 두 번째 연돌에 달려있던 것을 자매선 RMS 퀸 엘리자베스 2에 적재해 프랑스로 가져와 본선에 이식한 것이다.[9] 아무래도 퀸 메리라는 배 자체가 역사적 가치가 높고 연결과 전통을 의미하기 위해 새로운 퀸 메리 2에 오리지널 퀸 메리의 장착되었던 기적을 장착한 걸로 보인다. 여담으로 자매선인 RMS 퀸 엘리자베스도 동일한 Tyfon 575를 사용하였는데 RMS 퀸 엘리자베스 2에 이식하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RMS 퀸 엘리자베스 2RMS 퀸 엘리자베스가 퇴역하기 전부터 이미 완성되어 있었고, RMS 퀸 엘리자베스는 퇴역한 지 얼마 안 지나 홍콩 앞바다에서 화재로 인한 선체 폭발 및 붕괴로 침몰했기 때문에 재사용할 수가 없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dbe4db>파일:Royal_Monogram_of_Queen_Mary_(of_Teck)_of_Great_Britain.svg.png 테크의 메리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6cab98,#b7c8b6>역임 지위<colbgcolor=#fff,#1f2023>영국 왕비 · 영연방 왕국 왕비(인도 제국 황후 · 캐나다 왕비 · 호주 왕비 · 뉴질랜드 왕비) · 영국 왕대비 · 영국 대왕대비 · 웨일스 공비 · 요크 공작 부인 · 콘월 공작 부인
생애 생애
재위 시기 왕비 시절 (제1차 세계 대전)
왕대비 시절 (제2차 세계 대전)
대왕대비 시절
가족 관계 가족 관계
아버지 프란츠 폰 테크 · 어머니 메리 애들레이드 · 배우자 조지 5세 · 동생 알렉산더 케임브리지 · 장남 에드워드 8세 · 차남 조지 6세 · 장녀 프린세스 로열 메리 · 3남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 4남 켄트 공작 조지 왕자 · 5남 영국의 존 왕자
기타 영국 · 윈저 왕조 · 대영제국 · RMS 퀸 메리 · RMS 퀸 메리 2 · 퀸 메리급 순양전함 · 퀸 메리 런던 대학교 · 켄싱턴 궁전 · 더 크라운 (테크의 메리(더 크라운))
}}}}}}}}} ||



[1] Gross tonnage, 배수량(Displacement)과는 다른 개념이다. 역사적 배경 때문에 단위가 ton이지만, 실제로는 내부용적울 뜻한다[2] 타이타닉의 총톤수(46,328t)보다 약 3배 이상이나 된다.[3] 흘수선에서 상갑판까지의 높이, 사진상 짙은 남색의 선체 부분.[4] Safety of Life at Sea.[5] Azipod®, ABB에서 개발한 추진포드의 상표명이지만, 캐터필러호치키스처럼 추진포드를 뜻하는 대명사로 많이 쓰인다.[6] 이 덕분에 RMS 퀸 메리 2는 1974년에 퇴역한 SS 프랑스 이후 등장한 최초의 4축 추진 여객선으로 기록되었다.[7] RMS 타이타닉의 선미 디자인을 생각하면 된다.[8] 사실 한국 첫 입항은 아니다. 부산항에 들어오기 전에 제주해군기지에 입항했었기 때문. 물론 부산항으로 따지면 처음이 맞긴 하다.[9] 퀸 메리 2가 퇴역할때 퀸 메리 1의 두 번째 연돌에 원상 복구하는 조건으로 퀸 메리의 소유주인 롱비치 시가 큐나드 라인에게 기적을 빌려준 것이다.[10] 영화에 등장하는 선박이 퀸 메리 2를 모티브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