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문서: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2025 시즌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PL 참가팀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Bilibili Gaming DreamSmart | Weibo Gaming TapTap | Top Esports | LNG Ninebot Esports | |
Anyone's Legend | Ninjas in Pyjamas | JDG Intel Esports Club | FunPlus Phoenix | |
LGD Gaming | Thunder Talk Gaming | Oh My God | Invictus Gaming | |
Edward Gaming Hycan | Ultra Prime | Team WE | Royal Never Give Up | |
LDL 참가팀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Royal Never Give Up Royal Club | |
Royal Never Give Up Royal | ||
Royal Never Give Up | ||
Royal Never Give Up | ||
Royal Never Give Up.Mobile | ||
Royal Never Give Up |
<colbgcolor=#b4936a><colcolor=#ffffff> 로열 네버 기브 업 | ||||
Royal Never Give Up | ||||
창단 | 2015년 5월 16일 | |||
소속 리그 | LPL | |||
CEO | 야오진청 | |||
총매니저 | 루하오 Stms | |||
매니저 | 류펑 Pencil | |||
총감독 | [[주카이(e스포츠)|주카이 KenZhu ]] | |||
감독 | [[이관형|이관형 Heart ]] | |||
코치 | [[임혜성|임혜성 Comet ]] | |||
분석 | 바이런제 May | |||
주장 | ||||
약칭 | RNG | |||
우승 기록 | ||||
MSI (3회, 최다) | 2018, 2021, 2022 | |||
LPL (5회) | 2016 스프링, 2018 스프링, 2018 서머, 2021 스프링, 2022 스프링 | |||
RR (2회, 최다) | 2017, 2018 | |||
Demacia Cup (3회) | 2017 서머, 2018 서머, 2019 | |||
NEST (1회) | 2023 | |||
로스터[* [[저우린|저우린 Juice ]] : 2024년 12월 16일 비활성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4936a><colcolor=#ffffff> TOP | [[쉬싱쭈|쉬싱쭈 Xiaosu ]] | ||
JGL | [[차이쯔쥔|차이쯔쥔 milkyway ]] | |||
MID | [[린위훙|린위훙 Tangyuan ]] | |||
BOT | [[쯔자치|쯔자치 JiaQi ]] | |||
SPT | [[당보린|당보린 Lele ]] | }}}}}}}}}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clearfix]
1. 개요
#RoyalNeverGiveUp |
2. 상세
구(舊) Royal Club을 전신으로 하고 있으나, 공식적으로는 별개의 팀으로 간주되고 있다. 로얄 클럽의 2015 시즌 부진으로 인한 강등과 그 과정에서 발생한 묘한 인수과정으로 인해 재창단 과정이 팀 정체성을 계승하지 못할 정도로 크게 바뀌었다고 여겨지기 때문. 팀 자체적으로는 로얄 클럽 시절 이룬 2013, 2014 월드 챔피언십 두 차례에 걸친 준우승 기록을 현 'RNG'의 커리어에 포함시키고 있으나 라이엇 게임즈의 공식 기록에는 제외되어 있다.한때는 EDG와 더불어 LPL을 대표하는 명문 게임단으로 평가받았다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월즈 성적과 IG, FPX 같은 후발주자들의 월즈 우승, 그리고 팀적인 부진과 슈퍼스타 우지의 은퇴가 맞물리면서 전과 같은 위상은 아니었다.
그러다가 2021 스프링에서 탑으로 포지션을 변경한 샤오후부터 시작해 팀원들의 폼이 날아오르면서 5연승으로 스타트를 좋게 끊으며 정규시즌 1위를 달성. 역대 정규시즌 성적을 최고로 경신하고 오랜만에 우승컵을 들어올리면서 전통 강호의 부활을 알렸다.
거기에 2021년과 2022년에 LPL 스프링, MSI를 연속 우승하고, 총 3회 우승하면서 역대 MSI 최다 우승팀으로 거듭나게 됨과 동시에 한국인 선수, 코치진 없이 LCK 팀을 국제대회 다전제에서 이겨 본 몇 안 되는 중국팀 타이틀과 더불어 2018년 이래로 최근까지 LPL과 LCK 사이의 경기 전적 우위와 주요 대회 수상 실적을 더욱 벌리는데 일조했다. 상술했듯 한국인 용병을 자주 기용하는 다른 LPL 상위권 중국팀들과 달리 '순혈' 중국인으로 구성된 팀이라는 것도 주요 포인트.[1]
그러나 2023년부터는 재정 문제로 폭삭 주저앉고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였던 샤오후, MSI 연속 우승의 주역이었던 갈라와 웨이가 모두 떠나며 과거의 영광이 무색하게 몰락한 명가가 되었다.
3. 주요 경력
4. 역사 및 역대 시즌
Royal Club | Star Horn Royal Club | Royal Never Give Up | |
로얄 클럽 | 스타 혼 로얄 클럽 | 로열 네버 기브 업 | |
|
5. 멤버
자세한 내용은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멤버 문서 참고하십시오.6. Royal Club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F4923><tablebgcolor=#EF4923> | LDL 참가팀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LGD Gaming Young Team | MAX | Bilibili Gaming Junior | Weibo Gaming Youth Team | Invictus Gaming Young | |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Joy_Dreamlogo_square.png | |||||
Joy Dream | Oh My God Academy | TT Gaming Young | EDG YOUTH TEAM | Ultra Prime Academy | |
MiaoJing | Team WE Academy | Anyone's Legend.Young | Royal Club | FunPlus Blaze | |
Top Esports Challenger | LNG Academy | Ji Jie Hao | |||
LPL 참가팀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colbgcolor=#b4936a><colcolor=#ffffff> 로열 클럽 | ||||
Royal Club | ||||
창단 | 2012년 5월 | |||
소속 리그 | LDL | |||
팀명 | Royal Club(2012.5~2014.5) Star Horn Royal Club(2014.5~2016.12) Royal Club(2016.12~) | |||
매니저 | 류펑 Fufafa | |||
리더 | 푸파정 Fafa | |||
감독 | ||||
약칭 | RYL | |||
우승 기록 | ||||
LDL (1회) | 2023 S1 | |||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4936a><colcolor=#ffffff> TOP | 선하오 Coten | ||
JGL | 판신 XBY | |||
MID | 뤄지용 xiaoka | |||
BOT | 슝청강 heiYue | 가오지쉬안 lanlan | ||
SPT | 진지양 Sunlight | }}}}}}}}}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우승 기록 | ||||
2023 LDL Split 1 우승 | ||||
FunPlus Blaze | → | Royal Club | → | Top Esports Challenger |
준우승 기록 |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 ||||
Azubu Frost | → | Royal Club Star Horn Royal Club | → | KOO Tigers |
2021 LDL Summer 준우승 | ||||
FunPlus Blaze | → | Royal Club | → | Ultra Prime Academy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과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에서 준우승했던 원래의 로얄 클럽. 2015년 팀의 재창단 과정에서 2군 팀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2015 시즌 문서 참조.
팀 약자는 RYL.[6]
7. 여담
- 형제팀으로 Royal Club 天赐가 있다. 2013 LPL Summer에서는 LiveMore(이전 이름 Team LH)와 합쳐지면서 이름이 LMQ 天赐로 변경되었다. 이 팀은 2013년 12월 중순에 활동무대를 북미 서버로 옮겼고 새 스폰서를 얻어 LMQ iBUYPOWER로 활동하게 되었다. 그 이후의 형제팀 근황은 LMQ 문서 참조.
- 다전제에서 게임이 질 거 같으면 게임을 포기하는 대신 게임을 하되 집중하지 않고 팀원끼리 다음 경기 전략에 대한 토론을 한다고 한다. 롤드컵 4강전 프나틱과 3경기에서도 프나틱에게 스노우볼링을 당하자 바로 다음 경기때 상대방 정글의 이동 경로에 대해서 토론을 했다고 한다. 또한 팀 역사를 보면 스프링 시즌과 MSI에 대단히 강한 모습을 보여줬다. LPL 우승 5회 중 4회가 스프링 시즌이고, MSI 우승 횟수 또한 3회로 1위이다. LPL에서도 손꼽히는 스프링 강자.
- 롤드컵에서 준우승한 팀치고는 인기가 적은 편인데, 위에서 언급하듯이 원래는 중하위권을 전전 하는 고만고만한 팀이었다가 갑자기 떠올랐기 때문. 또한 롤드컵 선발전 진출전에서 PE에 대항해 실망스런 경기력을 보여 WE를 떨어뜨리려 일부러 느슨하게 플레이했다는 주장이 등장, 한국의 CJ 팬덤을 연상시키는 중국의 World Elite팀의 팬들을 격노하게 했던 것도 어느 정도 작용했다. 롤드컵에서 서폿인 Tabe가 인터뷰로 호감을 사서 해외의 팬은 다소 늘었지만 중국 내의 팬은 여전히 적은 편. 인섹, 제로가 소속되어서 국내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졌던 적이 있었는데, 당시 포모스에서 인터뷰를 했는데 숙소가 상당히 호화로웠다.
- 시즌3 롤드컵 당시 타베가 로얄 클럽의 인기 없음을 한탄했던 것에 비하면 2014 롤드컵 종료 후의 상황은 준수하다. 카오메이와 웨이샤오의 은퇴로 WE 팬덤이 많이 약화되었고, OMG가 그 자리를 대신하는 상황에서 EDG보다는 로얄 클럽의 인기가 높은 듯하다. EDG가 WE 팬덤과 더 심하게 원수를 질 동안 한중 혼합 팀이라는 독특한 특성[7]과 악동 우지의 인기, 그 폭발적인 경기력 등으로 개성을 획득한 듯하다. 그런데 그 우지가 OMG로 떠나는 바람에 한동안 또 다시 비인기 게임단 신세로 돌아가야 했다.
- 여담으로, 국제전에서 꼭 중요할 때 SKT에게 호구잡히기로 유명하다. 이겼다 졌다 치열하게 맞붙었지만, SKT 전성기 시절은 말할 것도 없고 전성기에서 슬슬 내려가던 시기에도[8] 가장 중요했던 순간에 역사적인 명장면 메이커 노릇을 톡톡히 해댔다.[9] 덕분에 SKT 상대로 롤드컵에서 모든 경우의 수로 패배하여 탈락하는[10] 불명예 기록이 있으며, 이 때문에 우지는 스코어나 쿠로 못지않게 페이커의 명품 조연 이미지가 굉장히 강해졌다. RNG가 SKT 상대로 국제무대에서 압도적으로 이겼던건 사실상 SKT의 체급이 확연히 떨어져 SKT 역대 최악의 시즌을 보냈던 2018년때 리프트 라이벌즈 결승에서의 승리 뿐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SKT를 제외하고 LCK팀과의 대결에서는 우세를 점하며 LCK 킬러의 면모를 보여준다. SKT를 제외하면 2014년 삼성 화이트를 상대로 롤드컵 결승 3:1 패배, 2016년 롤드컵에서 삼성 상대로 그룹 스테이지 2패, 2018년 MSI에서 킹존 상대로 두 번의 세트패[11], 2021년 MSI 결승에서 담원 상대로 두 번의 세트패 정도를 제외하면 진적이 없다. SKT 다음으로 많이 만났고 열세를 기록했던 삼성(현 젠지) 상대로는 2017년부터 상성이 역전되어 만날 때마다 전부 승리하고 있고, SKT(현 T1)가 부진할 때 부상한 팀들인 킹존(현 DRX)과 담원 상대로는 MSI에서 맞붙었고 결승전에서 승리했다. 리프트 라이벌즈에서도 LCK팀을 상대로 2017년에 조별리그에서 KT 상대로 패한것을 제외하고 MVP, 킹존, SKT, 아프리카 상대로 모두 승리했다. 성적만 놓고보면 2019년 G2와 더불어 LCK 킬러팀으로 불러도 손색이 없지만, 상술한대로 국제대회에서 매번 SKT에게 제대로 발목이 잡혀 탈락하다보니 킬러의 면모가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SKT가 T1으로 리브랜딩이 되고, RNG에 우지가 나간 이후 2022 MSI 결승전에서 3:2로 이겨 다전제에서의 악연을 끝냈었는데, 월즈에서는 다시 T1과 리턴매치를 가져서 3:0으로 시원하게 털리며 주종관계를 각인당한 건 물론 MSI는 사실 숙소빨, 35핑빨이라는 비하만 죽어라 들어야 했다.
- 이렇듯 게임 내적으로는 LCK 팀을 중요한 순간 잡아내면서 LPL을 대표하는 최종보스, 최종빌런 팀으로 여겨지는가 하면 SKT에게 유독 약한 점으로 인해 LCK 위상을 올려준 고마운 팀이라는 얘기를 듣기도 하고, 국제전에서 유럽팀에게 자주 발목을 잡히는 개그 이미지도 있는 등 상당히 복합적인 이미지의 팀이다. 어떻게 보면 17년 LCK에 가장 강하게 저항하고 18 MSI 우승을 통해 LCK의 철권통치 시대를 끝낸 선봉장이면서도, 롤드컵을 우승한 IG, FPX, EDG와 달리 새 시대에 자신들이 주인공이 되었다기에는 뭔가 아쉬운 팀이다. 다만 한국인 선수 및 코칭스태프 없이 LCK를 국제 대회 다전제에서 승리한 유이한 중국 팀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고, 2021년 이후 한국 팀을 상대로 엄청나게 강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G2를 잇는 코리안 킬러로 각인되고 있다. 하지만 2022년 월즈에서는 플레이인에서 DRX에게도 지고, 젠지에게도 세나 신지드 덕에 1라운드는 땄지만 2라운드 2연전에서 지고, 8강에서는 T1에게 스윕당하며 킬러의 면모가 좀 희석되어 버렸다.
- 게임 내적인 부분과 반대로, 게임 외적인 부분에서 이미지가 좋지 않은 게임단이다. 21 MSI에서의 일정 논란은 라이엇의 책임이 크기 때문에 그렇다 쳐도[12], RNG의 프런트에 대한 이미지는 마냥 좋지 못하다. 스토브리그마다 RNG 관련 썰은 마냥 좋은 얘기만 들리지 않기도 하고,[13] 연봉 또한 LPL을 대표하는 명문팀 치고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정적으로 팀의 레전드이자 전설 우지에 대한 대우와 향후 거취에 대한 지원이 심하게 저열하고,[14] RNG가 계약 관계를 핑계로 우지의 현역 복귀를 막으면서 훼방을 놓고 있다는 의혹까지 퍼지는 바람에 RNG, 더 나아가 LPL의 위상을 폭풍상승시킨 레전드에 대한 대우가 이게 맞냐면서 많은 까임을 받고 있다.[15] 이후 또 다른 팀 레전드 중 하나인 mlxg 역시 월급을 제대로 못받았다며 에이전시를 고소하는 등, 프론트 쪽으로는 좋은 소리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 우지를 비롯해 팀의 대표 레전드들의 시대 이후로는 샤오후의 호감 이미지, 게임단이 아니라 코치가 문제였다는 아러의 발언 등으로 한국 내에서도 프런트를 제외한 게임단의 이미지는 21년 말~22년 초 무렵까지는 점차 개선되고 있었다. 하지만 22 MSI를 전후해서 게임단뿐만 아니라 그동안 인성으로는 좋다고 여겨졌던 선수들의 전반적인 이미지도 완전히 추락했다. 팀의 얼굴마담 샤오후의 사생활 논란으로 호감 이미지가 벗겨진 상황에서 21년 라이엇 주관 국제대회 내내 이어졌던 특혜 논란에 화룡점정을 찍어버렸기 때문.[16] 사실상 한국 팬들이 진정성을 느끼며 납득할 사태 수습이 이루어지는 비현실적 상황이 현실이 되지 않는 이상, 이미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버린 상황이다.
8. 논란 및 사건 사고
자세한 내용은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 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우승팀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rowcolor=#fe0000> 2015 | 2016 | 2017 | 2018 |
Edward Gaming (LPL) ★ | SK telecom T1 (LCK) ★ ★ | Royal Never Give Up (LPL) ★ | ||
2019 | 2021 | 2022 | 2023 | |
G2 Esports (LEC) ★ | Royal Never Give Up (LPL) ★ ★ ★ | JDG Intel Esports Club (LPL) ★ | ||
2024 | 2025 | 2026 | 2027 | |
Gen.G (LCK)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3 스프링 | 2013 서머 | 2014 스프링 | 2014 서머 |
Oh My God ★ | Positive Energy ★ | Edward Gaming ★ ★ | ||
2015 스프링 | 2015 서머 | 2016 스프링 | 2016 서머 | |
Edward Gaming ★ ★ ★ | LGD Gaming ★ | Royal Never Give Up ★ | Edward Gaming ★ ★ ★ ★ | |
2017 스프링 | 2017 서머 | 2018 스프링 | 2018 서머 | |
Team WE ★ | Edward Gaming ★ ★ ★ ★ ★ | Royal Never Give Up ★ ★ ★ | ||
2019 스프링 | 2019 서머 |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
Invictus Gaming ★ | FunPlus Phoenix ★ | JD Gaming ★ | Top Esports ★ |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2022 스프링 | 2022 서머 | |
Royal Never Give Up ★ ★ ★ ★ | Edward Gaming ★ ★ ★ ★ ★ ★ | Royal Never Give Up ★ ★ ★ ★ ★ | JDG Intel Esports Club ★ ★ | |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2024 스프링 | 2024 서머 | |
JDG Intel Esports Club ★ ★ ★ ★ | Bilibili Gaming ★ | Bilibili Gaming DreamSmart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연간 어워드 최고의 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4 | 2015 | 2016 | 2017 |
Oh My God | Edward Gaming | Royal Never Give Up | ||
2018 | 2019 | 2020 | 2021 | |
Invictus Gaming | FunPlus Phoenix | Top Esports | Edward Gaming | |
2022 | 2023 | 2024 | 2025 | |
JDG Intel Esports Club | Bilibili Gaming DreamSmart |
[1] 하지만 구 로얄 클럽 시절에는 한국인 용병이 있었다. 심지어 중국팀 중에서 가장 먼저 한국인 용병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팀이 바로 로얄 클럽이었다. 2014년 서머 시즌부터 정글에 인섹, 서폿에 제로를 기용하였는데 이때 로얄 클럽은 월즈 준우승까지 한 적이 있다. 이후 삼성 화이트의 주역이었던 마타와 루퍼도 RNG에서 선수생활을 했었다.[2] 2017 WE, RNG, EDG, OMG[3] 2018 RNG, EDG, RW, IG[4] 2019 SKT, GRF, KZ, DWG[5] 2020 Mid-Season Invitational은 코로나19로 인하여 취소되었다. 2019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팀은 G2 Esports.[6] Star Horn Royal Club 시절에는 SHR.[7] 하지만 이제는 이게 정상이고 순혈(...)인 OMG가 비정상이라는 것이 함정.[8] 특히나 SKT의 마지막 불꽃이라 불렸던 2017년 롤드컵 4강에서의 패배는 LPL이 정상에 등극한 이후로도 많은 중국인들과 LPL팬들의 기억에서 영원히 잊지못할 비통한 패배로 여겨지고 있다.[9] 이를테면 5연 갈리오라던가, 역대급 백도어 엔딩으로 불리는 페이커 트페 백도어 대역전패 엔딩이라던가.[10] 시즌3 결승 3:0(로얄 클럽), 시즌6 8강 3:1, 시즌7 4강 3:2, 시즌9 그룹 스테이지 2:0[11] 그룹 스테이지 1패, 결승전 1패[12] 게다가 21 Worlds에서도 일정 논란이 일어났었다. 현재는 수정된 상태.[13] 2020 스토브리그 때는 유망주의 영입을 무통보 취소하는 통수를 치기도 했다.[14] 가장 욕을 먹는 부분이다. LCS와 LEC는 용병의 비중이 높은 리그니 예외로 치더라도 LCK와 비교하면 바로 표가 난다. SKT 시절부터 이어온 레전드들에 대한 대우가 좋은 T1, 삼성 시절부터 이어온 레전드들에 대한 대우가 역시 좋은 Gen.G, 프런트가 욕을 먹는 와중에도 스코어에 대한 대우만큼은 나쁘지 않은 KT, 성적이 부진한 와중에도 오랫동안 캐리라인으로 활약해준 상윤을 위해 은퇴식까지 열어준 한화생명 등. 같은 리그에서도 5년 동안 팀을 지탱해준 미스틱에게 WE가 해주는 예우를 보면 RNG와 비교하는 게 실례일 정도이다.[15] 2021년 4월 경 우지 본인이 의미심장한 이야기를 하면서 쐐기를 박았다.[16] 사실 롤드컵을 우승한 중국 팀들만 해도 뛰어난 중국 선수들의 활약도 있었지만 뛰어난 한국 선수들의 활약도 있어 한국 팬들의 찬사를 받았고, 2019 MSI 우승팀인 유럽 순혈팀(?) G2 역시 나름의 선을 지키는 트래쉬토크와 개성 강한 경기력으로 인해 악동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소비되기도 했다. 게다가 2017년부터 싹튼 갈드컵이 20년대에 한창 심화되고 전반적으로 젊은 세대에서 국가주의가 퇴조하면서, LCK나 그 소속팀에 애정을 가진 팬이라고 해서 무조건 타 리그를 적대 혹은 혐오하는 경향도 약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RNG는 세 번에 걸쳐 요즘 세태에 가장 민감한 문제인 공정성 논란을 일으킨데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등에서 이어지는 반중정서와 그대로 맞물린 덕에 16년 이후 이어지는 RNG 특유의 중화권 순혈주의 역시 한국에서 부정적인 이미지로 고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