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1:40:43

SK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20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SK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9005a><tablebgcolor=#19005a> 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SK Gaming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78f5fa;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13 2014
2015 2016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 ||
SK Gaming의 역대 시즌
2024 시즌 2025 시즌 2026 시즌

[clearfix]

1. 개요

SK Gaming의 2025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

1.1. LoL e스포츠 스토브리그/2024

파일:2025_SK.jpg
2024 시즌이 종료된 이후인 10월 2일, 새 코치로 BDS Academy의 가리흐 코치를 영입할 것이라는 루머가 떴으며, 뒤이어 7일에는 BDS Academy의 미드 리커가 팀과 구두 합의를 했다는 루머도 전해졌다.

10월 18일에는 BDS Academy에서 뛰었던 탑 라이너 JNX가 팀에 복귀한다는 루머가 나왔다.

10월 29일 미드 라이너인 니스퀴와 계약이 종료되었다. # 11월 1일에는 LLA의 ISG에서 뛰었던 서포터 루피가 합류할 것이라는 루머가 전해졌다.

11월 8일에는 탑 라이너인 이렐러번트와의 계약이 종료되었고, #, 11월 12일에는 서포터 루온과의 계약을 종료했다. # 13일에는 스위퍼 감독까지 팀을 떠나게 되었다. #

11월 17일 엑사킥을 비롯한 2군 전원과 계약 종료를 발표했다. #

현재까지 나온 루머들을 종합한 결과에 따르면 이번 SK의 로스터는 제낙스-이스마-리커-라헬-루피로 구성될 가능성이 유력하다.

이후 12월 16일. 루머대로 제낙스, 리커, 루피의 영입과 이스마와 라헬의 잔류 소식을 알리며 2025 시즌 로스터를 완성하였다.

팬들 사이에서는 TH, 로그와 더불어 꼴등 유력후보로 꼽히고 있다. 2022 리커를 기억하는 LEC 팬들 사이에서 불신이 매우 강하기 때문. 그래도 나름 준수한 원딜인 라헬이 있고, JNX와 리커 모두 직전 시즌 EM 우승자들이니 일말의 희망은 품어볼 만하다고도 할 수 있다. 이렇게 서술해도 사실 같이 묶이는 3대장 중에서는 상황이 그렇게까지 나빠 보이지는 않는다.

2.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Winter 2025

위의 전망이 무색하게 첫 주부터 오만가지 대환장 플레이를 펼치면서 1주차를 전패로 마무리지었다. GXG2에게 진 건 그렇다 쳐도 같은 꼴찌 후보 헤레틱스에게 털린 건 제대로 치명타이다. 1주차 결과만 놓고 볼 때는 현재까지는 10팀 중 꼴찌에 가장 근접한 팀이다.

그리고 2주차에도 KC에게 패배한 것을 시작으로 또 연패를 쌓았고, 그 결과 단 1승에도 성공하지 못한 채 6전 전패, 여전히 무승의 기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대로면 3주차에 3연승을 하더라도 플레이오프가 확정이 아닌 굉장히 암울한 상황이거나, 매치 전패까지 당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특히 다 이긴 경기를 알아서 말아먹거나 시작부터 무기력하게 완패하는 경우가 대부분인지라 이쯤 되면 일부러 리그에서 발을 뺄 준비를 하는 게 아니냐는 비아냥까지 나올 정도다.

3주차에 결국 또 패배를 쌓으며 7패가 되었고, 동시에 헤레틱스, BDS가 나란히 승리하며 3승 라인이 되어 상위 8팀을 승수로 따라잡을 수 없게 되어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가 확정되었다. 그렇게 전패가 코앞이 된 찰나 로그전에서 귀중한 1승을 얻으며 7연패를 끝으로 전패에서 벗어났다. 동시에 로그와 공동 9위가 된 것은 덤. 마지막 경기에서 프나틱에게 문자 그대로 치여 패배했지만 H2H에서 승리해 간신히 9위를 기록했다.

없는 살림에 신인 위주의 도박적 리빌딩을 추구한 바이탈리티와 헤레틱스가 모두 신인들의 기대 이상의 활약에 힘입어 무난하게 선전하면서 팬들로부터 쌀먹 팀이라고 더더욱 욕을 먹고 있다. 다만 경이로운 유망주 안락사 전문가 듀크 예거와 LEC 정상화 전문가 아르템 바이코프의 맹활약으로 인해 유망주 배출의 중심이 북동유럽에서 서남유럽으로 옮겨가던 과도기의 2001~2003년생 유망주들이 LEC 안착에 이중고를 겪은 점은 참작할 수 있다. 그래서 개막 전에는 코어 팬들을 중심으로 바이탈리티, 헤레틱스나 엇박자로 어정쩡하게 돈을 들이부은 로그와 비교하며 1부 저점이 검증된 라헬이스마, 제낙스 위주의 저가 로우 리스크 로우 리턴 리빌딩을 매우 아니꼽지만 머리로 이해는 한다는 여론도 존재했다. 그러나 결과론적으로 뚜껑을 열자 다른 팀의 프랑스산, 튀르키예산 유망주들이 뻥뻥 터져주는 사이 이쪽은 제낙스의 노쇠화 이슈와 이스마의 멘탈 이슈, 리커의 꾸준한 저점과 루피의 적응 문제 등이 우수수 터져나오면서 딱히 이해해주기 싫은 아니꼬움만이 남아버린 셈이다.

3. 팀별 둘러보기

파일:lec 심볼.svg LEC 2025 시즌 팀별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Movistar_KOI_logo.png 파일:Team BDS 아이콘.svg 파일:SK gaming 심볼.svg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
G2 FNC KOI BDS SK
파일:GIANTX 로고 심플.svg파일:GIANTX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GX TH VIT KC RG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0%;
해당 팀별 목록은 2025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서머 스플릿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