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12:33:14

Rogue/리그 오브 레전드/20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Rogue/리그 오브 레전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03a> 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Rogue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00203a;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gue 2019 2020 2021
2022
KOI 2023
Rogue 2024 2025
}}}}}}}}} ||
Rogue의 역대 시즌
2024 시즌 2025 시즌 2026 시즌

[clearfix]

1. 개요

Rogue의 2025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

2. LoL e스포츠 스토브리그/2024

9-9-10위로 2024년을 완전히 망쳐놓은 것도 모자라 모회사인 인피니티 리얼리티가 LEC 시드권 매각을 고려하고 있으며, 아예 Nigma Galaxy의 인수설까지 나오는 등 스토브리그 시작 전부터 팀의 존폐 여부가 불투명했다. 다행히 이후 별다른 관련 소식이 없는 걸로 보아 시드권 매각이나 인수는 무산된 것으로 보이지만, 올해 전체적으로 답이 없는 모습을 보였다는 점에서 대규모 리빌딩을 시행할 가능성이 높다.

10월 14일, 조엘리스LFLTeam GO로 이적할 것이라는 루머가 떴으며, # 17일에는 콤프 역시 Gentle Mates로 이적한다는 루머가 나왔다.

10월 25일에는 마르쿤Solary로 이적했다. # 또한 바로 다음 날인 26일에 슈젠더BK ROG Esports로 이적한다는 루머가 나오며 # 죄다 LFL로 떠나는 웃지 못할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그러다가 11월 28일 새 탑 라이너로 아담이 영입될 것이라는 루머가 나왔고, # 뒤이어 29일에는 바텀 라이너로 패트릭이 낙점되었다는 루머도 나왔다. # 그리고 12월 1일에는 정글러로 말랑이 복귀한다는 루머가#, 서포터로는 2024년 LCK에서 뛰었던 엑스큐트가 합류한다는 루머가 발표되며 # 로스터의 윤곽이 10팀 중 가장 늦게 드러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루머들을 종합한 결과 이번 시즌 로그의 로스터는 아담-말랑-라센-패트릭-엑스큐트로 결정될 것으로 보였으며, 12월 28일 루머대로 전체 로스터가 확정되었다.
파일:2025_Rogue.jpg

지난 시즌보다 좋은 결과를 보일 수 있는 로스터일지는 애매하다. 감코진과의 불화로 폼 하락을 겪은 아담, 원인 모를 방출로 반 년을 휴식한 말랑, 2022 서머 우승 이후로 침체기를 겪고 있는 라센, GX의 소년가장으로 불리지만 그저 더 나은 실력일 뿐인 패트릭, LCK에서 극단적인 기복을 보여주다가 듀로에게 밀려 샌드다운당했던 엑스큐트까지 전체적으로 선수마다 지난 시즌에 하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일단 겉보기 로스터 자체는 그럭저럭 잘 수습하며 그 탱킹 시즌이라 불렸던 2023-2024 시즌은 물론, LoL e스포츠 역사상 최악의 단일 시즌으로 악명 높은 2022 한화생명, 2015~2016 스베누보다 낫긴 하지만, 존폐 여부조차 불확실했던 팀 분위기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는 SK, 헤레틱스와 더불어 꼴찌 후보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하는 편이다.[1] 그래도 선수들의 이름값이 있으니 독보적 꼴찌 후보까지 확정된 수준까진 아니겠다만 딱히 안정권도 아니라고 볼 수 있을 듯하다.

3.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Winter 2025

Rogue
파일:2025lec윈터로그.webp
<colbgcolor=#00203a><colcolor=#01b9fc> 감독 [[사이먼 페인|사이먼 페인
fredy122
]]
코치 [[김강윤|김강윤
Trick
]]
분석 [[니코 자넷|니코 자넷
Blueknight
]]
로스터
파일:TOP_icon_clg.png
TOP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담 마나네|아담 마나네
Adam
]]
파일:JGL_icon_clg.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근성(프로게이머)|김근성
Malrang
]]
파일:MID_icon_clg.png
MID
파일:스웨덴 국기.svg [[에밀 라르손|에밀 라르손
Larssen
]]
파일:ADC_icon_clg.png
BOT
파일:체코 국기.svg [[파트릭 이루|파트릭 이루
Patrik
]]
파일:SUP_icon_clg.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훈(2000년 2월)|이정훈
Execute
]]

3.1. 정규 시즌

3.2. 총평

시즌 초에 속하는 윈터 스플릿이 끝났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2019 진에어 그린윙스, 2022 한화생명이 선녀로 보일 정도의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다. LEC의 3대 미드로 나름 활약했던 라센, 가다세올로 대표되는 아담, 로그의 LEC 우승을 견인했던 말랑 등 괜찮은 로스터를 구성했다고 평가받았으나, 뚜껑을 열어보니 메이저 지역 리그 팀으로서의 경쟁력은 물론 조직력이 단 1도 느껴지지 않으며 개개인으로도 본인의 커리어 하이가 지나 사실상 한물 갔다는 평을 받는 아담이 고아원장 취급받는, 가히 2019 진에어, 2022 한화생명, 2024 브리온은 물론이요 LoL e스포츠 역사상 최악의 단일 시즌으로 손꼽히는 2024 로그를 위협할 만한 메이저 리그 팀 역사상 최악의 단일 시즌이 될 것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2]

초중반까지는 헤레틱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여러 팀들을 상대로 명백한 초반 리드를 가져가는 등 잠재력 자체는 어느 정도 존재했으나, 다른 선수들의 개인 기량이 나름대로 살아있던 초반에도 일관적으로 최악의 폼으로 패배를 누적시키며 팀의 경기력과 조직력을 완전히 밑바닥으로 떨어트린 점에 있어서는 패트릭의 지분이 압도적이다. 언제나 한타 때마다 늘 그렇듯이 죽어있는 패트릭의 역캐리에 힘입어 그 전에 점해놓은 리드가 무색하게 연속적인 교전 패배로 역전패를 당하는 경기 양상이 여러차례 반복됐다.[3]

그렇게 연패로 인해 팀의 조직력이 완전히 와해된 결과 아담은 과거의 유체탑급 위상은 온데간데없이 사이드에서 잘릴 때도 많고 한타 구도가 조금만 애매해진다 싶으면 팀을 버리고 냅다 튀어버리는 바위 게형 탑이 되었고[4], 말랑은 갱킹 능력 자체는 아직 살아있음을 증명하며 나름 초반 리드에 기여한 적도 있지만 반 년을 통으로 쉬어서 그런지 한타에서는 엑스큐트와 함께 꼴아박다가 자멸했다. 라센은 이제는 LEC 3대 미드라는 명성을 내거는 것 자체가 실례라 할 정도로 명백한 5대 리그 최악의 미드 라이너로 몰락했으며, 상술한 패트릭은 2017 , 2019 강고가 그나마 선녀로 보일 수준으로 경기마다 따지기 전에 이번 시즌에 1인분을 한 한타가 없다. 엑스큐트는 라센과 패트릭에 비하면 덜 부각되었을 뿐이지 "이 선수가 왜 듀로에게 밀려나고 피어엑스에서 쫓겨났었나"에 대해 증명한 꼴이 되어버렸다. 심지어 프레디 감독은 그 2017 EEW의 박시한, 2022 T1의 모멘트, 2023 DK의 최천주, 2024 농심의 박승진 등 희대의 졸장이라 평가받는 코칭스태프보다도 더할 정도로 무능한 모습만 선보이며 확실하게 코칭 능력 자체가 하자를 드러내고 있다.

개막전에서 1승을 챙긴 뒤로도 SK가 개개인 실력이 심각할 정도라서 로그의 밑을 깔아주는 것이지 팀 단위의 운영과 호흡은 로그가 더 심각하다는 의견이 대세였고, 결국 윈터 시즌을 대표하는 라센의 갈리오 쓰로잉과 바로 다음 날 전패 행진을 달리던 SK와의 맞대결에서 전날 또 다른 역캐리의 주인공 이스마에게 오공 하드 캐리를 선사하는 충격적인 패배로 실낱같은 플레이오프 희망도 날려먹으며 99AA라는 비밀번호를 쓰는 대참사를 맞이했다.

물론 팀의 늑장 스토브리그와 김강윤 코치의 존재, 수많은 거대한 매몰비용 때문에 스프링을 앞두고 팀에 큰 변화를 주기에는 당위적으로도, 현실적으로도 매우 애매하지만, 아무튼 감독 경질, 패닉 바이, 선수들의 각성 같은 내부로부터의 대격변이 없으면 이대로는 스프링 시즌의 전망도 매우 어두운 수준이다. 프런트가 개선의 의지를 보이지 않는다면 약팀에서 벗어나기는 커녕 Vaevictis eSports가 퇴출당했던 것처럼 경쟁력조차 전무한 팀의 피인수는 커녕 리그 퇴출을 진지하게 걱정해야 할 판이다.

4. 팀별 둘러보기

파일:lec 심볼.svg LEC 2025 시즌 팀별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Movistar_KOI_logo.png 파일:Team BDS 아이콘.svg 파일:SK gaming 심볼.svg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
G2 FNC MKOI BDS SK
파일:GIANTX 로고 심플.svg파일:GIANTX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GX TH VIT KC RG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0%;
해당 팀별 목록은 2025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서머 스플릿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1] 2024년 12월 기준 스크림 썰이 LEC 10개 팀 중 가장 적다. 좋다 나쁘다도 아니고 그냥 썰이 거의 없었다.[2] 심지어 아담이 우리는 LEC의 광대라고 할 수 밖에 없다는 반쯤 시즌을 포기한 듯한 내용의 X 게시글을 올릴 정도니 팀의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3] 당시 폼이 본격적으로 떡락하기 전이었던 라센의 분전에도 불구하고 결국 끔찍한 수준의 원딜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1시간이 넘는 멸망전 끝에 석패한 GX와의 경기가 대표적이다.[4] 이 때문인지 로그는 진입형 탱커/브루저 챔피언으로 하도 망하다 보니 리그 후반으로 가서는 몸이 들어가지 않고 포킹하는 제이스를 아담에게 쥐어주었는데, 실제로 그 제이스로 보여준 경기력이 그나마 나았다. 과거 아담이 가다세올 밈 등 상남자식 플레이의 대표격 탑이었다는 걸 생각해보면 웃지 못할 노릇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