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05 21:15:16

The Velvet Underground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앨범을 발표한 동명의 밴드에 대한 내용은 벨벳 언더그라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파일:The_Velvet_Underground(Logo).png


{{{#!wiki style="margin: 0 -5px -0px;
{{{#000 {{{#!folding [ Discography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1967_velvetundergroundandnico.jpg
파일:1968_whitelightwhiteheat.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UXnjsolkL._SL1200_.jpg
파일:81-MKn0he4L._SL1425_.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91gGzLOqu3L._SL1500_.jpg
The VU & Nico
1967
White Light/White Heat
1968
The Velvet Underground
1969
Loaded
1970
Squeeze
1973
}}}}}}}}}}}}
}}}}}} ||
The Velvet Underground의 주요 수상
[ 펼치기 · 접기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316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12년 316위 ||

파일:피치포크 로고.svg파일:피치포크 로고 화이트.svg
피치포크 선정 1960년대 최고의 앨범
12위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
188위

파일:sonemic.png
Rate Your Music 전체 앨범 차트
97위

*2024년 3월 12일 기준

파일:sonemic.png
Rate Your Music 1969 앨범 차트
5위

*2024년 3월 12일 기준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bbb><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800080><width=90>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 올 타임 탑 1000 앨범
130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bbb><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 올 타임 탑 1000 앨범
1998년 130위 ||

파일:FNAC1000Album.jpg
FNAC 선정 1000대 명반
348위

파일:Uncut5001960album.jpg
언컷 선정 1960년대 500대 명반
13위

파일:paste-300-albums.jpg
Paste 선정 300대 명반
194위
The Velvet Underground
파일:external/4.bp.blogspot.com/velvet-velvet_03.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발매일 1969년 3월
녹음일 1968년 11월 5일 - 12월
장르 포크 팝, 포크 록, 팝 록
재생 시간 43:53
곡 수 10곡
프로듀서 벨벳 언더그라운드
스튜디오 TTG 스튜디오

1. 소개2. 상세3. 트랙리스트
3.1. A면
3.1.1. Candy Says3.1.2. What Goes On3.1.3. Some Kinda Love3.1.4. Pale Blue Eyes3.1.5. Jesus
3.2. B면
3.2.1. Beginning to See the Light3.2.2. I'm Set Free3.2.3. That's the Story of My Life3.2.4. The Murder Mystery3.2.5. After Hours
[clearfix]

1. 소개

1969년 3월 발표된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세번째 앨범.

2. 상세

전작이 밴드의 실험적인 면을 대표했다면 본작은 부드러운 면을 대표하는 앨범이다. 미국 팬들은 벨벳 언더그라운드하면 보통 이 앨범을 먼저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전작의 제작 과정에서 심화된 루 리드존 케일의 반목은 결국 케일이 쫒겨나는 것으로 마무리되고, 대신 더그 율(Doug Yule)이 영입되었다. 더그 율도 훌륭한 뮤지션이었지만 케일과 달리 자의식이 덜한 세션맨에 가까운 타입이었고, 루 리드의 지시에 별다른 토를 달지 않았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루 리드의 독주 체제로 나아가게 된다.

당시 루 리드는 존 케일이 추구하던 실험적인 음악에 질린 상태였다. 여기에 연이은 판매고의 부진, 케일과의 대립, 장래에 대한 고민, 악기 분실로 인해 지치고 허탈한 상황이었다. 그렇기에 루 리드는 상업적인 성공을 원했고, 본인이 좋아하고 추구하던 사운드가 음반에 녹아들길 원했다.

그렇게 전작에서 이어지던 거칠고 난잡한 분위기는 줄어들고, 특유의 미니멀리즘적인 면모가 부각된 음반이 제작되었다. 루 리드의 취향이 담긴 1950년대 정통 로큰롤, 포크, 블루스, 스탠더드 팝, R&B 등의 장르가 중점이 된 앨범이 되었다. 때문에 그동안 벨벳 언더그라운드가 숨겨온 아름다운 팝 멜로디와 유약한 감수성의 가사들도 지지를 얻었다. 특히 "Pale Blue Eyes"는 영화 접속의 주요 수록곡으로 사용되면서 한국에서는 가장 잘 알려진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노래가 되었다.

물론 반골 성향이 강한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음악답게 기존 장르들의 스타일을 답습하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특유의 독자적인 개성이 돋보이는 트랙 역시 곳곳에서 찾을 수 있다. 오프닝트랙 "Candy Says"에서 실존 트랜스젠더[1]를 다루거나, "What Goes On", "Beginning To See The Light"처럼 냉소적인 로큰롤, 기나긴 잼을 이어가며 뉴욕의 범죄폭력을 다룬 대서사시 "The Murder Mystery" 등 언더그라운드 문화를 나타내는 요소를 빼먹지 않아 후대의 음악가, 평론가들에게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전작들의 연이은 실패로 인해 대중성과는 거리가 먼 밴드로 낙인찍혀서인지 이 앨범도 발매 당시에는 전혀 관심을 받지 못했다. 심지어 라디오 음악방송에 수록곡 하나 방송되지 못했을 정도로 상업적으로 실패한 앨범이 되고만다. 많은 대중이 충분히 좋아할만한 보편적인 곡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었지만 아무리 듣기 좋은 음악이라도 앨범이 나온 것 자체가 알려지지 않았고 들어볼 기회도 없었으니 판매가 될리가 없었다.[2] 하지만 이 앨범 역시도 여타 작품들처럼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재평가 과정에서 찬사를 받았고, 그들의 천재적인 서정성을 담은 명반으로 평가받는다.

노이즈 실험으로 인디 록, 슈게이징 등과 같은 마이너한 장르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받는 전작과 달리, 이 앨범은 부드러운 팝 멜로디에 비범한 미니멀리즘을 결합했다는 점 때문에 얼터너티브 록에 큰 영향을 미친 앨범이다. R.E.M.이라던가 디셈버리스트, 빅 스타, 비트 해프닝, 윌코 등이 이 앨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때문에 60년대 음악임에도 촌스럽지 않은 코드 진행과 사운드 덕분에 모던 록으로 대표되는 21세기 록 트렌드의 초석을 닦아놓은 앨범으로 평가받으며 세월이 흐를수록 더더욱 높이 인정받는 앨범이다..

여담으로, 앨범 커버 사진에서 루 리드가 들고 있는 잡지는 하퍼스 바자(Harper's Bazaar)라는 여성 패션 잡지다.[3][4]

3. 트랙리스트

전곡 작사/작곡 루 리드.

3.1. A면

3.1.1. Candy Says


루 리드가 여성의 관점으로 쓴 4곡 중 하나로[5], 트랜스젠더인 캔디 달링(Candy Darling)을 화자로 설정하여, 성 정체성에 대한 고뇌를 가사로 담은 곡이다. 더그 율이 보컬을 맡아 불렀다.

3.1.2. What Goes On

3.1.3. Some Kinda Love


3.1.4. Pale Blue Eyes


3.1.5. Jesus



3.2. B면

3.2.1. Beginning to See the Light


3.2.2. I'm Set Free


3.2.3. That's the Story of My Life


3.2.4. The Murder Mystery


3.2.5. After Hours



번역


[1] 앤디 워홀의 팩토리에 있었던 실존 인물이다.[2] 데뷔 앨범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레이블이 홍보를 제대로 안해준 탓이 컸다. 이 앨범 전 MGM레코드로 레이블을 옮겼는데 회사가 앨범 홍보를 전혀 해주지 않았다.[3] 복장 도착자였던 루 리드는 여성 패션과 메이크업에 늘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4] 하지만 일부 사람은 기타로 알고 있었다는 사람이 있고, 실제로 착시에 속아 기타로 착각하는 사람도 많다.[5] 나머지 3곡은 미발매 곡들이 수록된 컴필레이션 앨범 VU 의'Stephanie Says'와 'Lisa Says', 루 리드의 솔로 앨범 Berlin의 'Caroline Says'이다.